DOI QR코드

DOI QR Code

Photo Comics Courses targeting Mother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 Case Study

발달장애 어머니 대상의 <포토툰 수업> 사례연구

  • 권경민 (남서울대학교 영상예술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2.01
  • Accepted : 2018.03.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Notwithstanding various discourses among scholar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omics, in Korea there is nevertheless a scarcity of quality research on the subject. Therefore, to promote quality research,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o best use source materials in the field of comics scholarship. Source materials can generally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pre-existing comics, scholar-generated comics and user-generated comics. For this study, user-generated comics are the primary source materials, specifically comics creat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intend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for mothers who suffer from a relative sense of alienation as the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lthough therapeutic arts and cultural programs make a tremendous difference in the lives of these mothers, teaching methodology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extremely limited. Furthermore, existing scholarship focuses primarily on either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individual or a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parents to understand and deal with the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this research does little to help improve learning programs for these paren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sets out to consider the potentiality and effectiveness of using comics in the educa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se mothers, by creating comics, develop better awareness of themselves in a positive and enriching way. It is therefore hoped that this research provides a useful analysis for developing the potenti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만화는 그 고유의 특성으로 질적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시각적 담론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질적 연구 분야에서 만화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만화 기반의 질적 연구에서 어떠한 종류의 만화자료가 활용될 것인지는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질적 연구를 위한 만화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기존 만화자료, 연구자 생성만화, 참여자 생성만화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참여자 생성만화의 한 종류로서 <포토툰> 제작을 실시하여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수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은 삶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교수법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장애아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주로 개인의 심리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거나 현상학적 수준에서 부모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 대부분으로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삶의 과정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바르게 이해하고 대처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화 콘텐츠는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구로서 충분한 기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10주간 만화교육을 실시하여 만화의 기초적인 요소들을 습득하고 최종적으로 본인의 자녀들의 사진을 활용하여 포토툰을 제작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본인의 자녀를 소재로 한 포토툰 제작 과정을 통해 만화의 효용성을 경험하며, 스스로 인식하고 표현해 봄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효과 및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관우, 남진열,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2016, vol, no.51.pp.368-402
  2. 권경민, 만화학개론, 북코리아, 2013, p.34.
  3. 권경민, 양정빈,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의 노인만화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참여 노인들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017, vol, no.47.
  4. 김도현, 시각적 질적 연구 김영천, 이현철 편저, 질적 연구: 열다섯가지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7.
  5. 마셜 맥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6. 문화관광부,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2005.
  7. 박지연, 김영란, 김남희, 문제행동이 장애아 가족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의 대처방식에 관한 질적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010, vol26, no.3.pp.17-43
  8. 안양예술문화재단, 읽는 문화에서 놀이하는 문화로 카툰캠퍼스 시니어 만화창작학교 "만화로 쓰는 인생이야기", 2016.
  9. 윤정주, 연상개념을 통한 초등학생의 회화 표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03, p.8
  10. 이꽃송이, 김재웅, 김성곤, 장애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만화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전조작기 단계의 경도 정신지체 아동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0, pp.141-157.
  11. 장현숙, 정경미, 발달장애인의 부모와 교육관계자의 삶의 질 예측 변인-환경 변인, 문제행동, 부모/교육관계자의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vol22, no.3. 2015, pp.441-463
  12. 주리애, 미술치료학,학지사, 2013.
  13. 차혜경,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끝없는 긴장의 재구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2008, p.94
  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2005.
  15. Baker,B.L.,Blacher, J.,& Olsson,M.B.,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Behavioral problems, parents'optimism and well-being.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05, 49, 575-590 https://doi.org/10.1111/j.1365-2788.2005.00691.x
  16. Collier,J. Photography in anthropology: A report on two experiments. American Anthropologist, 59,843-859
  17. Lee,L.C.,Harrington, R.A.,Louie,B.B.,& Newschaffer,C.J.,Children with autism:quality of life and parental concerns.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008, 38(6), 1147-1160 https://doi.org/10.1007/s10803-007-0491-0
  18. Mugno, D.,Ruta,L.,D'Arrigo,V.G.,& MAZZONE,l.,Impairment of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7, 5(1), 22-31 https://doi.org/10.1186/1477-7525-5-22
  19. Pauwels,L.,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for visual social research. In E. Margolis & L. Pauwels, The sage handbook of visual research methods. London: Sage Publications.
  20. Stake, R,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s Oaks, CA: Sage, 1995.
  21.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e, Newbury Park, Calif: Sage, 1989.
  22. 네이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24504&cid=42125&categoryId=42125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