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track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엣지컴퓨팅 기반 유해조수 퇴치 드론의 동물 추적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nimal Tracking Method Based on Edge Computing for Harmful Animal Repellent System.)

  • 이슬;김준태;이상민;조순재;정서훈;김형훈;심현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24-227
    • /
    • 2020
  • 엣지컴퓨팅 기반 유해조수 퇴치 Drone의 유해조수 추적 기술은 Doppler Sensor를 이용해 사유지에 침입한 유해조수를 인식 후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는 Drone의 Camera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경작지를 실시간으로 보며 Drone을 조종한다. Camera는 Tensor Flow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을 적용하여 유해조수를 학습 및 파악, 추적한다. 이후 Drone은 Speaker와 Neo Pixel LED Ring을 이용해 유해조수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해 도망을 유도하며 퇴치한다. Tensor Flow object detection을 핵심으로 Drone에 접목했고 이를 위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바닷새 및 해양어류의 이동 연구 동향: 위치추적 기법과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seabird and marine fish migration: Focusing on tracking methods and previous studies)

  • 최진환;윤성호;홍미진;강기호;이후승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25-5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바닷새 및 해양어류의 이동 연구방법 및 내용의 동향을 고찰하고, 기존 동물 이동 연구의 기본 틀에 의거하여 향구 연구방향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는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파추적 기법, 음향추적 기법, RFID, 위성추적 기법, 지오로케이터 등을 이용한 위치추적 기법이 바닷새 및 해양어류의 이동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개체군의 분포 및 밀도조사, 안정성 동위원소 등 체내 물질 분석을 통한 연구도 이루어진다. 연구내용의 경우, 크게 환경요인이나 종간 경쟁 등의 외적 요인, 호르몬을 비롯한 체내 물질과 같은 내적 요인, 어업활동이나 해상풍력단지 건설 등의 인위적인 활동, 그리고 기후변화가 바닷새와 해양어류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내적 요인과 관련하여 이동과 분산에 영향을 주거나 유발하는 요인이 되는 체내 생리적 요인이나 변화를 규명하고, 이동 능력 분석을 위하여 자기장의 변화가 조류 및 어류의 이주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나 종별 시공간적 이주 능력의 차이, 이주 정확성 및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또한 외부 환경적 요인과 관련해서는 어업활동이나 해상풍력 등의 방해요인과 기후변화가 해양동물들의 이주 및 분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마지막으로 여러 생태적 측면에서 서로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닷새와 해양어류에 대한 융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Chemical signalling within the rumen microbiome

  • Katie Lawther;Fernanda Godoy Santos;Linda B Oyama;Sharon A Huws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2_spc호
    • /
    • pp.337-345
    • /
    • 2024
  • Ruminants possess a specialized four-compartment forestomach, consisting of the reticulum, rumen, omasum, and abomasum. The rumen, the primary fermentative chamber, harbours a dynamic ecosystem comprising bacteria, protozoa, fungi, archaea, and bacteriophages. These microorganisms engage in diverse ecological interactions within the rumen microbiome, primarily benefiting the host animal by deriving energy from plant material breakdown. These interactions encompass symbiosis, such as mutualism and commensalism, as well as parasitism, predation, and competition. These ecological interactions are dependent on many factor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diverse molecules, such as those involved in quorum sensing (QS). QS is a density-dependent signalling mechanism involving the release of autoinducer (AIs) compounds, when cell density increases AIs bind to receptors causing the altered expression of certain genes. These AIs are classified as mainly being N-acyl-homoserine lactones (AHL; commonly used by Gram-negative bacteria) or autoinducer-2 based systems (AI-2; used by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although other less common AI systems exist. Most of our understanding of QS at a gene-level comes from pure culture in vitro studies using bacterial pathogens, with much being unknown on a commensal bacterial and ecosystem level,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rumen microbiome.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explored QS in the rumen using 'omic' technologies, revealing a prevalence of AI-2 QS systems among rumen bacteria. Neverthel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signalling systems on gene regulation, rumen ecology, and ruminant characteristics are largely uncharted territory. Metatranscriptome data tracking the colonization of perennial ryegrass by rumen microbes suggest that these chemicals may influence transitions in bacterial diversity during colonization. The likelihood of undiscovered chemicals within the rumen microbial arsenal is high, with the identified chemicals representing only the tip of the iceberg. A comprehensive grasp of rumen microbial chemical signalling is crucial for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food security and climate targets.

FC/FS 비율에 의한 분변오염원의 출처파악의 유효성 (Validity of Fecal Pollution Source Tracking using FC/FS Ratio)

  • 박지은;이영옥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8-3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validity of fecal coliforms to fecal streptococci ratio (FC/FS) for distinguishing the human from animal origin of fecal pollution in surface water. FC/FS ratio determined in effluent from municipal wastewater and human feces treatment plant (WWTP) and in downstream close to discharge of human feces was above 4 which indicates human origin. However FC/FS ratios determined seasonally in other water zones of the Nakdong River, even in the same sampling site, varied differently (above 4 or less than 0.7) due to different survival time of FC and F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fall in watershed. Compared to other season, FC/FS ratios in winter were much lower regardless of the origin. It is concluded that the FC/FS ratio determined in surface water is not always valid for determining the origin of fecal pollution.

Molecular Detection of Coxiella burnetii in Cattle on Ulleung Island,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with Four Years of Follow Up

  • Seo, Min-Goo;Kwon, Oh-Deog;Kwak, Dongm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1호
    • /
    • pp.69-73
    • /
    • 2019
  • In a population-based study with 4 years of follow up,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Coxiella burnetii in cattle on Ulleung Island, Korea. In this study, the rates of C. burnetii infection in cattle on Ulleung Island were determined by PCR and were found to be 0.3-1.0% in the period 2011-2014. All 17 C. burnetii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from PCR-positive cattle were identical and 2 geographic representatives were included in our analysis.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2 samples showed high (98.4-100%) identity with C. burnetii sequences obtained from the GenBank. In this long-term tracking study, the number of cattle positive for C. burnetii on Ulleung Island was low.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 burnetii on Ulleung Island, control strategy should include biosecurity improvement in surveillance, livestock management, administering suitable tests before purchasing animals to detect C. burnetii shedders, and restricting movements between herds.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 (A Moving Object Management System for Location Based Service)

  • 안윤애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12호
    • /
    • pp.986-998
    • /
    • 2003
  •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은 사람, 동물, 자동차,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이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시공간 데이터를 관리하며, 차량 추적 시스템, 디지털 전장, 동물 서식지 관리등과 같은 위치기반서비스에 적용된다. 기존의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은 이동 객체의 불확실한 위치 추정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며, 실시간 환경에서 발생되는 위치 정보의 손실을 처리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질의에 응답하지 못하거나 부정확한 질의 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 시스템은 시간에 종속적인 위치 변화 함수를 이용하여 이동 객체의 과거 및 미래의 위치 정보를 함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환경에서 발생되는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 손실을 보완하기 위한 위치 정보 트리거링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 시스템을 PDA 기반의 차량 검색 시스템에 적용 및 구현한다 이로 인해 제안 시스템이 위치기반서비스에 적용 가능함을 보인다.

  • PDF

Habitat selection in the lesser cuckoo, an avian brood parasite breeding on Jeju Island, Korea

  • Yun, Seongho;Lee, Jin-Won;Yoo, Jeong-Chi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2호
    • /
    • pp.106-114
    • /
    • 2020
  • Background: Determining patterns of habitat use is key to understanding of animal ecology. Approximately 1% of bird species use brood parasitism for their breeding strategy, in which they exploit other species' (hosts) parental care by laying eggs in their nests. Brood parasitism may complicate the habitat requirement of brood parasites because they need habitats that support both their host and their own conditions for breeding. Brood parasitism, through changes in reproductive roles of sex or individual, may further diversify habitat use patterns among individuals. However, patterns of habitat use in avian brood parasites have rarely been characterized. In this study, we categorized the habitat preference of a population of brood parasitic lesser cuckoos (Cuculus poliocephalus) breeding on Jeju Island, Korea. By using compositional analyses together with radio-tracking and land cover data, we determined patterns of habitat use and their sexual and diurnal differences. Results: We found that the lesser cuckoo had a relatively large home range and its overall habitat composition (the second-order selection) was similar to those of the study area; open areas such as the field and grassland habitats accounted for 80% of the home range. Nonetheless, their habitat, comprised of 2.54 different habitats per hectare, could be characterized as a mosaic. We also found sexual differences in habitat composition and selection in the core-use area of home ranges (third-order selection). In particular, the forest habitat was preferentially utilized by females, while underutilized by males. However, there was no diurnal change in the pattern of habitat use. Both sexes preferred field habitats at the second-order selection. At the third-order selection, males preferred field habitats followed by grasslands and females preferred grasslands followed by forest habitats. Conclusions: We suggest that the field and grassland habitats represent the two most important areas for the lesser cuckoo on Jeju Island. Nevertheless, this study shows that habitat preference may differ between sexes, likely due to differences in sex roles, sex-based energy demands, and potential sexual conflict.

Tracking Intravenous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odel of Elastase-Induced Emphysema

  • Kim, You-Sun;Kim, Ji-Young;Shin, Dong-Myung;Huh, Jin Won;Lee, Sei Won;Oh, Yeon-M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3호
    • /
    • pp.116-123
    • /
    • 2014
  • Backgroun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btained from bone marrow or adipose tissue can successfully repair emphysematous animal lungs,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ere, we describe the cellular distribution of MSCs that were intravenously injected into mice with elastase-induced emphysema. The distributions were also compared to the distributions in control mice without emphysema. Methods: We used fluorescence optical imaging with quantum dots (QDs) to track intravenously injected MSCs. In addition, we used a human Alu sequence-base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to assess the lungs, liver, kidney, and spleen in mice with elastase-induced emphysema and control mice at 1, 4, 24, 72, and 168 hours after MSCs injection. Results: The injected MSCs were detected with QD fluorescence at 1- and 4-hour postinjection, and the human Alu sequence was detected at 1-, 4- and 24-hour postinjection in control mice (lungs only). Injected MSCs remained more in mice with elastase-induced emphysema at 1, 4, and 24 hours after MSCs injection than the control lungs without emphysema.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injected MSCs were observed at 1 and 4 hours post injection and more MSCs remain in lungs with emphysema.

영상분석기법을 활용한 사육밀도에 따른 급이·급수 및 휴식공간별 육계의 행동특성 분석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roilers by Feeding, Drinking, and Resting Spaces according to Stocking Density using Image Analysis Technique)

  • 김현수;강환구;강보석;김찬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58-569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육계농가의 사육규모 대형화에 따라 정밀축산(PLF)의 관점에서 ICT기반 영상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육밀도에 따른 육계의 영역별 머무는 빈도(%)에 대해 평가하고, 일령별 육계의 정상적인 행동패턴을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기도 소재 육계농장 내 설치된 시험계사(3.3×2.7 m)에서 Ross308 육계를 공시축으로 이용하였다. 사육 밀도는 각각 9.5 수/㎡ (n=85), 19 수/㎡ (n=170)로 하였으며, 탑뷰(top view) 카메라를 이용해 급이·급수 및 휴식공간 영역별 머무는 빈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사육밀도에 따라 개체 식별된 육계 3수에 대해 일령별(12, 16, 22, 27, 및 29일)로 6시간씩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수집된 영상데이터는 물체 추적(object tracking) 기법으로 초당 30프레임으로 약 64만장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누적 이동경로를 기록하여 영역별 머무는 빈도(%)를 수치화하였다. 각 사육밀도에서 영역별 머무는 빈도(%)는 휴식공간, 급이영역, 급수영역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사육밀도(9.5 수/㎡)에서는 57.9, 24.2, 17.9%으로 나타났으며, 사육밀도(19 수/㎡)에서는 73.2, 16.8, 10.0%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ICT기반 영상분석기법을 활용해 육계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사육밀도에 따른 육계의 영역별 머무는 빈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ICT기반 사양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격무선추적을 이용한 집박쥐의 비번식기 행동권 분석 (Home-range Analysis of Pipistrelle Bat (Pipistrellus abramus) in Non-Reproductive Season by Using Radio-tracking)

  • 정철운;한상훈;이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7-492
    • /
    • 2010
  • 본 연구는 집박쥐의 비번식기 행동권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경주시의 집박쥐 주간 휴식장소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박쥐의 포획은 새끼의 출산이 이루어지기 이전인 2009년 5월 4, 10, 18일에 하였으며, 암, 수 각각 3개체씩 총 6개체를 이용하였다. 행동권 분석을 위한 원격무선추적은 발신기(LTM Single Stage Radio Transmitter, 0.38g), 수신기(R2000 ATS receiver, Advanced Telemetry Systems, Inc., Isanti, MN), Yagi 안테나(Three element Yagi antenna) 및 차량용 안테나(Roof mounted antenna)를 이용하였으며, 분석에는 ArcGIS 3.3 (ESRI Inc.) Animal Movement Extension 2.0을 이용하였다. 집박쥐의 행동권 분석결과 평균 행동권은 $14.46{\pm}3.44ha$로 조사되었으며, 암컷은 $16.83{\pm}1.96ha$ 그리고 수컷은 $12.08{\pm}2.96ha$의 행동권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암컷과 수컷의 행동권에서 평균적으로 암컷이 더 큰 행동권을 보이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t=2.32, p>0.05). 또한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주간 휴식지에서의 최대 이동 거리는 평균 $468.73{\pm}94.38m$ 로 나타났으며, 암컷($422.73{\pm}10.38m$)과 수컷($514.74{\pm}125.74m$)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1.26,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