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zing textbooks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4초

중학교 과학실험을 위한 퀘스트 기반 모바일 STEAM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Quest-Based Mobile STEAM Content for Scientific Experiments in Middle Schools)

  • 이현주;김유리;박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8-98
    • /
    • 2019
  • 2018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과학 분야에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과학실험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학습 흥미 진작과 과학적 태도 함양에 도움을 준다. 과학적 사실을 이론으로 배우는 것보다 실험을 통해 배우게 되면 학습자의 이해가 높아지며 좀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적 소양 함양에 있어서 실험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중학교에서는 시간과 예산, 재료 부족으로 과학실험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고 과학 예비교사 학생들을 주로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과학실험을 선정한 후, 가상 환경에서 과학실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형 모바일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앱은 학습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퀘스트 기반 학습방법을 사용하고 유니티를 사용하여 방탈출 게임형식을 접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앱을 개발한 후, 기존 앱들과의 차이점 분석과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향후 STEAM 콘텐츠로서 개발 의미와 기대효과에 대해 제언한다.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 이해 분석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rational exponent)

  • 신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21-39
    • /
    • 2021
  • 본 연구는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의 이해 특징을 분석하여 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구체화하고, 지수의 확장을 지도하는 수업에서 정의의 본질 및 그 이면의 사고를 다루기 위해 고려할 필요가 있는 교수학적 쟁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필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현직 고등학교 교사 50명의 답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의 이해 특징이 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교수학적 쟁점을 기술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사점 및 교수학적 쟁점을 국내 교과서 전개 방식에 비추어 해석하여 수업을 통해 지수의 확장과 관련된 정의의 본질을 의미있게 다루기 위해 교사 및 교과서가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는 측면을 제언하였다.

수요자 중심의 산업안전보건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ing a Consumer-oriented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 Focusing on Management Supervisors)

  • 최아름;황정호;김진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4-375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consumer-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priorities of subjects and their preference for educational method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773 management supervisors and education practitioners in the workpla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7 to August 30, 2019. Frequency analysis,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Microsoft Excel 2019 and IBM SPSS 21.0. Results: The highest perceived priorities for education subjects were as follows: ① 'CPR and First Aid Practice' and 'Occupational Disaster Prevention and First Aid Basic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②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Prevention', 'Occupational Disaster Prevention and First Aid basic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Prevention' in the service industry. 'Collective education' was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education. 'School-type' was preferred for the seating arrangement, and the proper number of trainees was considered to be about 30. Respondents sai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as a top priority when they applied for education, and curriculum and appropriate textbooks should be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cost of education. Conclusions: Practical subjects and subjects related to major hazards by industry were required for management supervisor education. It was proposed in this study that the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s of education be changed so that workers can easily comprehend essential subjects such a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urriculum and apply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ies for subjects reflected in the needs of trainees.

Development of Nutritional Biochemistry Learning Goals and Core Competencies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 Yoon, Hye-Young;Shin, Sun-Jung;Shin, Bo-Mi;Lee, Hyo-Jin;Choi, Jin-Sun;Bae, Soo-M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5
    • /
    • 2022
  • Backgroun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efforts are being made to introduce an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e competency of a dental hygienist. Because there is a connection and overlap in learning contents between Dental Nutrition and Oral Biochemistry, which are basic dental hygiene subjects,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se two subjects. This study aims to derive Nutritional Biochemistry as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Dental Nutrition and Oral Biochemistry, and to develop learning goals and competencies for Dental Nutritional Biochemistry. Method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ere compos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 Dental Nutrition and Oral Biochemistry textbooks, and learning goals were derived from the learning contents. Moreover, competency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duties of a dental hygienist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learning goal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of the competence and the learning goal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Results: In the first Delphi survey, the CVR for two competencies was 0.56 or higher. Moreover, it was revised based on expert's opinions, and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after the revision, the CVR was either increased or maintained. Eighty-five learning goals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the textbook. According to CVR and expert opinions, after the first Delphi survey, the number of learning goals was reduced to 69. After the second Delphi survey, 68 learning goals were finally derived. Conclusi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conduct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in basic dental hygiene.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과정 : 라이트봇 게임과 고전 미로 게임으로 시작하기 (Programming Language Curriculum for Computational Thinking : Starting with Lightbot hour and Classic maze)

  • 전병우;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87-994
    • /
    • 2021
  • 컴퓨팅 사고력은 분석적 사고 능력으로, 누구에게나 또 어디에서나 필요한 능력이다. 실과 교과서에 제공되어 있는 기존의 컴퓨팅 사고력 개발 교육은 절차적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어진다. 다수의 언플러그드 활동은 놀이를 통한 순차적 사고 과정 연습에 초점을 두어 프로그래밍 언어에 필수적인 추상화나 자동화 과정에 대한 학습이 부족할 수 있다. 또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초등 교육과정에 소개되지 않는 좌표 평면 등의 개념이 등장하여 학생들이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에 부담감을 느끼게 만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개발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 결과와 그 효과성은 비버챌린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이 수업 전보다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생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가정과 공동체주택 수업 개발 및 실행 효과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ffects of Home Economics Community Housing Classes for Improving Empath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희선;지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61-37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plan of apartment house class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 The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ADDIE model. In the analysis phase, the study set learning objectives after analyzing how community housing is dealt with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12 curr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experts and to improve the empathy ability, the study goal design,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elements,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were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empathic abilit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first class by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the 8th class. In the evaluation stage, we examined whethe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athy ability by evaluating the pre-post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pre - and post - evaluation of empathy abilit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cognitive and communicative factors were improved, and the apartment hous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동적 평형 학습에서 준미시적 표상 접근을 위한 스크래치 활용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Classes Using the Scratch for Quasi-Microscopic Representation Approaches in Dynamic Equilibrium Learning)

  • 이성재;김성기;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41-252
    • /
    • 2023
  • 이 연구는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화학의 여러 개념 중 하나인 동적 평형에 대한 학생의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적 평형은 입자들의 끊임없는 움직임과 상호 작용을 미시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발현되는 거시적인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와 표상이 겹친 준미시적 수준으로 다루어야 한다. 하지만 9종의 화학 I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평형에 대한 표현 방식은 다소 한계가 있었다. 준미시적 표상 접근을 통해 평형을 이해할 수 있는 전략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수업을 4차시로 구안 하였고, 56명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4차시 수업은 6단계로 구성이 되며, 단계적으로 평형을 이해하도록 설계하였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학생들이 화학 평형에 대해 미시적 설명과 거시적 설명을 모두 옳게 하는 학생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준미시적 표상의 접근 방식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수업의 적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교육학분야 전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하위주제영역별 이용자의 질문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an Educational Research Library: Focusing on Types of Questions Among Subareas of Education)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65
    • /
    • 2009
  • 교육학 분야 전문기관의 전자게시판에 접수된 참고질문의 유형과 하위주제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학의 23개 하위 주제영역을 대상으로 6개 질문유형을 가지고 242건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순수한 참고질문은 56.14%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도서실 게시판에 접수된 질문은 교과교육, 교과서, 교육일반, 교수 학습영역에서 조사형 질문이 많았으나 교육통계연구센터 게시판에는 교육제도, 고등교육, 학생 학부모 분야에서 즉답형 질문이 많이 접수되었다. 분석결과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메뉴구조 개선으로 이용자의 편의성 확보, 검색기능과 응답기능 갖춘 디지털참고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웹폼 참고질의양식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전자게시판 사용, 참고질의 관련 주제를 장서개발정책에 반영할 것이 제안되었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용 도서 선정과 관련한 교사들의 의사결정 탐색 (Elementary textbook adoption process and teacher decisions)

  • 한채린;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221-237
    • /
    • 2022
  • 이 연구는 검정 도서로 전환된 초등학교 3~4학년 수학 교과용 도서를 선정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을 조사하였다. 개별 학교에서 수학 교과용 도서 선정에 참여한 296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havelson과 Stern (1981)의 의사결정 모델에 따라 수학 교과용 도서와 관련한 이들의 신념, 도서를 평가하는 판단 기준으로서 도서 내·외적 요인,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1) 평소 신념과 실제 교과서 선정 의사결정 요소가 상충하는 현상, (2) 다교과 수업 업무에서 기인하는 의사결정 요소, (3) 교과서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정책과 차별성 없는 교과서에 안주하는 학교 현장 간의 괴리 현상 등 새로운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영역' 실험 활동에 포함된 실험 수행 능력 (Laboratory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ations of Matter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s)

  • 박현주;민병욱;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70-879
    • /
    • 2008
  • 이 연구는 26종의 중학교 1, 2,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물질' 분야에 제시된 실험 활동에서 요구하고 있는 실험 수행 능력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물질 분야에는 전체 7 단원에 걸쳐 총 359개의 실험이 제시되었다. 실험수행능력 분석틀에 따라 실험을 분석해 본 결과, 중학교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험수행능력이 필요하고, 학년별로 차이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패턴을 가지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전학년에 걸쳐 결과 정리와 자료 해석 및 일반화 능력이 가장 많이 요구되고 대체 실험과 관련된 능력들은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학년의 경우, 1, 2학년 실험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실험 수행을 위한 세부적인 능력이 골고루 필요로 하는 실험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험 상황 예측, 실험기구 설치, 측정기구사용, 오차원인 분석 능력은 2학년에게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기구 설치 능력은 1, 2학년에서, 안전사고 위험 숙지 능력은 1, 3학년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능력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