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ozyme variat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한반도 남부 지방 습지에 같이 자생하는 식충 육상 초본 2종 땅귀개 및 이삭귀개 (통발과)의 알로자임 변이의 결여: 집단의 역사 추론 (Lack of allozyme variation in the two carn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tricularia caerulea (Lentibulariaceae) co-occurring on wetlands in South Korea: Inference of population history)

  • 정미윤;;정명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7-303
    • /
    • 2017
  • 한반도 중부 및 남부에 작은 육상성 식충식물(땅속줄기에서 벌레잡이주머니 존재)인 땅귀개와 이삭 귀개가 종종 습한 장소(또는 습지 내)에서 같이 서식한다. 이들 2종은 아열대 및 열대 아시아의 주요 산지이기 때문에 한반도는 중국 중부 및 일본 북부 지역과 더불어 분포의 북방한계이다. 최후의 빙하기 최대 기간동안 따뜻한 온대 식물이 한반도에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두 종의 한반도 집단은 빙하기 이후에 기원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반도에서 빙하기 이후 정착에 대한 두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로, 현재 집단이 단일 조상 개체군(즉, 하나의 피난처)으로부터 유래된 자손에 의해 형성되었다면, 우리는 낮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기대할 것이다. 반면에, 현재 한반도 집단이 여러 집단(몇 곳의 피난처)에서 유래되었다면, 우리는 높은 수준의 유전적 변이를 기대할 수 있다. 어떤 가설이 더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저자들은 한반도 남부지방 10곳 지역을 대상으로 알로자임 변이를 조사하였다. 저자들은 각 종 내에서 알로자임 변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기존 연구된 그들의 수생 동속종인 Utricularia australis는 일본 전 지역을 대상으로 채집된 자료에서 알로자임 다형성을 보였다(3개의 효소 시스템에서 4개의 다형성 좌위가 보고됨). 저자들은 땅귀개와 이삭귀개가 남한으로 각각 개체군이 유전적 다양도가 낮은 조상집단에서 한번 도입되었을 가능성을 제안한다.

한국산 바위솔속(돌나물과) 5종에 대한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in five species of Korean Orostachys (Crassulaceae))

  • 김형덕;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5-311
    • /
    • 2005
  • 한국산 돌나불과 바위솔속 식물의 동위효소 변이와 분류군의 실체를 알아보기 위해 5종 24 개 집단을 대상으로 전분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동위효소 분석 결과로 나타난 전형질도에 의하면 5종의 한국산 바위솔속 식물은 2개의 주요 군으로 나누어 졌다. 그리고 이들 두 군은 기존에 분자 형질과 형태 형질을 기초로 한 결과에서 바위솔속을 Appendiculatae아절과 Orostachys아절로 나누는 처리와 일치하였다. 한국산 바위솔속 종간의 낮은 유전적 동질성은 본 속의 종들이 지리적 종분화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분화되었음을 시사한다. 유사한 생활사와 생식 양상을 갖고 있는 종들의 유전적 자료와 비교해 보면, 넓게 분포하는 바위솔이 좁게 분포하는 다른 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자 변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바위솔속 식물들은 매우 낯은 유전적 변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격리된 서식처, 집단 내 적은 수의 개체, 서식처의 파괴, 근친교배, 무성생식 등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정동진에서 채집된 둥근바위솔 집단(POP 21) 은 다른 둥근바위솔과는 유전적으로는 이질적인 균으로 기존의 화분학적, 형태학적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고 있다. 본 동위효소 자료는 최근 신분류군으로 발표된 울릉연화바위솔과 진주바위송의 분류학적 처리를 지지하고 있다.

수본(數本)의 양친수(兩親樹)에 의해 전파증식(傳播増殖)중에 있는 리기다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 (Genetic Structure of Pinus rigida Mill. in an Expanding Population Originating from a Few Founder Trees)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16-26
    • /
    • 1986
  • 처음 8본의 리기다소나무 양친수로부터 전파 증식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AAT, GDH, LAP 등의 Allozyme에 의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표본으로 선정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은 산의 남쪽 낮은 지대에 처음 식재되었던 8본의 양친수로부터 종자가 무더기 무더기로 군데군데 colony를 형성하면서 동쪽, 서쪽, 북쪽으로 전파 증식되어 산지의 각 부분 부분마다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가계군(家系群)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이주(移柱)와 colony 형성과정에서 부분적으로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이 심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결과 처음 리기다소나무 colony가 형성되었던 산의 남쪽지역과 나중에 colony가 형성되었던 북쪽 지역의 소집단 사이에 상당량의 유전자 빈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에 의해 소수 유전자좌(座)에 유전자 고정 현상이 나타났으나 기타의 유전자좌(座)에서는 유전자 Recombination이 일어났다. Gene Recombination에 의한 이형접합체(異型接合體)의 형성과 이들의 자연도태 현상에 의해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있어서도 상당량의 유전적 다양성과 이형접합성(異型接合性)이 유지되고 있었다.

  • PDF

Comparative Genetic Diversity in Natural and Hatchery Populations of Indian Major Carps (C. catla and L. rohita)

  • Rana, R.S.;Bhat, K.V.;Lakhanpal, S.;Lakra, W.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197-1203
    • /
    • 2004
  •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zation of three populations (two hatchery and one natural) of Indian major carps Catla catla and Labeo rohita from different locations in India. The genetics of Indian major carps has been completely obscure and this is the first report on comparative allozyme variations in natural and hatchery population. The total 10 biochemical genetic markers used to measure interspecific and intraspecific level of diversity. The allele frequency data indicate different level of genetic variability in three populations. The hatchery population exhibited least polymorphism, low level of heterozygosity and genetic diversity.

Allozyme Variation of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in the Freshwater Snail Genus Gyraulus (Pulmonata : Planorbidae)

  • Younghun Jung;Park, Yun-Kyu;Chung, Pyung-Rim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11-16
    • /
    • 2000
  • The electrophoretic banding patterns of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PGD) in the two different chromosomal ploidy groups of Gyraulus were compared. The monomeric or dimeric banding patterns or allelic variations in a locus of PGD were observed in four diploid populations (Osan, Sohre, Kimpo and Kangwha) of G. convexiusculus occurring in Korea, whereas the isozyme banding patterns encoded by at least 3 different loci were shown in the tetraploid populations of G. (Torquis) groups collected from Michigan, the U.S.A. Of 3 different tetraploid groups, G. (T.) circumstriatus group showed 3 monomorphic isozyme banding patterns, and the other 2 populations showed some allelic variations. Such results provided good evidence to differentiate tetraploid subgenus Torquis group from the diploid Gyraulus populations.

  • PDF

The genetically healthy terrestrial orchid Liparis krameri on southern Korean Peninsula

  • CHUNG, Mi Yoon;CHUNG, Jae Min;SON, Sungwon;MAO, Kangshan;LOPEZ-PUJOL, Jordi;CHUNG, Myong G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4-333
    • /
    • 2019
  • Neutral genetic diversity found in plant species usually leaves an indelible footprint of historical events. Korea's main mountain range (referred to as the Baekdudaegan [BDDG]), is known to have served as a glacial refugium primarily for the boreal and temperate flora of northeastern Asia. In addition, life-history traits (life forms, geographic range, and breeding systems) influence the within- and among-population genetic diversity of seed plant species. For example, selfing species harbor significantly less within-population genetic variation than that of predominantly outcrossers. A previous study of two Liparis species (L. makinoana and L. kumokiri) emphasizes the role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shaping the levels of genetic diversity. Liparis makinoana, mainly occurring on the BDDG and self-incompatible, harbors high levels of within-population genetic diversity (expected heterozygosity, HeP = 0.319), whereas there is no allozyme variation (HeP = 0.000) in L. kumokiri, which is self-compatible and mainly occurs in lowland hilly areas. To determine if this trend is also found in other congeners, we sampled five populations of L. krameri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nvestigated the allozyme-based genetic diversity at 15 putative loci. The somewhat intermediate levels of within-population genetic variation (HeP = 0.145) found in L. krameri are most likely due to its occurrence in mountainous areas that, despite being outside of the main ridge of the BDDG, still served as refugia, and a self-incompatible breeding system. Management strategies are suggested for L. krameri and L. makinoana based on the levels and distribu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inbr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