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lici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산 및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의 품질 특성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rozen Chopped Garlic)

  • 이슬;김석영;황인국;유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1-117
    • /
    • 2015
  • 시판되는 냉동 다진 마늘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냉동 다진 마늘 국내산 4종과 중국산 2종을 수집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냉동 다진 마늘의 수분 함량은 국내산이 $64.95{\pm}0.09{\sim}72.06{\pm}0.11%$, 중국산이 $83.80{\pm}0.10{\sim}90.93{\pm}0.23%$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중국산 제품의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동 감량은 국내산 냉동 다진 마늘이 $0.33{\pm}0.07{\sim}0.70{\pm}0.22%$,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은 $8.89{\pm}0.66{\sim}10.26{\pm}0.77%$로 측정되어 국내산에 비해 약 10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으며, 해동 감량은 각 시료의 수분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r=0.918, P<0.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 다진 마늘의 total pyruvate 함량은 국내산의 경우 $118.69{\pm}5.97{\sim}224.81{\pm}9.92{\mu}mol/g$으로 중국산이 $75.27{\pm}5.91{\sim}79.35{\pm}1.79{\mu}mol/g$인데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llicin 함량은 국내산이 $8.91{\pm}0.34{\sim}13.09{\pm}0.35mg/g$으로 중국산 $5.91{\pm}0.08{\sim}6.05{\pm}0.27mg/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0.60{\pm}0.07{\sim}1.33{\pm}0.12$ O.D./g으로 측정되었다. Allicin 함량과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r=0.892, P<0.01)를 보였다. 전자코에 의한 냉동 다진 마늘의 향기 패턴 분석은 국내산과 중국산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hibitory Activity of Garlic Fermented by Pediococcus pentosaceus KACC 91419 against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 Ham, Jun-Sang;Lee, Seung-Gyu;Kim, Min-Kyung;Oh, Mi-Hwa;Jeong, Seok-Geun;Kim, Dong-Hun;Lee, Se-Hyung;Chae, Jong-Pyo;Lee, Ji-Yoon;Kang, Dae-Ky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9호
    • /
    • pp.1236-1243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creen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fermentation of garlic and to assess the increase in inhibitory activity of garlic fermented against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for use as an animal feed supplement. We screened 45 strains of lactobacillus for the fermentation of garlic. Of these strains, 23 showed similar growth rates with or without allicin. Cultures of the 23 strains were mixed with an equivalent amount of garlic juice and incubated overnight at $37^{\circ}C$. The three strains with the lowest pH values were Lactobacillus paracasei KCTC 3169, L5 strain, and L. reuteri SW. Garlic juice fermented by the L5 strain more strongly inhibited antibiotic-resistant pathogenic bacteria than L. paracasei KCTC 3169, L. reuteri SW, or garlic juice itself. By examining carbohydrate utilization, morphologic properties and 16S rRNA gene sequences, we identified the L5 strain as Pediococcus pentosaceus and deposited it in the name of P. pentosaceus KACC 91419 into the 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To identify the antimicrobial compound from the garlic filtrate fermented by P. pentosaceus KACC 91419, we fractionated P. pentosaceus KACC 91419 culture on a C18 column and check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s A6 to A10. Only fraction A9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Staphylococcus aureus. Comparing the mass spectra of the fractions with and without antimicrobial activity, we observed a single dominant product ion (m/z 157.99) from the fraction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Its molecular mass (157.99) was 2 atomic mass units less than that of allicin (162.02). This suggests that allicin might be converted to its derivative, which has antimicrobial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by P. pentosaceus KACC 91419.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마늘 열수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 of Garlic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진만;차태양;김성호;권택규;권중호;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5-393
    • /
    • 2007
  •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 및 농산물의 생리적 활성에 대하여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조건별로 마늘의 유효성분 함량 및 항산화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열수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용매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lin allicin 및 total thiosulfinate는 추출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출시간 및 용매비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변수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과 항산화적 특성에 대한 추출조건을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으로 최적조건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조건 $80^{\circ}C$, 추출시간 3.5 hr 및 용매비 8.5 v/w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감은 실제 유효성분 및 항산화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유사한 감을 보였다.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전자선 살균 효과와 생리활성 성분의 안정성 (Cold Pasteurization of Frozen Crushed Garlics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the Stability of Bioactive Components)

  • 이현규;조윤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14
    • /
    • 2016
  • 시판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전자선 살균 효과를 알아보고, 유효성분 및 항균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산 및 중국산 시료에 대해 실험하였다. 냉동다진마늘은 4 kGy 이상의 조사처리에서 ND 이하의 미생물 수준을 나타내어 살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수분은 국산에 비해 중국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으나, 조사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반적 색차는 4 kGy 이상의 선량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의 total thiosulfinate 및 total pyruvate 함량은 살균을 목적으로 한 7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마늘의 alliin 및 allicin 함량은 4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7 kGy 선량에서는 특히 중국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마늘의 에탄올 추출액은 Y. enterocolitica 균주를 포함한 7종의 병원성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clear zone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4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는 생리활성 성분의 변화 없이 미생물학적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정 선량으로 확인되었다.

제주의 화산회토양 및 비화산회토양에서 재배한 난지형 마늘의 주요성분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he Main Components of the Southern Ecotype Garlic Cultivar Cultivated in the Volcanic or Nonvolcanic Ash Soil of Jeju Island)

  • 김주성;라종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49-556
    • /
    • 2016
  • 본 연구에서 제주의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에서 난지형 마늘인 남도 마늘과 대서 마늘을 재배하여 토양 및 마늘의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남도 마늘을 재배한 화산회토양에서는 전기전도도 및 가용성 황 함량이 높았으며 대서 마늘을 재배한 화산 회토양에서는 유기물함량 및 총 질소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남도 마늘을 재배한 비화산회토의 경우 가용성 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화산회토에서 재배한 남도 마늘의 경우 가용성고형물 및 알리신 함량이 높았으며, 화산회토에서 재배한 대서 마늘의 경우 환원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주에서 재배된 마늘의 대량원소 함량은 칼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황, 마그네슘, 칼슘 및 나트륨 순이었으며 미량원소의 경우 철, 아연, 망간, 구리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품질 마늘 생산을 목표로 하는 재배농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조리법에 따른 국내산 마늘종과 마늘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and Garlic Bul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 정지영;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8-194
    • /
    • 2009
  • 마늘종의 조리법으로 빈번이 사용되고 있는 데치기, 볶음처리, 간장 절임 마늘종장아찌, 고추장 절임 마늘종장아찌를 선택하여 마늘종을 조리한 후에 항산화관련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생마늘종과 비교 측정하여 마늘종을 활용한 응용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마늘종은 생마늘에 비해 알리신이나 페놀화합물 함량이 낮게 함유되었으나 클로로필, $\beta$-카로틴, 비타민 C는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후 마늘종에 함유된 클로로필과 $\beta$-카로틴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비타민 C, 페놀화합물, 알리신 함량은 감소하였다. 측정된 항산화 효능은 생마늘이 EDA와 NSA가 생마늘종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나 SOD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조리 후 마늘종의 항산화 효능은 감소하여 생마늘종, 볶음 처리, 데치기, 간장 절임 마늘종장아찌, 고추장절임 마늘종장아찌 순으로 낮아졌다. 조리 후에도 마늘종의 EDA와 NSA는 마늘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생것에 비해 그 차이가 적어져 EDA는 마늘의 약 70%, NSA는 약 65% 정도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마늘과 유사하였다. 조리 전, 후에 나타난 항산화 효능은 한지형이 난지형보다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효능 면에서 마늘종을 생으로 먹는 것이 가장 좋고, 기호에 따라 단시간 볶거나 데친 후에도 상당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더욱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들도 추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숙성마늘 extract 의 biomarker로서 생리활성 성분 (Biological Constituents of Aged Garlic Extract as Biomarker)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8-146
    • /
    • 2009
  • 마늘은 역학조사에 의하면 각종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의 주요 성분인 알리신 성분은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분해되어 새로운 형태의 유황 화합물로 만들어져 이들 성분들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중요한 생리황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판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마늘제품 중에서 숙성마늘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하여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숙성마늘제품은 마늘을 일정한 조건으로 숙성시킬 때 수용성 성분인 S-allylcysteine, S-allylmercaptan, steroid saponins, te-trahydro-${\beta}$-caboline derivatives 및 fructeosyl-arginine 등이 많이 증가하여 그 효능이 상승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시판 마늘가공품의 품질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이들 수용성 성분을 biomarker로서 규격기준을 정해야 할 것이다.

고압처리에 의한 Alliinase의 불활성화가 마늘의 풍미에 미치는 영향 (High Pressure Inactivation of Alliinase and Its Effects on Flavor of Garlic)

  • 손경현;임재각;공운영;박지용;야구명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93-599
    • /
    • 1996
  • 고압처리에 의한 효소반응의 조절을 연구하기 위하여 마늘에 압을 적용하여 alliinase의 압력에 의한 활성변화를 해석하였다. 마늘을 $25^{\circ}C$에서 10분간 고압 처리한 결과 alliinase 활성은 150 MPa 및 300 MPa에서 변화가 없었고, 500MPa에서는 완전히 불활성화되었다. 한편 정제된 alliinase는 150MPa에서 30%, 300 MPa에서 80%, 500MPa에서 100% 불활성화되어, 효소의 상태에 따라 압력에 의한 불활성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압처리에 의한 alliinase의 불활성화는 상온보다는 고온 또는 저온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0^{\circ}C$에서 500MPa로 고압처리한 마늘은 allicin이 거의 생성되지 않아 매운 맛을 느낄 수 없었고, 휘발성 화합물의 50%이상이 제거되어, 마늘의 무취화에 고압처리를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제주 서부지역 비화산회토양에서 수확한 남도마늘의 기능성 성분 함량 및 토양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s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Bioactive Constituents of Namdo Garlic Harvested in the Non-volcanic Ash Soil Distributed Western Jeju)

  • 김주성;라종환;현해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5-131
    • /
    • 2015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ingredient analysis of harvested garlic bulb and soil analysis of four garlic-cultivated regions in Jeju, being one of the major areas of Namdo garlic production. Soil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were 7.02 and 1.03 dS/m, respectively. Soil organic matter was 4.31%. The mineral elements (potassium, calcium, magnesium, sodium, iron, manganese, copper and zinc) of Namdo garlic cultivated soil were analyzed by ICP, and calcium was the most highly contained mineral with $14.67cmol_+/kg$ a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magnesium ($2.25cmol_+/kg$), potassium ($1.51cmol_+/kg$). Soluble solid and total acidity were 7.60 oBrix and 0.49%,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garlic bulb were in order of potassium (12,728 ppm) > sulfur (7,778 ppm) > phosphorus (4,916 ppm) > magnesium (691 ppm) > calcium (359 ppm).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d reducing sugar were 71.14 mg GAE/100 g, 17.64 mg QE/100 g and 26.53 mg GE/g, respectively. Alliin and allicin were 8.78 mg/g and 2.10 mg/g, respectively.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ineral contents of soil and garlic bulb are analyzed. Macronutrients of soil is correlated with macronutrients of garlic (positive) and micronutrients of garlic (negative) contents.

Effect of Exposing Eggs of Uzi Fly, Exorista bombycis (Louis) (Diptera : Tachinidae) to Volatiles of Allium sativum L. (Liliaceae)

  • Narayanaswamy, K.C.;Dandin, S.B.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26
    • /
    • 1998
  • Exposure of freshly laid eggs of Exorista bombycis (Louis) to volatiles emanating from bulbs of Allium sativum L. for different durations resulted in signigicant reduction in their hatchability. Maggots hatched from the eggs exposured for 64 h and 72 h were failed to emerge from host larvae. The duration of development stages of E. bombycis was prolonged besides reduction in rate of pupation and adult emergence as the egg exposure period increased.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as the chronic effects of volatiles of garlic affecting maggots following developmental defects sustainable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The known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A. sativum such as allicin, thioacrolein, ajoune, 2-propene sulfenic acid, 2-propene thiol and propylene were presu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adverse consequences reported in this pap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