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gebra teaching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2초

복소수 지도에 관한 De Morgan의 관점 (The De Morgan's Perspective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plex Number)

  • 이동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9-82
    • /
    • 2012
  • 본 논문은 복소수 지도에 대한 De Morgan의 관점을 분석하였다. De Morgan의 복소수를 도입하고 정당화하는 과정은 그의 대수에 대한 관점이 보편적 산술, 기호 대수, 의미 대수로 발전해가는 과정과 일치한다. De Morgan은 허수의 유용성을 이유로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허수를 인정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De Morgan은 기호의 의미나 대상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기호대수를 수용했다. 그러나 그는 허수의 의미를 포기할 수 없었고, 결국 길이와 방향을 가진 직선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대수 이론을 전개하였다. De Morgan은 복소수 지도를 정당화하는 과정을 정련해가면서 대수와 수학 전반에 관한 자신의 관점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복소수의 지도가 새로운 수학적 개념의 도입에 머물지 않고 대수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발전을 일으키는 촉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선형대수학의 학습에서 벡터이론은 행렬이론보다 선행되어야 하는가 (Is vector theory prior to matrix theory in teaching of linear algebra)

  • 박홍경;김태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9
    • /
    • 2010
  • 오늘날 선형대수학은 이론의 기초적 성격과 응용의 풍부성으로 인해 대학수학에 있어서 필수적인 분야로서 자리하고 있다. 벡터이론과 행렬이론은 선형대수학의 주된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대수학의 학습에서 벡터이론과 행렬이론 중 어느 것을 먼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제시할 때 본 연구의 주된 결과, 역사적 순서와는 달리 벡터이론이 행렬이론보다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선형방정식계의 해법을 중심으로 한 선형대수에서의 교수법 연구 (Research on Teaching of Linear Algebra Focused on the Solution in the System of Linear Equations)

  • 강순부;이용균;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323-335
    • /
    • 2010
  • 선형대수는 대수학, 해석학, 기하학 등 수학의 모든 분야의 문제 해결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뿐만 아니라 항공공학, 전자공학, 생물학, 지질학, 기계공학 등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쓰이는 이용도가 높은 학문이다. 따라서 선형대수는 수학 전공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에게도 쉽게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선형대수 학습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왜 어려움을 느낄까? 선형대수를 학습하는 많은 학생들은 개념을 아예 인지하지 못하거나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산지식을 통해 오개념을 갖게 되고, 연이어 학습되는 부분에서 학습장애를 일으키고 오류를 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선형방정식계의 학습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어려움과 오류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보다 효과적인 선형대수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f Behaviors of Teachers' Evaluation Based on Algebra Classrooms

  • Ye, Lijun;Yu, P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4호
    • /
    • pp.207-216
    • /
    • 2012
  • Through quantitative video analysis of four algebra classes and statistical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teacher evaluation behavior in the classroom teaching, we get: (1) Teacher evaluation behavior in classroom is close to take 1/5 of the total time of the classroom teaching, and it appears most frequently in class exercises and take the longest time; (2) There are many forms of teacher evaluation behavior in classroom, and most of the behaviors are positive assessment; (3) Recognition evaluation is relatively conservative in a single form without losing fairness; (4) Classroom assessments of teachers' behaviors are primarily concerned about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mastery, and it is less involved in student feelings, attitudes and behaviors; (5) The correct teacher evaluation behavior in classroom will inspire students to create internal motivations; and (6) The correct teacher evaluation behavior in classroom can stimulate the potential of students.

Mathview를 도구로한 고등학교 함수 단원 구성 (Mathematics Curriculum with Computer Algebra System: The Development of the Function Curriculum Using 'Mathview' in the 10th Grade Mathematics)

  • 류희찬;지현희;조민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183-20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ructure the 10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for teaching the function area under the computer environment using ‘Mathview’, which is a computer algebra system designed for exploring algebra dynamically. The instructional sequence of the function area was redesigned to highlight the functions and properties of the computer software. And, based on the newly designed sequence, this study develops the sample ‘teaching unit’ using Mathview. The basic principle of the materials is to encourage students to investigate mathematics by manipulate various experimental tasks by themselves or through group study. And, the draft of the sequence and teaching unit was reviewed by some mathematics teachers and revised through the feedback.

  • PDF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7-가] 단계의 변수 개념 지도에 관한 교수학적 논의 (A Didactical Discussion on the teaching of variable concept in the [7-first] stage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67-87
    • /
    • 2001
  • Variable concept plays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not only algebra itself but also school mathematics which is algebra-oriented. It solves as an essential means in applying mathematics to the real world because il enables us to describe varying phenomena in the real world. In this study, we examined some matters related to the learning of variable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we discussed on the teaching of variable concept in the [7-first] stage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We analysed the textbooks in the [7-first] stage and attempted to explain concretely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variable concept which be taught in school mathematics. After reconsidering the practices on variable concept teaching, we pointed out the problems of formalistic teaching method and then proposed the direction in which variable concept teaching should go.

  • PDF

대수의 탈산술화에 관한 고찰

  • 김성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44
    • /
    • 2003
  •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dearithmetization’ of algebra. Historically, the origin of algebra comes from arithmetic. Also school algebra is related to arithmetic in general. However, we have many difficulties in teaching school algebra, and there is many problems for students to learn algebra from elementary arithmetic knowledges. This paper supposed that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 may be founded in the ‘dearithmetization’ of algebra. And we supposed that the ‘dearithmetization’ of algebra may be developed by three historical achievements - the completion of symbolic algebra, the principle of permanence of form, and the expansion of number concepts. In order to justify these supposition, we investigate Peacock's ideas, i.e. ‘symbolic algebra’, ‘the principle of permanence of form’, and consider how the integer is introduced in modern mathematics. And we analyze various textbooks, and investigate the ‘dearithmetization’ of school algebra which has been progressed in the three fields - symbolic algebra, the principle of permanence of form, and the expansion of number concepts.

  • PDF

Clairaut의 <대수학 원론>에 나타난 대수 지도 원리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Principles for Teaching Algebra Revealed in Clairaut's )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53-270
    • /
    • 2007
  •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A.C. Clairaut는 역사발생적 원리에 근거하여 기하 교재에 이어 대수 교재 <대수학 원론>을 집필하였다. 본 논문은 <대수학 원론>을 분석함으로써 대수 지도를 위해 Clairaut가 의도한 원리 및 구체적인 방식의 특징들을 고찰하고, 학교 수학에서 대수 영역의 교수-학습과 비교, 논의함으로써 적용 가능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대수학 원론>의 구성 및 내용에 대해 개관하고 초보자의 정신에 자연스럽게 전개한다는 Clairaut의 의도에서 비롯된 대수 지도 원리의 여섯 가지 특징을 추출한다. 이 중에는 <기하학 원론>에서의 특징과 공통적인 것도 있고 대수라는 내용 영역상의 구별에서 비롯되는 독특한 것도 있다. 그리고 학교 수학의 대수 영역 중 특정 주제-방정식 세우기, 문자식의 계산과 문자의 부호, 곱셈의 부호 규칙, 이차방정식의 해법, 근과 계수와의 일반적 관계-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시사점을 찾는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Teaching Language of a Novice Teacher and an Expert Teacher in Algebra Instruction

  • Wang, Si-kai;Ye, Li-j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3-22
    • /
    • 2020
  •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classroom teaching is directly affected by the teaching language. Comparing the teaching language of a novice teacher in algebra instruction with an expert teacher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cs, it comes to a conclusion that: both teachers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use of the teaching language, with the proportion of the teaching language time more than 50%; the novice teacher uses the affirmative language frequently, twice as often as the expert teacher; the declarative language the novice teacher uses in the exploration is mostly to repeat students' answer, which takes up a short time; the novice teacher uses the teaching language too much in the consolidation, which causes few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hink. Then we get the following revelations: streamline the teaching language and control the time of the teaching language reasonably; make good use of the affirmative language to provide students hints and necessary time for thinking; avoid simple restatement of the student's answer and use the declarative language ingeniously to improve the feedback quality; use the teaching language appropriately to help students accumulate basic experience in mathematics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