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achlo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2초

수수유묘에 있어서 fluxofenim의 약해경감효과와 glutathione S-transferase 효소활성 (Effect of safener fluxofenim on crop injury of chloroacetanilides and enzyme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 grain sorghum seedlings)

  • 황인택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03
    • /
    • 1998
  • 제초제 alachlor와 metolachlor가 처리된 수수의 생장에 대한 약해경감제 fluxofenim의 약해 경감효과와 경감기작의 하나로 추정되는 GST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초제 metolachlor와 alachlor는 수수(품종;G522DR)의 유묘생장을 크게 억제하였는데, 지상부 및 뿌리에 대한 50% 생장억제 농도가 각각 30.8, 28.8 ${\mu}M$과 4.48, 6.23 ${\mu}M$로 두 약제 모두 수수의 지상부에 대한 억제보다 뿌리에 대한 억제가 컸다. Fluxofenim을 종자에 처리하여 파종하고 metolachlor또는 alachlor을 처리하면 수수의 유묘생장이 회복되어 fluxofenim처리에 의한 약해경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약해경감제 fluxofenim을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수수 유묘로부터 추출한 GST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fluxofenim을 처리한 수수의 유묘로부터 추출한 GST의 활성이 CDNB를 기질로 사용하였을때 70% 증가되었고, [$^{14}C$]-metolachlor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에도 82% 증가되었다. 따라서 약해경감제 fluxofenim을 처리한 수수와 처리하지 않은 수수의 metolachlor또는 alachlor에 대한 선택성의 차이는 fluxofenim 처리로 증가된 GST에 의한 metolachlor-glutathione 또는 alachlor-glutathione conjugation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새뱅이 (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 의 유생 발생을 통한 수종 살충제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xicity of several pesticides on larval development of shrimp car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 Kim, Cha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3호
    • /
    • pp.257-265
    • /
    • 1992
  • The effects of insecticide dimilin including the technical grade(tg) and wettable power(wp-25), inhibiting the synthesis of chitin in the cuticle of insect larvae, and herbicides alachlor and atrazine on the development of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concentrations. This species is abundant in the freshwater such as river and pond. The shrimp larvae were reared at dimilin solutions(tg and wp 2), alachlor solutions, and atrazin solutions. the concentrations of dimiline were 0, 1, 5, 10 and 25 ppb dimilin solutions, and those of alachlor and atrazin were 0, 1, 5, 10 and 25ppm, respectively.mortality was high at 10 ppb when the larvae were exposed to dimilin and at 25ppm in the case of alachlor and atranzine solutions. If lethal concentration is defined as a concentration in which less than 10% of larvae to the post larval stage from hatching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dimilin is 5ppb, and that of alachlor and atrazin is 25 ppm.

  • PDF

Effect of Different Herbicides on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in Corn-soybean Mixture Cropping

  • Kim, Dong Woo;Song, Yowook;Kim, Jeongtae;Fiaz, Muhamad;Kwon, Chan H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8-115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herbicides in corn-soybean intercropping for optimum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under Korean environment conditions. Herbicidal treatments were randomly applied over five plots, viz. (1) Control treatment: no herbicide; (2) Alachlor; (3) Simazine; (4) Pendimethalin and (5) Mixture of alachlor and simazine herbicides in RCBD have three replications. Results depicted that treated herbicides exhibited significant effect over control of weeds. Simazine herbicide alone or mixed with alachlor had adverse effects on soybean but enhanced (p<0.05) corn production in terms of survivability, dry matter and digestible nutrients yield. Corn-soybean coupling and total dry matter yield were greater (p<0.05) in pendimethalin. Simazine-alachlor mixture reduced (p<0.05) soybean height. Conclusively, simazine could not be suitable for corn soybean intercropping because of having an adverse effect on soybean component. Pendimethalin could maintain growth and yield of corn and soybean both components. Effect of alachlor was comparable to that of pendimethalin.

폴리에틸렌 멀칭재배시(栽培時) 농약(農藥)의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體中) 잔류(殘留)에 관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제초제(除草劑) Alachlor, Pendimethalin, Diphenamid의 잔류성(殘留性) (Studies on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Soils and Crops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IV. Persistence of Herbicides Alachlor, Pendimethalin and Diphenamid)

  • 양환승;문영희;김낙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4-20
    • /
    • 1988
  • 폴리에틸렌필름(P.E)멀칭이 제초제(除草劑) alachlor, pendimethalin, diphenamid의 토양(土壤) 및 수확물중(收穫物中)의 잔류성(殘留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하여 고추, 땅콩, 참깨포장(圃場)에서 로지조건(露地條件)을 대조(對照)로 하여 조사(調査)하였다.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3종제초제(種除草劑)의 로지조건(露地條件)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alachlor의 경우 땅콩과 참깨포장(圃場)에서 $3{\sim}4$ 일(日), pendimethalin은 고추포장(圃場)에서 30일(日), diphenamid는 고추, 땅콩, 참깨포장(圃場)에서 $24{\sim}46$ 일정도(日程度)였다. 분해(分解)가 빨랐던 alachlor의 반감기(半減期)는 로지조건(露地條件)과 P.E.피복조건(被覆條件)에서 거의 차(差)가 없었다. 분해(分解)가 느렸던 pendimethalin과 diphenamid는 로지조건(露地條件)에서보다 P.E.피복조건(被覆條件)에서 각각(各各) 30일(日)과 $20{\sim}90$ 일간(日間) 더 길었다. P.E.피복(被覆)의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pendimethalin은 최종적(最終的)으로 수확(收穫)된 고추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alachlor도 땅콩과 참깨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diphenamid의 땅콩중(中) 잔류량(殘留量)은 0.147ppm(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sim}0.071ppm$(로지조건(露地條件))이었고, 참깨중(中) 잔류량(殘留量)은 0.022ppm(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sim}0.129ppm$(로지조건(露地條件))이었는 바, 이는 양조건(兩條件)에서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0.2ppm) 이하(以下)였다.

  • PDF

Alachlor와 P.E. 피복(被覆)이 땅콩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lachlor Herbicide and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Growth and Yield of Peanuts)

  • 이석순;강광희;백준호;이계홍;정상환;최대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9-87
    • /
    • 1984
  • 본(本) 시험(試驗)은 Polyethylene(P.E.) 피복(被覆)을 할 때 alachlor의 제형(製形), 약량(藥量), 및 P. E. 피복(被覆)이 땅콩의 약해(藥害),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과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경북(慶北) 칠곡(漆谷)의 점질토양(粘質土壤)에서 실시(實施)하였으며 품종(品種)은 영호(嶺湖)땅콩 이었다. 제초제(除草劑)는 alachlor 입제(粒劑)(유효성분(有效成分) 5%)와 유제(乳劑)(유효성분(有效成分) 43.7%)를 사용(使用)하였고 약량(藥量)은 제품량(製品量)으로 10a 당(當) 입제(粒劑) 3 및 6kg, 유제(乳劑) 300cc 및 약제무처리(藥劑無處理)이었고 각(各) 처리(處理)마다 제초제처리당일(除草劑處理當日)과 처리(處理) 3일(日)째에 P. E. 피복(被覆)을 하였으며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는 입제(粒劑)를 3 및 6kg 처리(處理)하였다. 땅콩의 약해(藥害), 생육상황(生育狀況) 및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 조사(調査)는 파종후(播種後) 20일(日) 40일(日), 및 수확기(收穫期)에 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율(出現率)은 무피복구(無被覆區)에 비(比)하여 P. E. 피복구(被覆區)에서 15~20% 높았으며, 파종(播種)에서 출현(出現) 및 개화(開花)까지 소요일수(所要日數)는 무피복구(無被覆區), 파종(播種) 3일(日)째 피복구(被覆區), 파종일(播種日) 피복구(被覆區)의 순(順)으로 짧았으며 alachlor는 땅콩의 발아(發芽)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파종후(播種後) 20일(日)에 조사(調査)한 alachlor의 약해(藥害)는 제1복엽(第1複葉)이 완전(完全)히 고사(枯死)한 것과 제1복엽(第1複葉)의 소엽(小葉) 가장 자리가 갈변(褐變)한 것이 있었는데 약해증상(藥害症狀)은 약량(藥量)이 많을수록 P. E. 피복시기(被覆時期)가 빠를수록 컸으며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는 약해(藥害)가 없었다. 그러나 파종후(播種後) 40일(日)에는 약해증상(藥害症狀)이 보이지 않았다. 3. 파종후(破腫後) 20일(日)에 깨풀과 명아주의 발생량(發生量)은 alachlor의 제형(製形)이나 약량(藥量)에 영향을 받지 아니 하였으며 명아주는 P. E. 피복(被覆)에서 발생(發生)이 적었다. 쇠비름과 바랭이는 alachlor의 약량(藥量)이 많으 구(區)에서 발생(發生)이 적었으며 같은 약량(藥量)일 때는 P. E. 피복(被覆)에서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 보다 발생(發生)이 적었다. 수확기(收穫期)에는 모든 처리(處理)에서 바랭이와 깨품, 돌피가 우점(優占)하였고 무피복(無被覆)에서는 명아주도 우점(優占)하였다. 4. 파종후(播種後) 20일(日)에 조사(調査)한 땅콩의 주경엽수(主莖葉數), 분지수(分枝數), 분지장(分枝長),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alachlor의 제형(製形)이나 약량(藥量)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P. E. 피복구(被覆區)에서 무피복구(無被覆區)보다 길었다. 수확기(收穫期)에는 분지수(分枝數)와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中)은 잡초잔존량(雜草殘存量)이 많을 수록 길었다. 5. 7월(月)1일(日) 이후(以後) 인력제초(人力除草)를 하였을 때에는 땅콩의 입묘율(立苗率), 주당내수(株當萊數), 100립중(粒重), 종실수량(種實收量)은 alachlor의 제형(製形), 약량(藥量), P. E. 피복유무(被覆有無)와 피복시기간(被覆時期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주당내수(株當萊數)와 종실수량(種實收量)은 인력제초(人力除草)하지 아니하였을 때 보다 높았다. 생육기간(生育期間) 중(中) 제초(除草)하지 않을 때는 alachlor 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주당내수(株當萊數)와 종실수량(種實收量)이 높으며 alachlor 효과(效果)는 P. E. 피복(被覆)에서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 보다 높았다.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依)한 땅콩의 수량감소(收量減少)는 주당내수(株當萊數)의 감소(減少) 때문이었다.

  • PDF

Alachlor, Linuron과 Metribuzin의 약해반응에 대한 대두품종간 차이 (Differential Response of Soybean Cultivars to Alachlor, Linuron, and Metribuzin)

  • 변종영;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6-72
    • /
    • 1980
  • 대두용 제초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Alachlor, Linuron 및 Metribuzin에 대한 대두의 품종간 약해반응을 검토하기 위하여 한국품종 20종, 일본품종 10종과 미국품종 10종을 공시하여 각각 두 수준의 제초제 농도에서 약해정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Alachlor 120, 240g / 10a 처리하였을 때 대두품종간 약해반응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경남 2 호, Ugodaiz, Ryooku 27, Kokesijiro, Iwade 2, Musumejiro, Lee와 Kirin 5에서 경미한 약해를 나타냈다. 2. Linuron 62.5g/10a을 처리한 경우 Ryooku27을 제외 한 대부분의 품종은 경미한 약해를 보이거나 혹은 전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25g/10a을 처리함에 따라 Ryooku 27과 Musumejiro는 고사되있고 광묘, Noki 1, Kokeijiro와 Kirin 5는 심한 약해를 받았다. 특히 공시된 일본품종은 한국품종과 미국품종에 비하여 약해가 더 심하게 나타난 경향이었다. 3. Metribuzin 50g/10a을 처리함에 따라 경남 002, Toyosuzu, Noki 1, Iwade 2와 Hampton은 고사되였고 충북백외 4품종도 심한 약해를 받았다. 한편 100g/10a을 처리하면 수원 6002, Musumejiro, Lee와 Little Wonder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약해를 보였으며 특히 경남 002외 12품종은 고사되었고 수원 6004외 6품종도 심한 약해를 받았다. 4. Metribusin은 전반적으로 Alachlor와 Linuron에 비하여 품종간 약해반응이 민감하였으며 대두에 대한 안전성의 폭도 매우 좁은 것으로 인정되었다.

  • PDF

제초제의 처리가 콩 근류균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s on the Survival of Soybean Nodule Bacteria(Rhizobium japonicum) in vitro.)

  • 신영순;오정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6-91
    • /
    • 1989
  • 콩포장에 사용하는 제초제가 근류균의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제초제 Alachlor, Linuron, Simazine 및 Paraquat를 농도별로 YEMA 배지에 혼합하여 근류균을 접종, 배양하여 생존률을 조사하였다. 1. 콩근류균은 Alachlor와 Linuron의 사용권장 농도인 400ppm 처리에서도 각각 27.4%와 57.8%의 생존률을 보여 유의한 근류균의 감소를 보였다. 2. Simazine은 공시제포제중에서 가장 영향이 적었으며 Paraquat는 200ppm에서도 현저한 생존균수의 감소를 보였다. 3. Alachlor에 대한 근류균의 감수성은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I-122 균주가 가장 낮은 감수성을, I-145가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였고 중도 저항성인 K-5 균주는 사용권장농도에서는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4. 콩품종의 근류형성력은 균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Alachlor에 저항성인 균주 I-122, K-5 가 높은 근류형성력을 보여 근류형성력은 환경적응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제초제 Alachlor의 토양미생물에 의한 분해 -제 3 보. 밭토양 조건에서의 분해-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Alachlor, by Soil Microorganisms -III. Degradation under an Upland Soil Condition-)

  • 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82-189
    • /
    • 1986
  • 제초제 Alachlor가 밭토양 조건하에서 80일간 배양될 때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요분해 산물을 생성하였다. 즉 8-ethyl-2-hydroxy-N-(methoxymethyl)-1,2,3,4-tetrahydroguinoline (m/z 221). N-hydroxyacetyl-2,3-dihydro-7-ethylindole (m/z 205), 2-Hydroxy-2', 6',-diethyl-N-(methoxymethyl) acetanilide (m/z 251) 그리고. 9-ethyl-1,5-dihydro-1-(methoxymethyl)-5-methyl-4,1-beznoxazepin-2(3H)-one (m/z 249)이었다. 이들 분해산물은 제 1보에서 사용한 담수 논 토양조건하에서 얻었던 분해산물들과 약간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Alachlor의 가능한 분해 경로를 제시하였다.

  • PDF

송사리(Oryzias latipes)와 지렁이(Eisenia fetida)를 이용한 Alachlor의 생태 위해성평가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Alachlor using Medaka (Oryzias latipes) and Earthworm (Eisenia fetida))

  • 이철우;김현미;윤준헌;송상환;류지성;김은경;양창용;정영희;최경희;이문순
    • 환경생물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07
  • 제초제 alachlor에 대한 송사리 및 지렁이 독성시험을 실시하고 국내 잔류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송사리 독성시험 결과, 96시간 $LC_{50}$$1.8\;mg\;L^{-1}$이었으며, 수정란을 사용한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에서는 부화율에 대한 NOEC가 $100\;{\mu}g\;L^{-1}$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렁이 급성독성시험에서 $LC_{50}$(14일)는 $94.1\;mg\;kg^{-1}$, NOEC는 $55.0\;mg\;kg^{-1}$으로 나타났으며, 체중감소가 유의적으로 나타난 농도는 $71.5\;mg\;kg^{-1}$이었다. Alachlor의 국내 하천 및 토양 중 노출수준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의 환경 중 잔류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1999{\sim}2004$년 동안 조사결과, 하천 및 토양에서 각각 $ND{\sim}0.54\;{\mu}g\;L^{-1}$, $ND{\sim}0.9{\mu}g\;kg^{-1}$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위해도 산출을 위한 환경 중 노출수준은 PEC가 아닌 하천 및 토양 중 실제 검출농도로 산출하였다. 독성값은 급성 독성 NOEC를 사용하였으며, 평가계수를 100으로 적용했을 때 PNEC는 송사리 독성시험과 지렁이 독성시험에서 각각 $1.0{\mu}g\;L^{-1}$$0.55\;mg\;kg^{-1}$으로 산출되었다. 본 독성시험을 통한 PNEC에 비해 잔류실태조사에서의 일반 하천과 토양에서의 노출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alachlor의 최대 검출농도를 나타낸 지점(수계 $0.54{\mu}g\;L^{-1}$, 토양 $0.9{\mu}g\;kg^{-1}$)을 적용했을 경우, alachlor물질에 대한 HQ는 1 이하로 낮게 나타남에 따라 국내 일반 하천과 토양에서의 위해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외국의 경우, 일반 하천에서 뿐만 아니라 제초제 제조 또는 사용지역을 중심으로 한 모니터링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오염원 지역에서의 위해도는 높을 가능성이 있다. 국내의 경우 일반 하천과 토양에서는 alachlor에 대한 생태 위해도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지만 향후에는 제초제 사용 빈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모니터링 실시와 장기노출에 따른 민감 독성자료를 활용한 위해성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참깨 비닐피복(被覆) 재배시(栽培時) Napropamid 의 살초효과(殺草效果)와 생육(生育).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erbicide, Naprpamid on the Weeding Growth and Yield of Sesame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 이효승;나승룡;오세문;김지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2-47
    • /
    • 1986
  • 비닐피복(被覆) 재배하(栽培下)에서 참깨 재배(栽培)에 조합(調合)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選拔)코자 기존(旣存)의 alachlor EC를 표준약제(標準藥劑)로 하여 몇가지 공시약제(供試藥劑)를 농도수준별(濃度水準別)로 토양처리(土壤處理)한 다음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여 약효(藥效), 약해(藥害)를 확인(確認)하였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피복하(被覆下) napropamid 50WP(300g/10a)는 약해(藥害)가 없고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效果)가 있어서 초장(草長), 주당자삭수 등(等)이 순조(順調)로운 생육(生育)을 하였다. 2. 비닐피복하(被覆下) alachlor EC, G 약제처리(藥劑處理)는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效果)가 좋았으나 약해(藥害)가 심(甚)하여 생육(生育)이 억제(抑制)되었다. 3. 비닐피복하(被覆下) alachlor EC, G는 약해(藥害)로 수량(收量)에 감수영향(減收影響)이 있으나 napropamid WP(300g/10a)는 약해(藥害)가 없고, 약효(藥效)도 좋아서 수량증수(收量增收) 요인(要人)이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