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insect pests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추출물의 채소류 주요 해충에 대한 살충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ree Insect Pests)

  • 박종호;류경열;지형진;이병모;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9-64
    • /
    • 2008
  • 유기재배 농가에서 해충방제용으로 이용하거나 해충에 살충력이 보고된 식물추출물 20종을 점박이응애, 복숭아혹진딧물 및 배추좀나방에 대해 살비, 살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들 중 13종의 식물추출물은 1% 농도에서 점박이응애에 대해 80%이상의 높은 살비력을 보였다. 그러나, 0.2% 농도에서는 모두 50% 미만의 살충율을 보였고, 0.5% 농도에서는 창포, 목향 및 고추씨 추출물이 각각 82.8%, 82.8%, 86.2%의 높은 살비력을 나타내었다.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서는 고추씨와 겨자 추출물이 0.5% 농도에서 48.6%와 42.9%로 가장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배추좀나방의 경우 1% 농도에서 황련과 고추씨 추출물이 50%와 55%의 살충력을 보였고 나머지 추출물의 살충효과는 50% 미만으로 낮았다. 하지만 여러 식물추출물이 배추좀나방 유충의 섭식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황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유충의 섭식저해율이 79.4%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을 통해 천연살충제로서 고추씨와 같이 사용이 용이한 식물체추출물이 유기농업에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채벌레의 천적인 으뜸애꽃노린재에 대한 농약 독성 (Toxicity of Pesticides to Minute Pirate Bug, Orius strigicollis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a Predator of Thrips)

  • 안기수;이기열;강효중;박성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7-262
    • /
    • 2004
  • 병해충 방제약제로 등록된 51종의 농약(살충제 25종, 살비제 11종, 살균제 11종 그리고 농약보조제 4종)에 대한 으뜸애꽃노린재 약충과 성충의 독성을 조사하였다. 살충제 중에서는 flpronil, lufenuron, acetamiprid+fipronil, $\alpha$-cypermethrin+flufenoxuron, buprofezin+amitraz of 독성이 낮았고, 살비제 중에서는 acequinocyl, bifenazate, chlorfenapyr, etoxazole, fenpyroximate, flufenoxuron, milbemectin, spirodiclofen, tebufenpyrad가 독성이 낮거나 없었다. 살균제와 농약보조제는 모두 낮은 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설 병해충의 종합관리체계 에서 으뜸애꽃노린재에 독성이 적은 약제와 으뜸애꽃노린재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Nematicidal Activity of Bikaverin and Fusaric Acid Isolated from Fusarium oxysporum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Kwon, Hyeok-Ran;Son, Seung-Wan;Han, Hye-Rim;Choi, Gyung-Ja;Jang, Kyoung-Soo;Choi, Yong-Ho;Lee, Sunog;Sung, Nack-Do;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318-321
    • /
    • 2007
  •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causes pine wilt disease in a number of Pinus species, which is one of the most serious plant diseases in forest, Korea. In the course of a search for nematicidal substances from endophytic fungi, Fusarium oxysporum EF119 out of the 23 fungal strains tested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to B. xylophilus. Two nematicidal substanc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bikaverin and fusaric acid. Fusaric acid showed somewhat higher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B. xylophilus than bikaverin; fusaric acid and bikaverin, at $100{\mu}g/ml$, killed B. xylophilus with mortality values of 50% and 43%,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compounds acted synergistically.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nematicidal activity of bikaverin and fusaric acid.

Molecular Cloning, Protein Expression,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the Chitinase Gene from Spodoptera littoralis Nucleopolyhedrovirus

  • Yasser, Norhan;Salem, Reda;Alkhazindar, Maha;Abdelhamid, Ismail A.;Ghozlan, Said A.S.;Elmenofy, Wae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05-315
    • /
    • 2021
  • The cotton leafworm, Spodoptera littoralis, is a major pest in Egypt and many countries worldwide, and causes heavy economic losses. As a result, management measures to control the spread of the worm are required. S. littoralis nucleopolyhedrovirus (SpliNPV)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bioagents for the efficient control of insect pests. In this study, a chitinase gene (chitA) of a 1.8 kb DNA fragment was cloned and fully characterized from SpliNPV-EG1, an Egyptian isolate. A sequence of 601 amino acids was deduced when the gene was completely sequenced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67 kDa for the preprotein. Transcriptional analyses using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vealed that chitA transcripts were detected first at 12 h post infection (hpi) and remained detectable until 168 hpi, suggesting their transcriptional regulation from a putative late promoter motif. In addition, quantitative analysis using quantitative RT-PCR showed a steady increase of 7.86-fold at 12 hpi in chitA transcription levels, which increased up to 71.4-fold at 120 hpi. An approximately 50 kDa protein fragment with chitinolytic activity was purified from ChitA-induced bacterial culture and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with an anti-recombinant SpliNPV chitinase antibody. Moreover, purification of the expressed ChitA recombinant protein showed in vitro growth inhibition of two different fungi species, Fusarium solani and F. oxysporum, confirming that the enzyme assembly and activity was correct. The results supported the potential role and application of the SpliNPV-ChitA protein as a synergistic agent in agricultural fungal and pest control programs.

저온조건에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지방체 유전자 발현 변화 (Transciptomic Analysis of Larval Fat Body of Plutella xylostella under Low Temperature)

  • 김광호;이대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6-306
    • /
    • 2019
  • 온도는 곤충의 발달, 성장, 생식에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곤충의 생존에 직접적 관련있는 물리적 요인이다. 변온동물인 곤충은 생존을 위해 기후변화에 반응을 해야 하며, 저온과 같은 취약한 환경하에서도 다양한 생존전략을 발달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저온에 대한 적응에 기여하는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해 배추좀나방 유충의 지방체를 저온과 상온에 노출시켜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온전사체에서는 chitinase, 표피단백질, Hsp23, chytochrome, Glutathione S transferase, phospholipase 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반면,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UDP-당전이효소, trehalase, trehalose transporter는 오히려 발현이 감소하였다. 저온에 곤충이 노출되었을 때, 대사중심인 지방체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가 곤충의 온도 적응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재문화재를 가해하는 막대바구미류(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대한 보고 (Cossonid Weevils (Coleoptera: Curculionidae) Infested on Wood Cultural Properties)

  • 홍기정;오준석;이양수;박상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7-251
    • /
    • 2011
  • 막대바구미류는 대부분이 목재류를 천공가해하기 때문에 목재문화재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국내 목재류 문화재에서 발생한 막대바구미류를 정리한 결과, 자작나무막대바구미(Hexarthrum brevicorne Wollaston)가 2004년에 전북 전주시에 위치한 사적 제379호인 전주향교에 소장된 완영책판에 심각한 피해를 주었으며, 2007년에는 경남 밀양소재 박물관에 소장중인 반닫이와 2008년에는 서울 소재 박물관에 관복함, 전남 순천소재 사찰에 보관중인 경판에서도 발생되었고, 분비나무막대바구미(Rhyncolus sculpturatus (Waltl))는 2008년 서울 소재 박물관에서 소장된 목제(재)생활도구를 가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중한 국가자산인 문화재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존과학분야에서 종합적인 해충 관리기술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고온에서 배추좀나방 유충 지방체의 유전자 발현 변화 분석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Larval Fat Body of Plutella Xylostella Under High Temperature)

  • 김광호;이대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4-332
    • /
    • 2018
  • 곤충은 변온동물로 육지생태계에서 주로 서식하면서, 식물의 생체량 조절, 종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변온도는 변온동물인 곤충의 생리적 반응속도, 뿐만 아니라 생존과 분포를 결정하며, 기후변화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높은 온도에서 곤충의 적응성에 관련있는 유전자를 전사체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고온에서 사육된 배추좀나방 유충의 지방체로부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전사체를 확보하였다. 대사중심인 지방체에서 구조단백질, 열충격단백질, 항산화단백질, 해독효소 들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에서 표피단백질(표피단백질, 키틴합성효소, 엑틴, 카이틴 합성), 스트레스관련단백질(시토크롬 P450), 열충격단백질, 한산화단백질은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glutathione S transferase 발현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기후변화의 주요인인 온난화에 대한 해충의 생리적 대응과 온도적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온도 차이에 따른 배추좀나방 유충 지방체에서 발현되는 G 단백질 연관 수용체의 동정 (Identification of G Protein Coupled Receptors Expressed in Fat Body of Plutella Xylostella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 김광호;이대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2
    • /
    • 2021
  • BACKGROUND: 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are widely distributed in various organisms. Insect GPCRs shown as in vertebrate GPCRs are membrane receptors that coordinate or involve in various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learning/memory, development, locomotion, circadian rhythm, reproduction, etc.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GPCRs expressed in fat body and compare the expression pattern of GPCR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To identify GPCRs genes and compare their expression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total RNAs of fat body in Plutella xylostella larva were extracted and the transcriptomes have been analyzed via next generation sequencing method. From the fat body transcriptomes, genes that belong to GPCR Family A, B, and F were identified such as opsin,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receptor, neuropeptide F (NPF) receptor, muthuselah (Mth), diuretic hormone receptor, frizzled, etc. Under low temperature, expressions of GPCRs such as C-C chemokine receptor (CCR), opsin, prolactin-releasing peptide receptor, substance K receptor, Mth-like receptor, diuretic hormone receptor, frizzled and stan were higher than those at 25℃. They are involved in immunity, feeding, movement, odorant recognition, diuresis, and development. In contrast to the control (25℃), at high temperature GPCRs including CCR,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receptor, moody, NPF receptor, neuropeptide B1 receptor, frizzled and stan revealed higher expression whose biological functions are related to immunity, blood-brain barrier formation, feeding, learning, and reproduction. CONCLUSION: Transcriptome of fat body can provide understanding the pools of GPCRs. Identifications of fat body GPCRs may contribute to develop new targets for the control of insect pests.

CATTS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사과 수확 후 방제 기술 (A Postharvest Control Technique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nfesting Apples Using CATTS)

  • 정충렬;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3-80
    • /
    • 2014
  • 수확 후 해충방제가 국내 수요 농산물은 물론이고 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출용 농산물에 대해서 요구되고 있다. 특별히 유기 농산물 또는 환경친화형 재배 농산물에 대해서 메틸브로마이드와 같은 화합물을 이용한 기존의 수확 후 처리기술은 의미를 잃게 되었다. 대체 기술로서 CATTS (환경조절열처리기술)라 명명된 물리적 처리기술이 개발되어 사과와 여러 핵과류 과실을 가해하는 곤충과 응애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사과 수출을 위해 수입국에서 규제하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을 대상으로 CATTS 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 해충에 CATTS를 적용하기 위해 사과 과실에 잔류하면서 열에 높은 내성을 보이는 발육시기를 분석하였다. 열처리 조건($44^{\circ}C$, 20분)에서 5령 유충이 가장 높은 내성을 보였다. 환경조건(15% $CO_2$, 1% $O_2$)에서 기기 내부 온도가 $25^{\circ}C$에서 $46^{\circ}C$까지 증가하는 시기를 CATTS 가열단계로 볼 때, 이 가열 속도가 빠를수록 CATTS 해충 방제 효과가 높았다. 또한 가열단계 후 CATTS 처리 시간이 길수록 CATTS 효율이 증가했다. 특히 가열단계에서 과실 내부온도가 $44^{\circ}C$로 이르게 하는 것이 CATTS 효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이었다. 이러한 조건들을 종합하여 CATTS 표준 처리기술을 결정하였으며, 이 기술은 2,104 마리의 5령을 포함한 4,378 마리 복숭아순나방 유충 피해를 받은 사과에 대해서 100%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의 온도별 발육 및 교미비행 (Development by Temperatures and Copulation Flight of Comstock mealybug, Pseudococcus comstocki)

  • 조민규;권혜리;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05-115
    • /
    • 2018
  •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는 전 세계적으로 배를 포함한 과수와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가루깍지벌레를 방제하기 위하여 가루깍지벌레 수컷의 온도별 발육과 교미비행 및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방제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루깍지벌레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circ}C$에서 알이 산란 및 부화되지 않았고, $25^{\circ}C$까지 발육기간이 짧아지다가 $30^{\circ}C$에서 다시 늘어났다. 산란수는 $25^{\circ}C$에서 평균 482개로 나타났으며, 성비는 $15^{\circ}C$, $20^{\circ}C$, $25^{\circ}C$에서 50%에 육박하였지만 $30^{\circ}C$에서 수컷의 성비가 37%였다. 비행패턴은 오전에 비행이 많았고 그 중에서도 해가 뜨고 난 직후 2시간 이내에 가장 많았다. 광주기가 달라지더라도 해가 뜨고 난 후 4시간 사이에 비행하는 개체가 많았다. 암조건만에서 암수를 사육하는 경우에도 비행이 일어났다. 상승 바람의 풍속에 따른 가루깍지벌레 수컷의 비행을 조사한 결과, 0.5 m거리 일 경우 1.5 mph 이상에서는 비행을 하지 못하였다. 배원에서 수컷의 비행은 2 m 이상에서는 채집되는 개체가 거의 없었고 1.5 m에서 가장 많은 수가 포획되어 트랩을 설치하는 높이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수컷 방사지점과 트랩 사이의 비행가능 거리를 보면, 0.5 m, 1 m, 5 m까지는 트랩에 잡히는 수가 많았고 10 m, 15 m, 20 m에서 적었다. 다만, 50 m까지도 채집되는 것으로 보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50 m이상 떨어져 있는 수컷도 유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