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lyc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1초

Enzymatic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b1 and Gypenoside XVII into Ginsenosides Rd and F2 by Recombinant β-glucosidase from Flavobacterium johnsoniae

  • Hong, Hao;Cui, Chang-Hao;Kim, Jin-Kwang;Jin, Feng-Xie;Kim, Sun-Chang;Im, Wan-Tae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418-424
    • /
    • 2012
  • This study focused on the enzymatic biotransformation of the major ginsenoside Rb1 into Rd for the mass production of minor ginsenosides using a novel recombinant ${\beta}$-glucosidase from Flavobacterium johnsoniae. The gene (bglF3) consisting of 2,235 bp (744 amino acid residues) was cloned and the recombinant enzyme over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DE3) was characterized. This enzyme could transform ginsenoside Rb1 and gypenoside XVII to the ginsenosides Rd and F2, respectively.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fused BglF3 was purified with GST-bind agarose resin and characterized. The kinetic parameters for ${\beta}$-glucosidase had apparent $K_m$ values of $0.91{\pm}0.02$ and $2.84{\pm}0.05$ mM and $V_{max}$ values of $5.75{\pm}0.12$ and $0.71{\pm}0.01{\mu}mol{\cdot}min^{-1}{\cdot}mg$ of $protein^{-1}$ against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and Rb1, respectively. At optimal conditions of pH 6.0 and $37^{\circ}C$, BglF3 could only hydrolyze the outer glucose moiety of ginsenoside Rb1 and gypenoside XVII at the C-20 position of aglycon into ginsenosides Rd and F2,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combinant BglF3 could be useful for the mass production of ginsenosides Rd and F2 in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industry.

대두로부터 Isoflavone추출 및 $\beta$-glucosidase를 이용한 Aglycone 형태로의 전환 최적 조건 (Optimum Conversion to the Aglycone Form Using $\beta$-glucosidase and Isoflavone Extraction from Soybean)

  • 김기욱;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74-178
    • /
    • 2001
  • 본 연구는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estrogen 유사작용, 항골다공증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진 isoflavones의 추출조전을 추출용매획 농도, 추출온도, pH 및 추출시간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isoflavones을 추출함에 있어 최척의 추출 조건올 찾고자 하였으며, 보다 기능이 잘 알려진 4종 isoflavones 추출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추출 초건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75% ethanol, $80^{circ}C$, pH4, 3시간의 추출 조건에서 $4,024\mu\textrm{g}/mL$의 가장 높온 총 isofla vones 추출량을 나타내었고, 대두추출물 중의 단백질 제거를 위해 이용된 염화칼융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보다 높은 함량의 isotla yones윤 얻을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얻은 최적추출조건에서의 대두추춤물에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에 홉수되지 않는 daidzin과 genistin 같은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eta$-glucosidase라는 효소를 이용하여 이러한 배당채 들흘 daidzein이나 genistein과 같이 체내여] 홉수 가능한 aglycones 형태로 전환시키는데 있어 효소의 농도, 반응온도 및 pH, 반웅시간의 조건에서 aglycon$\xi$s 형혜익 최적 전환수 율 조건을 각각 선정하였다. 그 결과 효소농도 8.7 units, 온도 $40^{circ}C$, pHS의 초건에서 4 40 분 풍안 반응시켰을 때 90%이상 전환된 aglycones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chima wallichii subsp. liukiuensis의 Candida종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균물질의 분리정제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ma wallichii subsp. liukiuensis against Candida sp.)

  • 최명석;신금;양재경;안진권;권오웅;이위영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69-273
    • /
    • 2001
  • 218종의 목본식물 자원으포부터 높은 항율력올 보인 Schima wallichii subsp. liukiuellsis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추출, 정제하였다. Schim$\alpha$의 향균물질 추출에 가장 적합한 용매는 70% 에탄올이었으며, 계젤에 따른 항균활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부위별로는 가을에 채취한 수피가 가장 좋았다. 조추출물을 유가용매로 정제하여 최종적으혹 buthanol 분획올 얻었고, 이를 silica gel과 sephadex LH-20 및 HPLC분석을 통 하여 흰색결정의 항균물질 Compound I을 얻었다. 항균물질은 UV, IR, MS분석 결과 aglycone으로 ${\alpha}$-sitosterol에 rhamnose, galactose, glucose가 1:1:1로 결합된 물질로 추정되었다. Compound I의 미생물에 대한 MIC는 3종의 bacteria에 L 1.25 g/L, 2종의 fungi에 5.0 g/L로 나타났으며, 효모에 대한 MIC는 0.04 g/L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Compound I은 천연 보존제, 의약품 등으로의 향후 개발이 기대된다.

  • PDF

질소시비수준이 콩의 생육 및 isoflav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Growth and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 이미자;박종철;오영진;김경호;김형순;이상복;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45-45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질소 시비수준이 생육시기별 식물체 및 종실에서 isoflavone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생육시기에 따른 식물체에서 isoflavone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일반생육은 50%증비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좋았는데, 엽수 및 엽면적이 표준비의 72.7개, $619.7cm^{2}$에 비하여 81.9개와 $723cm^{2}$으로 증가하였다. 2. 수량 관련 형질 중에서 협수 및 종실수는 50%증비에서 개체당 31.9개와 72.3개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246 kg/10a로 다른 시비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무비와 N무비구에서는 협수가 24.9개/개체와 25.1개/개체, 립수는 60.3개/개체과 51.1개/개체, 수량은 181.0 kg/10a과 178.0 kg/10a으로 낮았다. 3. 생육시기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잎, 줄기, 뿌리에서 개화이후부터 립비대기(R5)까지는 감소하다가 이후 수확기(R7)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4. 식물체 부위별 isoflavone 함량은 뿌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5. 시비수준에 따른 종실의 isoflavone 함량은 무비, N무비 및 50% 감비의 경우가 표준비나 증비보다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대식세포 RAW 264.7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 (Glucosylation of Resveratrol Improves its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the Viability of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라메스 프라시드 판데이;이지선;박용일;송재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9-26
    • /
    • 2017
  •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성질과 대식세포의 생존능력과 관련하여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 RAW 264.7에서 연구하였다. 인비토로에서 대식세포에서 총 4개의 레스베라트롤 및 당화된 유도체 (E)-resveratrol, (E)-resveratrol 3-O-${\beta}$-${\small{D}}$-glucoside (R-3-G), 및 (E)-resveratrol 4'-O-${\beta}$-${\small{D}}$-glucoside (R-4'-G)를 여러 가지 농도로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 (NO)와 인터루킨 6 (IL-6) 발현을 연구하였다. 앞서 언급한 물질로 처리한 후 인비토로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도 연구하였다. 대식세포 생존능력 평가분석 결과를 보면, 두 개의 레스베라트롤 모노글루코사이드인 R-3-G와 R-4'-G은 (E)-resveratrol와 비교하여 A549 and HepG2 세포에서 50-80% 감소된 독성을 보여준다. 당이 없는 레스베라트롤과 비교하면, 당화된 레스베라트 유도체는 긍정적으로 전사적으로 IL-6 및 iNOS 발현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NO 및 대식세포에서 IL-6의 생산이 조절된다. 레스베라트롤의 당의 역할은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발효 황련해독탕의 생물 전환 성분분석 (Analysis of Bioconversion Components of Fermentation Hwangryunhaedok-tang)

  • 이광진;이보형;정필문;량춘;마진열
    • 약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93-298
    • /
    • 2013
  • Hwangryunhaedok-tang (HRT)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which has been known as a useful prescription for anti-biotic,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immunosuppressive activity. In this study,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eight bioactive components of Hwangryunhaedok-tang (HRT) and its fermentation HRT with Lactobacillus casei KFRI 127, Lactobacillus curvatus KFRI 166 and Lactobacillus confuses KFRI 227 was investigated vi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ion (HPLC-DAD). Simultaneou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eight bioactive components; geniposide, genipin, baicalin, wogonoside, palmatine, berberine, baicalein and wogonin was achieved by comparing their retention times ($t_R$) and UV spectra with those of the standard components. All calibration curve of standard components showed good linearity ($r^2$ >0.979). As a result, the geniposide amount was $15.52{\pm}0.19{\mu}/mg$ that as a main components in HRT. The wogonoside was decreased by 29.28~58.35% with Lactobacillus casei KFRI 127 and L. confuses KFRI 227 ($3.17{\pm}0.31{\mu}g/mg$ and $3.55{\pm}0.13{\mu}g/mg$) compared with the original HRT ($5.02{\pm}0.14{\mu}g/mg$). Otherwise wogonin was increased by 16.28~41.86% with Lactobacillus casei KFRI 127 and L. confuses KFRI 227 ($0.61{\pm}0.01{\mu}g/mg$ and $0.50{\pm}0.02{\mu}g/mg$) compared with the original HRT($0.43{\pm}0.00{\mu}g/mg$). HRT fermented with L. casei KFRI 127 and L. confuses KFRI 227 were evaluated as creating the changes in wogonoside to that aglycon wogonine. In the fermented HRT us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KFRI 166, the genipin was only detected, among 3 species of fermentation strains. Thus, these results considered that the strains 166 were exhibited the remarkable changes in genipin.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14}C$-Carbofuran의 행적(行跡)에 관한 연구(硏究) (Fate of 14C - Carobofuran in Rice Plant and Paddy Soil)

  • 이영득;이경휘;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6
    • /
    • 1987
  •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carbofuran의 행적(行跡)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표면(土壤表面)에 $3-^{14}C-carbofuran$을 처리(處理)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도체(水稻體)로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양상(代謝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토양표면(土壤表面)에 처리(處理)한 carbofuran은 근부(根部)를 통(通)하여 수도체내(水稻體內)로 신속히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었으며 처리(處理) 후(後) 2일이내(以內)에 엽선단(葉先端)에 도달하고 축적(蓄積)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약제처리(藥劑處理) 20日 후(後)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된 방사능(放射能) 총(總) 처리방사능(處理放射能)20%이상(以上)었다. 수도체중(水稻體中)arbofuran의 주요(主要) 대사산물(代謝産物)은 3-hydroxycarbofuran이었고, 3-ketocarbofuran 및 3종(種)의 phenol성(性) 대사물(代謝物)이 검출(檢出)되었다. 수용성(水溶性) conjugates의 대부분(大部分)은 glycoside결합형태(結合形態)이었으며 주요 aglycon은 3-hydroxycarbofuran이었다. 토양중(土壤中) 방사능(放射能)은 처리(處理) 3日 후(後)까지는 빠른 속도(速度)로 감소(減少)하였으나 그 이후(以後) 거의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을 보였다. 비추출성(非抽出性) 방사능(放射能)은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증가(增加), 처리(處理) 20일(日) 후(後) 총(總) 처리(處理) 방사능(放射能)의 50%이상(以上)을 차지하였으며 유기물(有機物) 분획별(分劃別) 분포(分布)는 humin>fulvic acid>humic acid 순(順)이었다. B두캐력무 ring의 개열반응(開裂反應)에 의한 $^{14}CO_2$방출(放出)은 처리(處理) 후(後) 20일(日)까지 1.8%로 미미한 수준(水準)을 나타내었다.

  • PDF

산 가수분해 방법에 의한 감자 glycoalkaloid성분의 정량성 검토 (Studies on Potato Glycoalkaloid Determination by Acid-hydrolysis Method)

  • 윤경순;변광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4-89
    • /
    • 2009
  • 본 연구는 재배종 감자 덩이줄기에 존재하는 glycoalkaloid (PGA) 중 특히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demessine을 산가수분해 처리하여 분해 생성물인 아그리콘 및 배당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PGA의 정량 가능 유무를 조사하였다. 1. 표준품의 solanidine을 1 N-HCl로 가수분해하면 산 가수분해 반응 10분 후부터 solanidine이 급속하게 감소하였고 새로운 피크가 급증하였다. 이 피크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분자 이온 피크($M^+$=379)가 검출되어 이 물질을 solanthrene으로 분류하였다. 이 solanidine-solanthrene의 반응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되었다. 2. 표준품의 demissidine을 solanidine과 같은 방법으로 가수분해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solanidine의 경우와는 상이하게 solanthrene는 검출되지 않았고 demissidine ($M^+$=399, 204,150)의 피크만이 검출되었다. 이로써 demissidine은 산 가수분해 처리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추측 할 수 있었다. 3.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demessine를 산분해하면 ${\alpha}$-chaconine과 ${\alpha}$-solanine은 solanidine에서 solanthrene으로 분해 반응이 일어났다. 이 두 물질의 아그리콘인 solandine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PGA량을 산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산 분해에 의해 생성된 배당체는 매우 안정하여 이 배당체의 당함량을 측정하여 이 두 물질의 PGA 함량을 산출하는 것은 가능하였다. demissine는 산 분해에 의해 생성된 아그리콘(demissidine)은 매우 안정하여 생성된 아그리콘의 양으로부터 demissine 함량을 산출하는 것은 가능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 작용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 김선영;김채린;김현민;공명;이지희;이현준;임명선;조나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5-18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저해활성($FSC_{50}$)은 ethyl acetate 분획($3.54\;{\mu}g/mL$)과 aglycone 분획($2.15\;{\mu}g/mL$) 모두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8.98\;{\mu}g/mL$)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15\;{\mu}g/mL$)과 aglycone 분획($0.12\;{\mu}g/mL$)에서 모두 L-ascorbic acid ($1.50\;{\mu}g/mL$) 보다 약 10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때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5{\sim}25\;{\mu}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에서 각각 $48.00\;{\mu}g/mL$, $5.88\;{\mu}g/mL$으로 나타났으며 aglycone 분획의 경우 강력한 미백제인 arbutin ($226.88\;{\mu}g/mL$)에 비해 약 40배정도 더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이상의 결과들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이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담자균 균사체가 배양된 황기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fermented with mushroom mycelia)

  • 장연정;이윤혜;이찬중;김재현;김은주;지수정;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담자균 균사체를 황기에 배양하여 이용성 및 기능성을 증진시킨 식품 및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 pH 및 환원당을 측정함으로서 균사체 배양 황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수분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H는 상황버섯 균사체 및 팽이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의 pH가 각각 6.51, 6.41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 외의 균사체가 배양된 황기는 대조구와 유사한 수치인 pH 5.30~5.61로 미미하거나 특별한 변화폭을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 측정결과 팽이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증가한 391.7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상황버섯 및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각각 346.73 mg/100 g 및 289.97 mg/100 g으로 다소 증가한 함량을 나타냈다. 추출용매에 따른 균사체 배양 황기의 추출수율 결과 열수추출물이 80%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았으며,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의 열수추출물이 5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 분석결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fructose는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의 함량이 2,154.6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sucrose는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8,929.60 mg/100 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glucose는 모든 실험구에서 감소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열수추출물에서 fructose는 1,528.03 mg/100 g으로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glucose 및 sucrose는 전반적으로 감소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구 자체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glucose가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에서 1,547.51 mg/100 g의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담자균 배양 황기의 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상황버섯(calycosin 2,549.24 mg/g, formononetin 1,366.69 mg/g) > 팽이버섯(calycosin 983.57 mg/g, formononetin 744.14 mg/g) > 표고버섯(calycosin 788.29 mg/g, formononetin 621.22 mg/g) 순으로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열수추출물에서는 상황버섯(calycosin 827.66 mg/g, formononetin 221.28 mg/g) > 표고버섯(calycosin 349.45 mg/g, formononetin 142.35 mg/g) > 팽이버섯(calycosin 328.36 mg/g, formononetin 127.64 mg/g) 순으로 높은 함량은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담자균의 효소활성으로 인해 황기의 배당체 성분이 aglycon형태로 전환됨으로서 calycosin 및 formononetin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담자균 균사체 배양을 통해 황기의 기능성을 증대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담자균이 배양된 황기를 이용하여 기능성 및 생리활성 효능 등이 증대된 식품소재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황기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에 적합한 담자균을 이용하여 배양일에 따른 황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성분분석과 더불어 세포실험 등을 통해 기대되는 생리활성 효능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