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ggregate

검색결과 4,256건 처리시간 0.033초

저속습식마쇄기를 이용한 고품질 순환잔골재 제조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Manufacturing Condition the High Quality Recycled Fine Aggregate by Low Speed Wet Rotary Mill)

  • 김하석;이경현;라정민;박효진;임대빈;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5-68
    • /
    • 2009
  • Recycled aggregate by the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has a lot of advantage such as the developing the alternative resource and protecting of environment. However, recycled aggregate is used as the low quality grade, because the technic to remove old mortar from aggregate is low level. To use the recycled aggregate as high quality grade,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technic to produce the high quality recycled aggregate. To manufacture the high quality recycled aggregate, old mortar attached on the aggregates should remove effici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optimum condition to remove old mortar effectively using sulfuric acid and low speed wet rotary mill for high quality recycled fine aggregate. The results shows that the recycled aggregate satisfy on the standards of KS F 2573 in density, absorption and solid volume when, adequate condition of sulfuric mole ratio and aggregate ratio are make.

  • PDF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골재분포 판정기법 개발 (The Evaluation Model of Aggregate Distribution for Lightweight Concrete Using Image Analysis Method)

  • 지석원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10호
    • /
    • pp.11-18
    • /
    • 2018
  • In this study, the cross-sectional image has been acquired to evaluate the aggregate distribution affecting quality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nd through the binarization method, the study is to calculate the aggregate area of upper and lower sections to develop the method to assess the aggregate distribution of concrete. The acquisition of cross-section image of concrete for the above was available from the cross-sectional photography of cleavage tension of a normal test specimen, and an easily accessible and convenient image analysis software was used for image analysis. As a result, through such image analyses, the proportion of aggregate distribution of upper and lower sections of the test specien could be calculated, and the proportion of aggregate area U/L value of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concrete cross-section was calculated, revealing that it could be used as the comprehensive index of aggregate distribution. Moreover, through such method, relatively easy image acquisition methods and analytic methods have been proposed, and this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of modeling to assess aggregate distribution quantitatively is available. Based on these methods, it is expected that the extraction of fundamental data to reconsider the connectivity with processes in concrete will be available through quality assessment of quantitative concrete.

저품질 순환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 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concrete using low quality recycled aggregate)

  • 이승태;박광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1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적용 저품질 순환골재의 콘크리트 적용을 위하여 공학적 특성을 평가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저품질 순환골재의 세척유무에 따라서 골재 치환율을 30%, 60%, 100%로 콘크리트 제작하여 실험하였으며, 성능평가를 위하여 제작된 순환골재 사용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흡수율, 표면전기저항, 초음파속도, 염소이온침투저항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척한 저품질 순환골재의 경우 30% 치환시 천연골재와 유사한 결과를 모든 시험에서 나타내었다. 또한 60%를 치환한 콘크리트에서도 천연골재와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100%의 골재를 사용하는 것은 천연 골재 보다 다소 낮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세척을 하지 않은 저품질 순환골재의 경우는 치환율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천연골재보다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내구성 평가의 척도로 평가한 염소이온침투저항성 평가에서는 초기의 경우 매우 높음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28일 재령에서도 보통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내어 세척 순환골재와 약 2배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저품질 순환골재의 콘크리트 적용에 있어서 골재의 세척유무에 따라서 성능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순환골재를 이용한 환경 친화형 호안 블록제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tetrapod using recycled aggregate)

  • 박도경;이명규;양극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3-7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waste-recycling technologies and its economical efficiency by developing environment-friendly tetrapod, precast concrete, where recycled aggregate is used in order to promote recycling of waste concrete. The results of concrete mechanic characteristics experiments by the circulation coarse aggregate-replacement ratio are as the following. The circulation aggregate is lower and higher than natural aggregate in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ratio, respectively so that in case of mix proportioning, unit volume increases, while unit aggregate amount decreases. From the result, sufficient experimen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aggregate are required to get proper mix proportioning. When circulation aggregate-replacement ratio increases, compressive strength tends to decrease comprehensively, but 50% of replacement ratio is good enough to use. When circulation coarse aggregate's replacement ratio is 0%, drying shrinkage, which causes cracks in concrete and deteriorates durability, shows the minimum length change and the higher the ratio, the larger the length change. Thus. when using circulation coarse aggregate, drying shrinkage should be fairly examined. In freezing-and-thawing resistance, weight loss tends to comprehensively increase its loss at the circulation aggregate-mixed site. And the examination of surface aggregate-omission ratio is further needed and dynamic elastic modulus and durability factor(DF) require more study as well. In order to use circulation aggregate to tetrapod, a clear standard for strength should be first prepared and at the same time, more study about durability is needed.

Application Research on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of Porous Basalt Concrete

  • Zhu, Yuelei;Li, Jingchun;Zhu, He;Jin, Long;Ren, Qifang;Ding, Yi;Li, Jinpeng;Sun, Qiqi;Wu, Zilong;Ma, Rui;Oh, Won-Chu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5-124
    • /
    • 2022
  • Porous basalt aggregate is commonly used in roadbed engineering, but its application in concrete has rarely been studied. This paper studies the application of porous basalt in concrete. Porous basalt aggregate is assessed for its effects on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of prepared C50 concrete; because it has a hole structure, porous basalt aggregate is known for its porosity, and porous basalt aggregates can be made full of water through changing the content of saturated basalt; after full-water condition is achieved in porous basalt aggregate mixture of C50 concrete, we discuss its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The effects of C50 concrete prepared with basalt aggregat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water absorption, and electric flux of concrete specimens of different ages were studied through experiments,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replacement rates of saturated porous basalt aggregate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were also studied. The results show that porous basalt aggregate can be prepared as C50 concrete. For early saturated porous basalt aggregate concrete, its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replacement rate of saturated aggregate; this occurs up to concrete curing at 28 d, when the replacement rate of saturated basalt aggreg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40 %.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replacement rate of saturated aggregate. The 28 d electric flux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replacement rate of saturated aggregate, indicating that saturated porous basalt aggregate can improve the chloride ion permeability resistance of concrete in later stages.

성인이 다른 굵은 골재를 혼합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Mix of Coarse Aggregate With Formation Causes)

  • 노상균;김영희;김정빈;한천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5-21
    • /
    • 2015
  • 최근 레미콘 산업에서 골재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과거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저품질의 골재를 혼합사용하여 천연골재의 일부로 대체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저품질의 골재는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생산되는 순환골재, 산업활동에 의해 생산되는 부산물 골재 등으로 KS 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족한 골재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위해 화강암 부순골재를 기본으로 순환골재, 고로 및 전기로 슬래그 골재를 단독 및 혼합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슬럼프는 골재를 혼합사용한 경우 단독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유동성이 0~10% 증가하여 단위수량이나 SP제 사용량 저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는 골재를 혼합사용한 경우 연속입도 분포를 나타내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워 단독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0~10% 증가하였다. 따라서 성인이 다른 골재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표준입도범위를 만족하게 하여 활용하면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의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혼합골재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산화 개질 순환 골재를 사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Made of Recycled Aggregate Modified by Carbonation)

  • 하정수;신진학;정란;김한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45-454
    • /
    • 2016
  • 노후 시설물의 증가에 따라 건설폐기물은 일정 수준까지 증가한 이후, 현재는 어느 정도 안정화 된 추세에 있지만, 전체폐기물 중에서 건설폐기물은 아직까지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천연 골재 채취 금지에 의한 골재 난 심화 및 골재 공급원 개발에 의한 국토훼손과 자연환경 파괴 등에 따라 환경복원에 막대한 국가예산 소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책 방안으로 국토교통부는 순환 골재 품질기준을 공포하여 순환 골재 품질에 따른 용도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으나,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용도로의 활용은 아직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자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탄산화 개질 조건인 $20^{\circ}C$, RH 60%, $CO_2$ 20%에서 순환 잔골재 4일, 순환 굵은 골재 14일간 탄산화를 실시한 순환 골재의 품질개선효과 및 이를 이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를 통하여 구조용 콘크리트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 결과, 탄산화 개질을 통하여 순환 잔골재의 흡수율이 0.91%, 순환 굵은 골재의 흡수율이 0.7% 저감되어 품질개선에 기여하였다. 또한, 탄산화 개질 골재를 이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및 내구성능이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구조용 콘크리트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비 절건상태 골재의 함수비가 골재입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Aggregate Moisture Content on Aggregate Gradation Analysis)

  • 김남호;지형준;양홍석;전순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59-566
    • /
    • 2021
  • 골재입도시험은 건설관련 전공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골재입도 시험결과에 대한 특정목적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골재 함수비가 골재 입도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아스팔트 플랜트 콜드빈과 야적장에 저장된 골재의 함수비 변화를 1년간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함수비가 다른 골재 샘플을 제작하였다. 각 골재 샘플에 대한 입도 곡선을 분석하여 골재 함수비가 골재 입도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입도평가결과, 함수비가 높아짐에 따라 오븐 건조 골재의 입도 분석에서 5 mm 이하의 입자에 대한 입자 크기의 오차가 증가하였으며, 이 오차는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5 mm 이상의 골재 입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함수비 증가에 따른 입도 분석의 오차가 급격히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비 절건 상태의 골재에 대한 입도분석의 오차가 아스팔트 플랜트 내 핫빈 골재 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인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첫 번째 핫빈의 최소 골재 크기는 2.38 mm 이상이므로, 비 절건상태 골재로 인한 최대 입도 오차는 2% 미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품질관리를 위하여 콜드빈 비 절건상태 골재의 입도시험 결과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해 보인다.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Saravanakumar, Palaniraj;Dhinakaran, Govindasamy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7권5호
    • /
    • pp.701-711
    • /
    • 2013
  • People started to replace natural aggregate with recycled aggregate for a number of years due to disposal problem and certain other potential benefits. Though there are number of drawbacks with use of recycled aggregates like lesser modulus of elasticity, low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 in shrinkage, there are results of earlier studies that use of chemical and mineral admixtures improves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recycled concrete.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s is showing prospective application in construction as alternative to natural aggregates. It conserves lot of natural resources and reduces the space required for the landfill disposal. In the present research work, the effect of recycled aggregate on strength and durability aspects of concrete is studied. Grade of concrete chosen for the present work is M50 (with a characteristic compressive strength of 50 MPa). The recycled aggregates were collected from demolished structure with 20 years of age. Natural Aggregate (NA) was replaced with Recycled Aggregate (RA) in different percentages such as 25, 50 and 100 to understand its effec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different ages of concrete such as 7, 14, 28, 56 days to assess the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ere studied with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 (as per ASTMC1202), sorptivity test and acid test to assess resistance against chloride ion penetration, capillary suction and chemical attack respectively. Mix design for 50 MPa gives around 35 MPa after replacing natural aggregate with recycled aggregate in concrete mix and the chloride penetration range also lies in moderate limit. Hence it is understood from the results that replacement of NA with RA is very much possible and will be ecofriendly.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순환골재의 이물질 품질기준 적정성 연구 (Evaluation of Impurity Content Criteria of Recycled Aggregate for Lean Concrete Base)

  • 김남호;양성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69-76
    • /
    • 2012
  • 최근 국내 석산에서의 골재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성토재 등의 저급재료로 재활용 되던 폐 콘크리트 순환골재의 용도를 점차 구조용 콘크리트 및 도로 포장재와 같은 고급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2009년 순환골재 품질기준을 제정하였으며, 순환골재가 기존보다 고급재료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나, 현재까지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으로서의 순환골재의 활용은 매우 낮은 형편이다. 본 연구는 순환골재 품질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빈배합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이물질과 관련된 품질기준의 적정성을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순환골재 내의 폐 아스콘 골재는 강도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반면, 아스콘의 특성으로 인하여 순환골재의 주요한 품질기준인 비중을 높이고, 흡수율 및 마모율을 오히려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여, 전체적인 순환골재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큰 방해요소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이물질 함유량 기준 중, 폐 아스콘 함유량 기준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