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black garlic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on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 Seo, Yeong-Ju;Gweon, Oh-Cheon;Im, Ji-Eun;Lee, Young-Min;Kang, Min-Jung;Kim, Jung-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09
  • Control of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s strongly correlated with de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most common and fatal diabetic com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on glycemic control and blood lipid profile i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Three week-old db/db mice (C57BL/Ks, n=21) were fed AIN-93G semipurified diet or diet containing 5% freeze-dried garlic or aged black garlic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Fasting serum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were measured. Body weight and food intake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Fasting serum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sul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arlic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Consumption of aged black garlic significantly decrease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tended to decrease serum glucose. Garlic consump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cholesterol, while aged black garlic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increased HDL-cholesterol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rlic exerts hypoglycemic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 and aged black garlic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and dyslipidemia in db/db mice.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i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 Lee, Young-Min;Gweon, Oh-Cheon;Seo, Yeong-Ju;Im, Ji-Eun;Kang, Min-Jung;Kim, Myo-Jeong;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156-161
    • /
    • 2009
  • Hyperglycemia in the diabetic state increase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therapy can be strongly correlated with decreased risks for diabetic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i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was measured as the activity in scavenging free radicals by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Three week-old db/db mice were fed AIN-93G diet or diet containing 5% freeze-dried garlic or aged black garlic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Hepatic levels of lipid peroxides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measured. TEAC values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were $13.3{\pm}0.5$ and $59.2{\pm}0.8{\mu}mol/g$ wet weight, respectively. Consumption of aged black garlic significantly decreased hepatic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 compared with the garlic group which showed lower TBARS level than control group (p<0.05).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group were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atalase (CAT) activity of aged black garlic group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aged black garlic exerts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than garlic in vitro and in vivo, suggesting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to a greater extent, could be useful in preventing diabetic complications.

숙성 흑마늘 추출물의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ged Black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30-1335
    • /
    • 2007
  • 마늘을 발효시켜 만든 흑마늘의 지질 산화 억제 및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실험하였다. 표준품으로서 마늘의 주성분인 alliin과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각각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흑마늘 에탄을 추출물이 효능이 가장 높았다. 사람 LDL을 $Cu^{2+}$유도 LDL로 산화시킬 때 그 항산화능은 각 시료를 $10\;{\mu}g/ml$$20\;{\mu}g/ml$ 씩 첨가하며 TSARS를 측정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추출물을 $10\;{\mu}g/ml$$20\;{\mu}g/ml$ 첨가한 후 J774 유도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용량 의존형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의 각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기영동 이동상은 대조구에 비하여 $10\;{\mu}g/ml$$20\;{\mu}g/ml$에서 산화를 억제하였고 공액 2중 결합에 의한 실험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거의 억제되었다.

흑마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Ethanol Induced Hangover in Rats)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숙취용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흑마늘 추출물 130 mg/kg과 260 mg/kg을 각각 40% 알코올(5 g/kg, B.W.) 투여 30 분 전과 30 분 후에 경구 섭취시키고 1, 3 및 5 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혈액 중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간조직 중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과 간지표 효소인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전에 흑마늘 추출물을 경구 섭취시켰을 때 혈 중 알코올의 농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후 5 시간 경과 시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28.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 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매우 감소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후 흑마늘 추출물을 투여한 것은 알코올 투여 30 분 전의 실험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중의 ADH 활성은 정상군과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 모두 큰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었으나 ALDH의 활성은 약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혈청 ALT, AST 활성은 대조군과 흑마늘 추출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흑마늘 추출물의 섭취가 간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보아 안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aged black garlic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induced dermatitis in mice

  • You, Bo Ram;Yoo, Jae-Myung;Baek, Seong Yeon;Kim, Mee R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189-195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aged black garlic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allergy, anti-inflammation and neuroprotection, effect of aged black garlic on chemically contact dermatitis is unclarified. MATERIALS/METHODS: To evaluate anti-dermatitic activity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we investigated effects of a fraction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BG10) on both in vivo and in vitro. RESULTS: BG10 almost inhibited formation of nitric monoxide and interleukin-6 (IL-6; $IC_{50}$, $7.07{\mu}g/mL$) at $25{\mu}g/mL$, and dose-dependently reduce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C_{50}$, $52.07{\mu}g/mL$) and prostaglandin $E_2$ ($IC_{50}$, $38.46{\mu}g/m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BG1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nuclear $NF-{\kappa}B$, and improved that of cytosolic levels of $NF-{\kappa}B$ and $I{\kappa}B{\alpha}$ in the cells. Consistent with in vitro studies, BG10 (0.5 mg/mL) not only reduced ear edema but also suppressed the formation of IL-6 and $TNF-{\alpha}$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 ear tissues of mic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BG10 has anti-dermatitic activity through inhibiting activation of macrophages. Therefore, such effects of BG10 may provide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aged black garlic for prevention and therapy of contact dermatitis.

시판 흑마늘과 제조 흑마늘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ommercial Black Garlic and Lab-Prepared Fermented and Aged Black Garlic)

  • 유보람;김혜란;김민지;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66-371
    • /
    • 2011
  • 본 연구는 남해 통흑마늘, 의성 통흑마늘, 창녕 통흑마늘 및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제조방법으로 만든 흑마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각 흑마늘의 당도는 42.7, 42.7, 56.7, $54.7^{\circ}Brix$를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각각 15.0, 16.0, 23.5, 25.9%로 본 연구실에서 제조한 흑마늘의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판 및 본 연구실에서 제조한 발효숙성 흑마늘의 pH는 3.9~4.6으로 생마늘을 흑마늘로 만드는 과정에서 산도가 높았다. Thiol의 함량은 각각 448.5, 350.0, 318.2, 478.7 mg/g으로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방법으로 제조한 흑마늘의 thiol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총 phenol 함량은 각각 0.64, 0.60, 0.68, 0.72 mg/mL로 본 연구실에서 제조한 흑마늘이 가장 높았다. FRAP은 각각 1.7, 1.4, 1.7, 1.9 mg/mL로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제조방법으로 만든 발효숙성 흑마늘의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73.8, 66.2, 95.8, 96.0%로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방법으로 제조한 흑마늘 항산화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IC_{50}$(DPPH 라디칼을 50% 소거시키는데 필요한 농도)값은 각각 13.1, 12.4, 12.4, 9.1 mg/mL 및 5.2, 3.7, 4.0, 3.2 mg/mL로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방법으로 제조한 흑마늘의 $IC_{50}$이 가장 낮아, 항산화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 결과로부터 본 연구실에서 제조한 흑마늘은 당도, 환원당, thiol 함량 및 항산화능이 시판되는 흑마늘보다 높아 건강식품소재로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마늘의 품질 특성 및 흑마늘 숙성 중 품질 변화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garlic by varieties and their quality changes during aging of black garlic)

  • 유승희;차건수;김동규;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6-458
    • /
    • 2023
  • 우리나라 대표적인 남도, 대서, 홍산과 의성 마늘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마늘을 흑마늘로 숙성하면서 유효물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흑마늘은 60-80℃의 범위에서 15일간 숙성하면서 5일 단위로 시료를 취하였다. 총페놀화합물은 생마늘에서 85.2-109.7 mg GAE/100 g이던 것이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생마늘과 제조된 흑마늘 모두 홍산마늘이 가장 높았다. 알린 함량은 생마늘에서 848.3-1,087.5 mg/100 g이던 것이 숙성 5일에 7.3-20.6 mg/100 g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후 더 감소하였다. 생마늘의 GSAC(γ-glutamyl-S-allyl-cysteine)와 GS1PC (γ-glutamyl-S-1-Propenyl-l-Cysteine) 함량은 202.1-541.0 mg/100 g, 311.1-474.3 mg/100 g이었으며 숙성 동안 점차 감소하였다. 한편, SAC(S-allyl-cysteine) 및 S1PC (S-1-Propenyl-l-Cysteine) 함량은 4종 모두 생마늘일 때 매우 낮았으나 숙성 5일 차에 크게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 5일째 SAC 함량은 남도마늘이 208.0 mg/100 g으로 다른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S1PC는 의성마늘이 66.2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는 생마늘에서 SAC 및 S1PC의 전구물질인 GSAC와 GS1PC가 높았던 시료가 흑마늘 숙성 후에도 높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마늘은 품종에 따라 유효물질의 함량에 차이가 있고 숙성 후의 주요 화합물의 변화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어 향후 기능성 식품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Fractionated Aged Black Garlic Extracts Enhance Growth of Anti-My-10 Hybridoma Cells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 Lee, Ji Young;Chung, Namhyun;Lee, Yong K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61-63
    • /
    • 2014
  • Aged black garlic (ABG) was extracted with 20% ethanol and water (crude extracts) and fractionated into three categories (>10, 3-10, and <3 kDa). The effect of crude extract supplements on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IgG1 antibody production was investigated in suspension culture with a chemically defined protein-free medium. We observed that supplementation of ABG to the cell culture medium stimulated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particularly with fractionated ABG of low molecular weight. The stimulation depended upon the concentration and the size of the fractionated ABG. We also found that the growth-promoting activity was not correlated with high antibody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actionated ABG is a novel and promising alternative as an animal cell culture supplement.

동결 전처리한 숙성 흑마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eezing Pretreated Black Garlic)

  • 최혜정;임보람;하상철;권기석;김동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1-475
    • /
    • 2017
  • 마늘의 동결 전처리는 세포막을 파괴할 수 있으며, 식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흑마늘 가공방법과 $-20^{\circ}C$$-70^{\circ}C$에서 동결 전처리후 숙성 흑마늘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70^{\circ}C$에서의 동결 전처리가 흑마늘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결 전처리와 숙성과정을 거친 흑마늘의 갈변화 정도와 pH는 각각 3.14와 3.55로 나타났고,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은 동결 전처리 과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동결 전처리 후 흑마늘의 환원당 및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 함량은 대조군 흑마늘에 비해 각각 1.69 및 1.14배 증가하였다. 그 결과 동결 전처리는 전반적인 품질(갈변정도, pH, 환원당)과 흑마늘의 기능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