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commitment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1초

건설업에서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불안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Worker's Safety Behavio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 서정규;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7-138
    • /
    • 2017
  • 건설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산업안전사고의 감소율이 현저히 낮으며, 안전사고가 종사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미치는 등 그 사고의 결과가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관리가 그 어느 산업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업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건설사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이 안전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안전행동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건설업에서 종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인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부산지역 건설업 종사원 2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그리고 규범적 몰입 모두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즉 안전에 대한 종업원의 행동을 개선하고, 조직이 정한 안전행동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대한 몰입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결과 지속적 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만이 나타났다. 즉, 고용불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즉 고용불안이 "저"인 집단이 고용불안이 "고"인 집단보다 지속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다. 조직몰입이 건설업 종사자의 안전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를 토대로 건설업 경영자에 제공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학내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 전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 김인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51-62
    • /
    • 2009
  •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여서 궁극적으로는 대학내 체제적인 공학교육 품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학교육인증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대학내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 전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를 분석하여 조직차원에서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지방의 총 90개 대학내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 전담 조직구성원으로 전체 168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62명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대상자 중에서 서울, 수도권, 지방으로 나누어 직위 및 직무별로 총 8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요인별 직무만족은 임금, 승진, 업무절차, 자기개발 및 업무기회 만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도 또한 낮은 편으로 정서적 몰입도와 규범적 몰입도에 비해 근속적 몰입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속적 몰입을 많이 경험하는 개인은 이직 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볼 때 조직에 대한 애착이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는 고용안정성, 임금, 승진 및 보상체계, 업무절차 등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차이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메커니즘 검증 (An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al Perception Ga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amination of Psychological Mechanism)

  • 신수영;박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16-4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에 대한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증명하는데 있어서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의 차이(현실 vs. 이상)에 초점을 맞추어 탐색하고자한다.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실무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현실과 미래에 바라는 이상적인 문화에 대해 함께 파악하는 것은 경영자로 하여금 어디에 경영의 초점을 두어야하는지 경영의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실과 이상적인 조직문화간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경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일 기업 근로자 2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13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화인식 차이는 직무만족 및 정서적 몰입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동체 문화에 대한 이상과 현실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관계가 있고 이는 정서적 몰입의 감소로 이어졌다. 따라서 조직문화인식차이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직차원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한 조직문화에 대해 구성원들과 합의를 이루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에 적합한 조직관리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내재적 동기부여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인터넷 브랜드와의 관계정도에 따라 상호작용성이 소비자-인터넷 브랜드 관계,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on Consumer-Internet Brand Relationship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Relationship Tendency with Internet Brand)

  • 채진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1-20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activity on consumer-internet brand relationship and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relationship tendency with internet brand. The survey was limited to the respondents over 20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 mall.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February 1, 2012 to February 12, 2012 and 562 useful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he strong relationship group and the weak relationship group, the path model was verified according to each group. All the paths except 'affective commitment${\rightarrow}$ repurchase intention' were accepted for the strong relationship group, while three paths were accepted for the weak relationship group. As for the weak relationship group, people-people interactivity dimens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umer-internet brand relationship. Also it showed stronger effect on each consumer-internet brand relationship dimension for both groups compared with contents-people interactivity. Second,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more than one year' group and 'less than one year' group according to relationship period. All the paths were accepted for 'more than one year' group, while three paths were accepted for 'less than one year' group. Both interactivity dimensions showed stronger effect on 'trust' than on 'affective commitment'.

  • PDF

Factors Affecting Online Reservation Decisions Through Hotel Websites: An Empirical Study from Can Tho City, Vietnam

  • NGUYEN, Hai Quynh Tram;LE, Yen Nhi;LAM, Ly Giau;LE, Thi Yen Nhi;NGUYEN, Trieu Di;PHAM, Thi Kim Yen;NGUYEN, Trong Lu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519-529
    • /
    • 2022
  • Many consumers are opting for online booking over traditional booking systems. Customers can actively seek out information about hotels and lodging services, as well as book rooms, at any time and from any location. Customers also feel more supported when they interact with virtual assistants or professionals. Recognizing this issue, several hotels have focused on improving their websites by incorporating aspects that encourage customers to book directly through the hotel's website. The study's goal is to discover what factors impact people's decisions to book a hotel stay through the hotel's website. Therefore, hotel managers and owners can make decisions to improve the hotel website to attract residents to Can Tho City. The factors are website quality, affective commitment, social presence, and e-trust that affect customers' decision to book through the hotel website. The study uses quantitative methods to collect data from 180 residents living in Can Tho. Through data analysis on SPSS and Amos softwar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ree factors considered, namely website quality, affective commitment, and social presence, positively influence customers' booking decisions. This finding also suggests that e-trust is less critical to residents in Can Tho City, different from what the study had predicted.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 및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Security practician with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andits Impact on pro-social Behavior)

  • 김의영;이종환;강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80-392
    • /
    • 2012
  • 이 연구는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1년 서울소재 민간경비기업에 재직중인 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연구에 사용된 사례수는 총 282명이다. 이 연구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기결정력, 직무수행능력, 영향력, 의미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계산적몰입과 정서적몰입의 수준이 높아진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기결정력, 의미성, 영향력, 직무수행능력이 높을수록 고객 서비스와 협조사항의 수준이 높아진다. 셋째, 조직몰입은 친사회적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계산적몰입, 정서적몰입이 높을수록 고객서비스, 협조사항의 수준이 높아진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 및 친사회적행동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프랜차이즈와 체인 커피전문점의 이용경험에 따른 고객만족이 몰입, 충성도, 반복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User Experience on Commitment, Loyalty and Repeated Use in Franchise and Chain Coffee Shops)

  • 양정영;김태희;김미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206-224
    • /
    • 2013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의 실질적인 장기적 몰입 상태인 반복적 이용의 형성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커피전문점에 대한 이용경험, 고객만족, 고객몰입, 반복적 이용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표본은 수도권의 커피전문점을 주2회 이상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 457부를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커피전문점에 대한 이용경험 중 이용환경, 가격공정성, 커피상품품질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둘째, 고객만족은 고객몰입과 반복적 이용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었다. 셋째, 고객만족과 반복적 이용 간에도 고객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가설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커피전문점 이용고객들의 반복적 이용을 형성시키기 위한 관리적 시사점으로 커피전문점에 대한 이용경험의 제고전략과 고객몰입제고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브랜드 체험이 지속적인 브랜드 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on Use Intention of Continuous Brand App)

  • 이성호;정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55-463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모바일을 통한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앱은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 콘텐츠를 마케팅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많은 소비자들이 이러한 콘텐츠들을 브랜드 앱을 통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앱의 특성상 쉽게 다운받고 또한 삭제할 수 있기에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앱의 다양한 체험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브랜드 체험의 감각, 감성, 행동, 인지적 체험은 브랜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충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브랜드 앱의 다양한 체험을 경험한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고 이렇게 형성된 몰입은 브랜드에 대한 충성심을 갖게 하며, 결국 지속적으로 브랜드 앱을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브랜드 앱을 통해 소비자들이 다양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게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좋은 마케팅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정세희;손아진;차윤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29-23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일(work)-가정(family)은 대립적 관계가 아닌 서로 보완적 관계이며, 이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조직 및 개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일-가정 촉진(work-family facilitation)이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스마트워킹시대 인사 관리자들에게 조직관리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일반 기업체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일-가정 촉진은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지속적 몰입을 제외한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으로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들의 지속적 몰입에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일-가정 촉진과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 간의 긍정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추가 메커니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실무적으로는 일-가정 균형 뿐만 아니라 일-가정 촉진, 즉 일과 가정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조직 및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직무설계시 직무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족 상황을 고려한 설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SPA 매장의 VMD 구성요소가 몰입과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for Influence VMD Components on Commitment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within SPA Stores)

  • 신미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40-255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SPA(Speciality retail store of Private label Apparel) 매장에서 VMD(Visual Merchandising) 구성요소가 소비자의 몰입과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독립변수인 VMD 구성요소로는 상품연출과 공간연출을 설정하였고, 이들이 감정적 몰입과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12.0과 LISREL(Linear Structural Relation) 8.7을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품연출과 공간연출은 모두 몰입과 구매 후 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도 구매 후 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설정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뿐만 아니라 경로계수에 대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분석을 통해서 몰입의 매개효과도 유의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SPA 매장의 VMD 구성요소 중에서 상품연출과 공간연출은 둘 다 중요한 요인이지만, 그 중에서 공간연출이 몰입과 구매 후 만족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VMD 구성요소는 소비자의 감정적인 몰입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구매 후 제품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이른 바 감정 인지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음을 재검증함으로서, VMD 전략 수립 시에 요구되는 실무적이고 이론적인 지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