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대학내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 전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In-Sook (Sogang University, Research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인숙 (서강대학교 공학교육연구센터)
  • Received : 2009.01.06
  • Accepted : 2009.06.16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That will allow applying for effective and efficiency job system in workplace. To this aim, this study analyzed 62 organizational members for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how they perceiv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ir workplac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members' general job satisfaction is very low. Especially satisfaction of job security, wages, promotion and reward is very low. Seco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low. Especially continuance commitment is higher in comparison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t means that their retailing potential is huge if they have a chance. Finally, influenc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job security, wages, promotion and rewar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organizational system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여서 궁극적으로는 대학내 체제적인 공학교육 품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학교육인증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대학내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 전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를 분석하여 조직차원에서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지방의 총 90개 대학내 공학교육인증 관련 직무 전담 조직구성원으로 전체 168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62명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대상자 중에서 서울, 수도권, 지방으로 나누어 직위 및 직무별로 총 8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요인별 직무만족은 임금, 승진, 업무절차, 자기개발 및 업무기회 만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도 또한 낮은 편으로 정서적 몰입도와 규범적 몰입도에 비해 근속적 몰입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속적 몰입을 많이 경험하는 개인은 이직 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볼 때 조직에 대한 애착이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는 고용안정성, 임금, 승진 및 보상체계, 업무절차 등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혜란(2005).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과 조직몰입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사회학회지, 39(2) : 163-195
  2. 김정원(2007). 비정규직의 조직몰입에 대한 직무특성과 고용관계 특성의 영향 : 직무만족의 효과검증. 인적자원관리연구, 14(1) : 23-35
  3. 박우성.노용진(2002).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인사관리연구, 26(1) : 151-173
  4. 박상언.이상민(2005). 정규 및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직무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산업노동연구, 11(2) : 157-168
  5. 박순애(2006). 공무원의 직무동기와 조직행태: 직무몰입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5(1) : 203-236
  6. 박혜진(2008). 대학행정직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서정하(2006). 국내 비정규직근로자의 조직몰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산업경영연구, 29(4) : 107-126
  8. 이지우.김종우(2002).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10(1) : 1-26
  9. 전무경.김정환.한권희.남궁일성(2006). 조직 내 갈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19(1) : 159-180
  10. 정기영(2008).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의 관계 연구: 동기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Allan, C.(2000). The Hidden Organizational Costs of Using Non-Standard Employment. Personnel Review, 29(2) : 188-206 https://doi.org/10.1108/00483480010295989
  12. Cook, J. & Wall, T. D.(1987).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Human Relations, 40 : 219-236 https://doi.org/10.1177/001872678704000403
  13. De Witte, H. & Naswall, K.(2003). 'Objective' vs. 'Subjective' Job Security : Consequences of Temporary Works f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Four European Contries.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24(2) : 149-188 https://doi.org/10.1177/0143831X03024002002
  14. Mayer, J. P. & Allen, N. J.(1991).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5. Mowday, R.(1998). Reflection of the Study and Releva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8(4) : 387-401 https://doi.org/10.1016/S1053-4822(99)00006-6
  16. Porter, L. W. & Steers, R. M.(1999).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McGraw-Hill
  17. Rassuli, A.(2005). Evolution of the Professional Contingent Workforce. Journal of Labor Research, 26(4) : 27-52 https://doi.org/10.1007/s12122-005-1006-4
  18. Thorsteinson, T.(2003). Job Attitudes of Part-time vs. Full-time Works :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 : 151-177 https://doi.org/10.1348/096317903765913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