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photograph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3초

자연환경에 대한 주민의 평가와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ident's Evaluation on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valuation Factors)

  • 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1호
    • /
    • pp.67-7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dents' evaluation on valuable animal and vegetation and the naturality of vegetation seen near regional environment. With this purpos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focusing on area of types of vegetation and species of big trees were made in 30 points of midstream of Tama River, Tokyo, Japan.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based on basin environment units in order to be reflective of regional natural environment.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according to its flora and observed the covering area of each points and types through the aerial photograph. In addition, the species of big trees in habitat were listed by the survey. Results as below came out by analyzing the outcome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by multiple regression. First, residents are most likely not to distinguish precisely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vegetation. Both of the researches are apt to be influenced by quantitative factors of vegetation. Second, residents are assumed to consider forest of big trees, inhabitant of groups of big trees, highly natural.

  • PDF

수치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한 항공사진의 정사투영사진 지도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Three Dimensional Orthophoto Map from Aerial Photograph by Digital Photogrammetry)

  • 조재호;윤종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3-211
    • /
    • 1998
  • 정사투영사진 지도는 입체영상에 존재하는 공액점을 수치적으로 탐색하여 높이를 결정하는 수치사진측량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공액점을 자동으로 결정하기 위한 수치영상정합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영상정합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영상 피라미드의 4가지 축척 계수 변화와 8가지 기준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른 영역기반정합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각 방법에 대한 영상정합 결과는 l/5,000 수치지도 자료와 비교하였고, 영상정합의 성공률을 분석하여 최적 기준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수치지형모델은 결정된 영상정합 결과와 광속조정법을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수치표고모델과 정사투영사진을 이용하여 정사투영사진 지도를 제작하였다.

  • PDF

북촌 튼ㅁ자형한옥의 유형연구 (Typomorphological Study on Open-rectangular plan Hanok in the Traditional Urban Housing Neighborhood of Bukchon, Seoul)

  • 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5-138
    • /
    • 2004
  • Open-rectangular plan Hanok is one of the major types that compose the urban tissues of Bukchon, a typical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in Seoul.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adastral map of 1912 and the aerial photograph of 1962, the paper has given the outline of the and the distribution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And the paper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as followings. First,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is the mutated type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in Kyong-gi Province. Seco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akat-chae and outer-courtyard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adaptation itself to the compact lots of urban neighborhood. Thir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chae has not been changed except the inner corner bay, that gives the lights and view to An-bang through the window. And the comparison and observation of four examples, the paper defines the identities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The partial transformation comes from the conflicts and adjustments with the structure of alley and the topographical condition of lots.

  • PDF

GSIS에 의한 지적 불부합지의 해석 (Analysis of Cadastral Non-Coincidence Area by GSIS)

  • 오창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2
    • /
    • 2002
  • 지형공간정보시스템(GSIS)을 지적 전산화작업에 적용하기 위해 지적정보를 수치 전산화하여 토지대장의 On-Line시스템화에 운용할 수 있도록 시도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지적정보의 D/B 구축을 위해 연구대상 지를 일부 선정하여 지적측량 시 D/B 화할 수 없는 지적 불부합지를 일반측량에 의한 현황도와 항공사진측량에 의해 제작된 GSIS 도면을 이용하여 실지 지적기초점을 내려 현황 측량한 성과에 의해 비교 분석하고 그 상관성을 해석함으로써 장래 지적 정보 D/B 구축 시 측량기법의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사진측량을 이용한 토공량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thwork Calculation Using Photogrammetry)

  • 유복모;유용택;이변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50
    • /
    • 1990
  • 본 연구는 토목공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토공 작업의 토공량 결정 방법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료 획득 방법에 따른 토공량 정확도 분석과 수치지형모델의 보간법 적용에 따른 정확도 분석을 통해 사진 측량에 의한 토공량 결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단면법을 이용하는 자료 획득 방법에서는 심프슨 제 2 공식과 각주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정확도가 좋았으며, 수치지형모델에서는 지형에 맞는 두 가지 이상의 보간법을 적용하므로서 토공량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항공사진을 이용하는 수치지형모델에 의한 방법이 효율적임이 입증되었다.

  • PDF

차선이탈경보를 위한 차량용 GPS/DR 통합항법시스템 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onitoring Program Based an Automotive GPS/DR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for Lane Departure Warning)

  • 박순철;천세범;김정원;허문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91-79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육상교통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통합항법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차선이탈경보를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차선이탈경보를 위해서는 차선 구분이 가능한 정확도 높은 위치정보가 필요하므로 GPS와 DR기반의 위치정보를 융합한 위치결정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통합항법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서 실제 차량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후처리한 결과를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확인하였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주행동영상과 항공사진을 통해서 차로유지 및 차선이탈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IKONOS 영상자료를 이용한 농업지역 토지피복 분류기준 설정 (Standardizing Agriculture-related Land Cover Classification Scheme using IKONOS Satellite Imagery)

  • 홍성민;정인균;김성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3-25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공간해상도의 위성영상(Landsat + ETM, KOMPSAT-1 EOC, ASTER VNIR, IKONOS 전정색 및 다중분광)을 비교하여 각 영상에서의 농업관련 정보의 분류기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농업관련 정보는 식별이 가능한 농업지역, 작물형태, 농업시설과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국토지리정보원과 환경부의 분류기준과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농업관련정보의 기준을 IKONOS 영상에 적용하여 농업관련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IKONOS 영상에 대하여 분석된 결과는 KOMPSAT-2의 농업분야 활용에 적용될 것이다.

우이도 해안사구의 지형특성과 형성과정 (The Processes of Coastal Dunes and its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i-island, Shinan-gun, Korea)

  • 신원정;김종욱;김종연;최정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
    • /
    • 2017
  • Massive coastal sand dunes are distributed in Ui-island, Shinan-gun. The sand dunes in Ui-island is worth studying, in terms of preserving natural environment without anthropogenic impacts. In this study, we surveyed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the sand dune based upon measuring of geometric properties, grain size analysis, and OSL(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age dating. The sediments of the dune consist mainly of well sorted medium sand with about 250$\mu$m.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of sand dunes, we found that they are formed by northwest monsoon during winter, and sands are supplied from Seongchon area in northern UI-island. According to OSL age dating, the sand dunes were deposited from $0.07{\pm}0.01ka$ to $0.17{\pm}0.04ka$. This result show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dune due to the sand movement by wind was active during the last 100-200 years. The aerial photograph indicates that the dimension of the largest sand dune has decreased since 1945.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get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geomorphic changes of sand dunes in UI-island.

지형형태와 변화를 반영한 대조차 해빈 분류: 태안지역 해빈을 사례로(2017-2018) (Macrotidal Beach Classifications Considering Beach Profiles and Changes: The Case of Beaches in Taean Region (2017-2018))

  • 김찬웅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65
    • /
    • 2019
  •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Taean region to seek a more detailed macrotidal beach classification than existing beach classification models (Masselink and Short, 1993). Seepage and ridge & runnel were used for classification. On 20 beaches, 68 transects were surveyed 5 times using VRS-GPS. Cross-section area from the transect profiles, mean grain size from sediment analysis, significant wave height from Swan-wave modeling and beach embaymentization from aerial photograph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ypes. The transect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in Taean region; Type 1: low tidal terrace, Type 2: low tidal terrace & ridge, Type 3: dissipative, Type 4: seasonal ridge, and Type 5: ridge & runnel. Generally, seepage was related to coarse sediment size and ridge & runnel was related to high significant wave height. Each typ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here was a tendency between the types. The low tidal terrace type had coarse sediments, because this type is excluded from the littoral cell. In this study, the ridge and runnel type could be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because the study area is limited only to the macrotidal environment in Taean region.

GIS를 이용한 인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석류 분석 (Debris Flow Analysis of Landslide Area in Inje Using GIS)

  • 김기홍;윤찬영;이환길;황제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7-53
    • /
    • 2011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지역은 2006년 7윌 12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규모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한 지역이다. 이때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로 인한 가옥 매몰로 2명이 사망하는 등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 하였다.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지역이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있어 현장에 직접 접근하여 피해규모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항공사진을 이용하면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지역 특성 및 피해규모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강원도 인제 지역의 토석류 발생지역을 확인, 분석하였다. 토석류 발생지역을 발단부, 유하부, 퇴적부로 나누어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으로 각 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고, GIS를 이용한 지형도, 염상도, 토양도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토석류 발생지점에 대한 지형학적, 임상학적, 토양학적 특성 및 발생 현황을 분석하였다.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36^{\circ}$ 정도의 경사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26^{\circ}$ 경사도에서는 흐름으로 진행하다가 $21^{\circ}$ 경사 아래에서는 더 이상 흐름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퇴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인자 중에서는 수종의 종류에 따라 큰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토양인자 중에서는 유효토심 및 토양모재, 침식등급과 토석류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