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bris Flow Analysis of Landslide Area in Inje Using GIS

GIS를 이용한 인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석류 분석

  • 김기홍 (강릉원주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윤찬영 (강릉원주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환길 (강릉원주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황제선 (강릉원주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1.09
  • Accepted : 2011.02.2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From 12 to 16 July 2006, 4 days' torrential rainfall in Deoksan-ri, Inje-up, Inje-gun, Gangwon-do caused massive landslide and debris flow. Huge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including two people buried to death in submerged houses, resulted from this disaster. As the affected region is mostly mountainous, it was difficult to approach the region and to estimate the exact extent of damage. But using aerial photographs, we can define the region and assess the damage quickly and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debris flow region in inje, Gangwon-do was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This region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 beginning section, flow section and sedimentation section. Informations for each section were extracted by digitizing the shot images with visual reading. Topographic, forest physiognomic and soil characteristics and debris flow occurrences of this region were analyzed by overlaying topographic map, forest type map and soil map using GIS. Comprehensive analysis shows that landslide begins at slope of about $36^{\circ}$, flows down at $26^{\circ}$ slope, and at $21^{\circ}$ slope it stops flowing and deposits. Among forest physiognomic factors, species of trees show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bris flow. And among soil factors, effective soil depth, soil erosion class, and parent materials showed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debris flow.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지역은 2006년 7윌 12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규모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한 지역이다. 이때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로 인한 가옥 매몰로 2명이 사망하는 등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 하였다.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지역이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있어 현장에 직접 접근하여 피해규모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항공사진을 이용하면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지역 특성 및 피해규모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강원도 인제 지역의 토석류 발생지역을 확인, 분석하였다. 토석류 발생지역을 발단부, 유하부, 퇴적부로 나누어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으로 각 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고, GIS를 이용한 지형도, 염상도, 토양도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토석류 발생지점에 대한 지형학적, 임상학적, 토양학적 특성 및 발생 현황을 분석하였다.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36^{\circ}$ 정도의 경사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26^{\circ}$ 경사도에서는 흐름으로 진행하다가 $21^{\circ}$ 경사 아래에서는 더 이상 흐름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퇴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인자 중에서는 수종의 종류에 따라 큰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토양인자 중에서는 유효토심 및 토양모재, 침식등급과 토석류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수 (2007) 산사태 지역사면의 지질별 토질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대한지질공학회지, 대한지질공학회, 제 17권, 제 2호, pp. 205-215.
  2. 김태환 (2006),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추출 기법, 석사학회논문, 강원대학교, pp. 1-3.
  3. 손정우, 김경탁, 이창헌, 최철웅 (2009),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인제 지역 산사태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7권, 제 2호, pp. 61-69.
  4. 양인태, 천기선, 박재훈 (2006), GIS와 AHP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결정 및 유발인자의 영향,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4권, 제1호, pp. 3-12.
  5. 장동호, 박노욱, 지광훈, 김만규, CHUNG, Chang-Jo F (2004), GIS기반 베이지안 예측모델을 이용한 보은지역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1권, 제 3호, pp. 13-23.
  6. 전근우, 송동근, 이진호, 김민식, Tsugio-Ezaki (2009) 2006년 강원도 평창지역 산사태지에 있어서 강우, 식생 및 모암특성과 산사태 발생, 2009년 성과 및 춘계학술 발표회, 한국지반환경공학회, pp. 342-347.
  7. 차경섭 (2006), 역학적 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대우건설기술, pp. 27-37.
  8. 채병곤, 조용찬, 송영석, 서용석 (2009),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취약성 평가표개발, 대한지질공학회지, 대한지질공학회, 제 19권, 제 1호, pp. 99-108.
  9. 최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pp. 1-5.
  10. 최은영 (2010), GIS를 이용한 한국형 산사태 원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pp. 13-23.

Cited by

  1. Estimating landslide susceptibility area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inherent in modeling methods vol.32, pp.11, 2018, https://doi.org/10.1007/s00477-018-1609-y
  2. 인제군 산사태 지역의 토석류 거동 예측기법 적용 vol.29, pp.5,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1.29.5.535
  3. 수량화 2종법을 이용한 GIS 기반의 인제지역 산사태 영향인자 분석 vol.20, pp.3,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2.20.3.057
  4. 불포화지반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사면 모델 기반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vol.47, pp.1, 2014, https://doi.org/10.9719/eeg.2014.47.1.49
  5. GIS Based Analysis of Landslide Effecting Factors in the Pyeongchang Area vol.32, pp.3,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4.32.3.261
  6. Predicting the Initiation Area of a Debris Flow Using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Physically-Based Model vol.21, pp.2, 2011, https://doi.org/10.9798/kosham.2021.21.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