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attitude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versus Loc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in TV Advertisements on Consumers' Brand Evaluation and Attitude toward Brand

  • Lee, Chol;Choi, Gyoung-Gyu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8호
    • /
    • pp.89-109
    • /
    • 2019
  • Purpose - We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GCCP) in TV advertisements on consumer's brand evaluations (perceived quality, perceived price, and brand prestige) and attitude toward brand. Also, we analyze the moderating rol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ethnocentrism and level of product knowledge) in those effects. Design/methodology - Thi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of 210 randomly-selected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were shown a total of 8 TV advertisements of consumer goods of nondurable goods (fast food and carbonated drinks), and durable goods (sports shoes and digital camera), which included two advertisements for each product where one uses GCCP strategy while another uses LCCP strategy. We estimate the structural model using the AMOS 18.0 computer program. Findings - We find that GCCP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brand evaluations and attitude toward brand than LCCP in TV advertising. We also find that GCCP has stronger effects on brand evaluation and attitude toward brand in consumers with weak ethnocentrism and in those with a low level of product knowledge. Practical implications - Using GCCP in an advertisement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consumer's evaluation of the brand and attitude toward the brand mainly when cosmopolitan consumers and consumers with low knowledge levels are segmented as targets. Originality/value - The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 how and for what consumer groups' global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in TV advertisements affect consumers' brand evaluations and their attitudes toward brands.

제품유형과 제시유형에 따른 웹툰 PPL 효과 연구 (Effect of Webtoon PPL by Product Type and Placement Type)

  • 조윤진;박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7-46
    • /
    • 2018
  • 본 연구는 제품 유형 및 PPL 제시 유형에 따른 웹툰 PPL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수용자들의 광고 회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웹툰 PPL 제작방식 및 집행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제품 유형(실용재/쾌락재), 웹툰 PPL 제시 유형(이미지형/삽입형/혼합형)에 따라 $2{\times}3$의 집단 간 실험 설계를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PPL유형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삽입형의 경우 가장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형성하였다. 웹툰 콘텐츠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쾌락재의 경우와 삽입형 PPL의 경우가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물인터넷이 구현된 광고의 소비자 인지욕구에 따른 광고태도 연구 (Study of Relation Between Consumers' Advertisement Attitude and Need for Cognition for IoT-Implemented Advertisement)

  • 이지화;조세홍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5-172
    • /
    • 2015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된 광고에서 사용자요인인 소비자의 인지욕구에 따라 어떠한 광고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물인터넷 광고에 대한 간단한 사전교육 이후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 동영상과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욕구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 인지욕구가 낮은 소비자보다 더 긍정적인 광고태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이 구현된 광고에 있어서 소비자의 인지욕구에 따라 다른 광고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NS 광고속성이 구매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설득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vertisement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Attitud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uasion Knowledge -)

  • 나윤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8-68
    • /
    • 2019
  • 최근 제품리뷰 형태의 SNS 광고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광고는 효과와 영향력에 비해 관리와 규제를 덜 받고 있어 소비자 불만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성, 오락성, 신뢰성, 친근성 등 제품리뷰 SNS 광고 속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때 높아진 소비자 불만들로 인해 개개인이 구축한 설득지식은 광고효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조절효과로 살펴보았다. 240명의 제품리뷰 SNS 광고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광고 속성이 구매의도에 끼치는 영향 관계에서 설득지식의 조절효과는 오락성, 정보성이 채택되었고 광고 속성이 브랜드 태도에 끼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오락성, 정보성, 친근성이 채택되었다.

매체 유형에 따른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 분석 - 인쇄물과 영상 미디어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iveness of Healthcare Campaign According to Types of Media - Focused on Printed Media and Video)

  • 배순한;이지수;최재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23-132
    • /
    • 2020
  • With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health and health promotion, the government and many organizations are conducting various health campaigns for the public. The public health campaign is aimed at protecting the people from the dangers of disease and contributing to a healthy life and also help establishing a healthy attitude and changing behavior as well. In addition,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enhance the advertising effect of campaigns aimed at forming preventive attitudes and to verify it by applying many theories. However,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regarding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ampaign by media.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health campaign by the type of media which published health campaign advertisements that can affect prevention attitude.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15 print media were to examine the impact of media characteristics and types on participation in campaigns for health campaigns. Through this, we will present the role of the media as an efficient channel to encourage the form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health attitude of campaign advertisements, and present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selection of optimal media and the execution of campaign budgets.

손실과 이득 메시지 프레이밍 광고상황에서 COVID-19에 대한 관여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의도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태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Involve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of Social Distancing in Loss versus Gain Advertising Context)

  • 최자인;최자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67-477
    • /
    • 2021
  • COVID-19 감염예방을 위한 손실과 이득 메시지 프레이밍 광고상황에서 COVID-19에 대한 관여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간 관계에서 광고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 3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개 유형의 메시지 프레이밍 중 1개 광고를 무작위 할당하여 보도록 한 후 COVID-19에 대한 관여, 광고태도 및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의도를 측정하였다. COVID-19에 대한 관여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의도에 영향을 미쳤는데 COVID-19에 관여함으로써 COVID-19에 대한 위험이나 심각성을 인식하여 위험감소행위를 시도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어 COVID-19에 대한 관여를 높이는 전략이 매우 필요하다. 또한 광고태도가 COVID-19에 대한 관여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작용을 하였다. 따라서 병원이나 지역사회 종사 간호사가 현장에서 대중과 소통하고 정책을 보급할 때 긍정적 광고태도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메시지를 제시함으로써 건강관리 리더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사실적 보도태도에 미치는 기자의 역할인식과 역할지향의 영향력 연구 - 중앙일간지 편집기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urnalist's Role-Cognition and Role-Orientation Upon Real Reportage attitude -Focus in editors of National Newspaper)

  • 강현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101-109
    • /
    • 2014
  • 본 연구는 중앙일간지 편집기자의 역할인식을 사회안정 및 개혁 견제로, 역할지향을 취재원지향, 사시지향, 독자지향으로 구분하고 역할인식과 사실적 보도태도 사이에서 역할지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취재원지향은 사회적 안정 역할 인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실적 보도 역할 인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시지향은 사회적 안정 역할의 영향을 받을 뿐 사실적 보도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자지향성은 편집기자의 역할인식이 사실적 보도역할인식을 강화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취재원의 기대에 영향을 받을 경우 사실적 보도태도는 감소하며, 독자의 기대에 영향을 받을 경우 사실적 보도태도는 증가하는바 편집권이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브랜드소비성향과 충동구매성향이 PPL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nfluence of Brand Consciousness and Impulsive Buying Tendency on the Attitude Toward the Product Placement)

  • 양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84-92
    • /
    • 2014
  •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제품이 등장하는 PPL은 전통적인 광고와는 달리 시청자들의 재핑(zapping)을 피할 수 있으며, 드라마 주인공이 주로 사용하여 스타 마케팅의 역할을 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PPL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PPL이 제시되는 방식에 따른 효과의 검증에 집중하였는데, PPL의 효과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용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용자의 소비성향과 PPL효과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브랜드소비성향과 충동구매성향이 PPL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브랜드소비성향과 충동구매성향이 높을수록 PPL제품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자아존중감도 PPL제품태도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즉, 개인의 소비성향에 따라 PPL에 대한 반응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의복관여와 상표확장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and Brand Extension)

  • 정미재;이선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124-1138
    • /
    • 1997
  •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Clothing Involvement and Brand an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building on affective brand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measure the result of Brand Extension attitudes and Brand Extension items by clothing involvement (high involvement/low involvement). Second, It is to classify the factors of Clothing Involvement which suggested in theoretical research and to clarify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factor and brand evaluation, brand extension attitudes. Third, It is to investigate the affect that clothing involvement, demographic variable and brand type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adult women in Seoul, who were extracted by sampling randomly during the fall of 1995. Questionnaire was used as major method of gathering data. They were analyzed by the SAS method such as Frequency, Anova, Dunca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Factor analysis. Main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brand extension attitude evaluation by high-involve group and low-involve group, quality, reputation and buying intension of brand extension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 brand extension attitudes and items of high-involve group was high compare to low-involve stoup. High-involve group evaluated watch, underwear, shoes and stocking of extension items highly, and there is no involvement difference of perfume, parasol, cushion. 2. In order to classify the dimension of Clothing Involvement, it was carried out factor analysis. 1 found that Clothing Involvement was composed of 4 factors, namely, interest - fashion.perceived risk symbolism.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and brand extension attitude was as followed; Interest factor of clothing involvement was correlated the existing brand attitude. Brand preference of the existing brand attitude was related the image of brand extension attitude, interest of advertising was the quality and the reputation-image was the buying intension. 3. For evaluation of a factor influenced on Brand Extension, it was produced multiple -regression test. Demographic variables and brand types had some influence of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Involvement had on brand extension. 27% of interest, 26% of symbolism was explained by brand types and 15% of fashion, 6% of perceived risk was explained by brand types, demographic variables. And, 10% of brand extension was explained by interest, fashion and symbolism.

  • PDF

PPL 광고효과요인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Relation between Consumers' Product Placement Effect Factors and Attitude of Advertisement)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81-190
    • /
    • 2011
  • 본 연구는 PPL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소비자의 신념인식을 통해 알아보고, PPL 광고효과요인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0명의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PL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7개로 나타났다. 즉, 연예인관여도, 노골적묘사, 협찬사신뢰성, 소비조장, 브랜드차별성, 윤리성 및 정보제공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태도 지각에서 소비자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에 비해 좀 더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PL광고효과요인과 광고태도 관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예인 관여도 협찬사, 신뢰성 및 정보제공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접광고제작 실무자에게 간접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신념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PPL 시장진출에 관심 있는 광고대행사의 간접광고 제작 전략마련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