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program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1초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의 타당성 분석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Selec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윤초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679-701
    • /
    • 2014
  • 영재선발을 위한 교사 관찰 추천의 타당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지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타당성의 준거변인으로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와 같은 영역 특수적 변인과 확산적 사고, 창의적 인성, 내재적 동기, 리더십과 같은 영역 일반적 변인이 사용되었다. 현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영재 학생, 영재교육을 받은 적은 없지만 교사에 의해 영재로 판단되어 추천된 잠재영재 학생, 그리고 일반학급의 학생들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변인인 독창성과 확산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유창성과 독창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영재학생/추천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영재학생/추천학생은 이들 변인에서 일반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 결과, 영재학생/추천학생을 일반학생과 유의하게 판별해주는 함수가 도출되었으며, 판별함수에 부하된 변인은 독창성을 제외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과학영재 학생을 추천할 때 논리적 사고나 문제해결력, 과학수행, 그리고 이로 인해 강화되는 과학효능감과 같이 보다 '적응' 지향적인 학문적 탁월성을 고려하는 반면, 다양한 새로운 반응들을 신속하게 생성해내는 '혁신' 지향적인 속성(유창성이나 독창성으로 나타나는)은 덜 고려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교사추천의 기준은 학문적 탁월성을 지향하는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선발기준과도 부합하며, 이러한 기준으로 영재를 판별할 때는 교사추천만으로도 영재판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조명의 색이 육계의 행동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ght Colors on the Behavior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9-3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개의 다른 색(white, blue 및 red/ 23L-1D)의 조명이 육계 암수별 행동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시험계는 초생추 육계를 6개 pan(pan당 암컷 16수, 수컷 16수)으로 나누어서, 3가지 색의 조명에서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계는 3일간의 조명에 대한 적응 기간을 거친 후, 동일한 사양 조건에서, 암수 각각 3수씩, pan당 6마리의 focal birds를 중심으로 pecking, resting, standing 및 walking 행동이, 1일 120분간(pan당 20분/일), 주 5일간, 직접관찰법으로 5주간 시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 등은 주별로 계산되었고, 시험계 19일령과 33일령의 2회에 걸쳐서 TI-반응과, 33일령의 1회에 걸쳐서 gait score, foot pad score 및 horn burn score가 조사되었다. 조명의 색은 증체량, 사료 섭취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사료 효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쳐서(P<0.05), blue 조명의 경우가 white 및 red 조명의 경우보다 높았다(P<0.05). Resting 행동 빈도는 전체의 행동 빈도에서 주요한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암수간 또는 조명의 색깔에 따라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성장 초기에는 red 조명에서 resting 행동 빈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standing 행동 빈도는 4~18일령에, walking 행동 빈도는 전 시험 기간 동안 red 조명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육계 사육장내 조명의 색은 생산성, 행동 빈도 및 복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생각되었다.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or and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 채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83-689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입국탈북자들 중, 청소년 탈북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탈북청소년들은 한국 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을 낯설어하고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한국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탈북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2017년 06월 14일부터 24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 사회적지지 유형인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은 탈북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4가지 유형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통해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자기개발훈련 등의 실천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병원조직에 팀제 도입이 팀직무만족과 팀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 Team System's Introduction to Hospital Organization, Regard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 최순연;남은우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271
    • /
    • 2000
  • The introduction of a team system to any organization is usually to improve that organizations dynamics, by increasing the proper adaptation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by reducing approval procedures, and by promoting power authoriz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attempt to determine (1) whether or not the introduction of a team system can be as effective in hospital organizations as it has been in business organizations, and (2) what behavior factors influence such effectiveness. For the current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Four hundred eighty three of them(94.7%) were retrieved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processes. The three types of variables that were found to influence team effectiveness were: (1) independent variables of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atmosphere,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2) intervening variables of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job autonomy, technological variety, task subjectivity, task feedback and task importance, and(3) the dependent variables of team leve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eam organization. The gather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6.12 version of the statistical program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and the reliance coefficient of those measured variables was then evaluated as an average of 0.78. The influence of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were then analyzed on the basis of related mean values, while the differences among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using the dispersion analysis(ANOVA) and the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team level effectiveness, all of the factors including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atmosphere,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ffectiveness. Second, the factors of team job characteristics, such as technological variety, task importance and job autonomy,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teams members.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generally high, while team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e team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those who were older, who had more job experience, and who had a higher position.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job types, the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fields of nursing and administration/management then in other fields.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towards the setting of variables for characteristics of hospital organization, developing suitable methods of measurement, and researching individual level effectiveness.

  • PDF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A Study on the Distributive Equity of Neighborhood Urban Park in Seoul Viewed from Green Welfare)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76-89
    • /
    • 2014
  • 건강 증진,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등 도시공원의 역할과 기능은 확장하고 있으나, 확장된 기능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공원 정책개발 및 집행 과정에 도시공원의 다기능성과 분배적 형평성을 반영하기 위해 녹색복지 개념을 제안한다.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NUP)의 분배적 형평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원복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색복지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생애주기별 시민 모두가 건강 증진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녹색 서비스 전달과정에 참여하고 공정한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정의했다. 분석결과 서울시는 자치구별 사회 경제 환경적 지위에 따라 1인당 NUP 면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NUP 면적과 상관관계가 있는 공원복지 지표는 인구밀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재정자립도(+), 홍수 및 대기오염 취약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공원복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고, 이를 통해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NUP는 불균형적으로 공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시의 향후 도시공원 정책은 양적 확충을 넘어 공원이 지닌 기능의 공정한 분배가 요구되며, 이는 공원서비스의 수요자인 지역주민과 지역사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뇌성마비아 부모의 부담감 및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Functioning and Burden of Parent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 이화자;어용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99-211
    • /
    • 2000
  • Today, more chronically ill and handicapped children are being cared for at home by a family member caregiver. The task of caring for a family member may feel burden that the caregiver has less time and money and more work. Family functioning and their burden have influence on coping and adaptation of families with chronically-ill children.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vels of burden and family functioning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s. The instruments were burden scale developed by Suh and Oh(1993), and a modified Feetham Family Functioning Survey based on Roberts and Feetham.(1982). The subjects were 98 parents of children, under 15 years, who have cerebral palsy and being treated and living in Pusa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 aire from April 26 to May 29. The collected data were tested using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rating scores of burden and family functioning were 2.79±.51 and 4.12±.69, respectively. 2.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 istics and burd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degree of children's handicap(F=6.333, P<.01).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functio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familial relation with the children(F=3.628, P<.05), caregiver's health status(F=4.359, P<.05), age of children (F=4.185, P<.05), and duration of treatment (F=6.802, P<.01). 3.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urden of parents and the performance of family functioning(r=-.230, P<.05).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burden of parents and the satisfaction of family functioning (r=-.211, P<.05), and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family functioning(r=-.481, P<.01); howev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family functioning(r=.425, P<.01).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ed family-focused nursing interventions as supportive care for relieving their burden and for improving family functioning.

  • PDF

구개상 장착에 따른 한국어 어음의 조음시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ALATAL PLATES UPON THE DURATION OF KOREAN SOUNDS)

  • 고여준;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102
    • /
    • 1994
  •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masticatory and esthetic effects of prosthodontic treatments, but few on the restoration of pronunciation, especially in complete denture wear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that could be of help to the complete denture wearers' speech adapta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alatal coverage upon the du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ith the method of experimental phonetics. For this study, metal plates and resin plates were made for 3 male subjects in their twenties, who have good occlusion, and do not have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Then 8 Korean consonants and 4 Korean vowels were selected, systemically considering phonetic variants such as the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lenis/fortis, mutual effect of each phoneme, etc. They were combined into meaningless tested words in the form of /VCV/, and were included in the carrier sentences. Each informant uttered the sentences 1) without the plate, 2) with the metal plate, 3) with the resin plate.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waveform of sounds and spectrogram by using the program SoundEdit, Signalize, Statview 512+for the Macintosh computer. The duration of each segment was measured by searching for the boundaries between the preceding vowels and consonants, and between the consonants and the following vowels. The study led to the conclusion that. 1. With the palatal plate, the duration of all the tested words increased and the duration increased more with the resin plate than with the metal plate. 2. With the palatal plate, the duration of all the preceding vowels, consonants, and following vowels increased, but the temporal structure of the tested words was maintained. 3. As for the manner of articulation, fricative /s/(ㅅ) was greatly influenced by both kinds of palatal plates. 4. As for the place of articulation, alveolar sounds /d/(ㄷ), /n/(ㄴ) were greatly influnced by the kinds of palatal plates, and the velar sounds /n/(ㅇ), /g/(ㄱ) were influenced by the platal plates, but the kind of the palatal plat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5. As for the lenis/fortis, lenis was influenced more by the kind of the palatal plates. 6. As for the influence of vowels upon each segment in the tested words, palatal vowel /i/(ㅣ) had greater influence than pharyngeal vowel /a/(ㅏ), and following vowels than preceding vowels.

  • PDF

스키산업에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의 스키장을 사례로 - (Estimating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Ski Industry - The Case of Ski Resorts in South Korea -)

  • 김송이;박찬;박진한;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32-443
    • /
    • 2015
  • 스키산업은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한 산업이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많은 연구자들이 기후화로 인한 스키산업의 영향을 연구해왔다. 그러나 이런 대부분의 연구들은 대부분 세계적 규모의 대형 스키장을 대상으로 진행해왔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은 소규모 스키장에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국내 스키장 17곳을 대상으로 한국적 여건을 고려한 스키산업의 기후 변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저감 노력 하에 기후변화 추세가 완화한다면(RCP 4.5) 스키산업은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 현재의 기후변화 추세가 계속 지속된다면(RCP 8.5) 스키산업의 운영 어려움이 발생될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스키장 운영 최소 영업일 100일을 기준으로 했을 때, 17개 스키장 중 2030년대에 3개, 2060년대에는 12개, 2090년대에는 나머지 2개 스키장의 운영이 불가해 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소규모 스키장 또한 해외의 대형 스키장과 마찬가지로 기후변화로 인한 운영 어려움에 노출될 것임을 뜻하며, 스키장의 운영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기술적, 운영적 차원의 적응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SSAT 작물모형을 위한 수미품종의 품종모수의 결정과 기후변화에서의 활용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the genetic coefficient of cv. Superior for the DSSAT-CSM)

  • 백계령;이계준;이은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4
    • /
    • 2018
  • 감자는 전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쌀, 벼, 옥수수 다음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 식량 작물이며 생육 중에 수분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수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기후변화에 의한 감자수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식량안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후변화 등에 의한 환경에 따른 작물생산량 예측을 위해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작물모형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다양한 작물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미국에서 개발된 DSSAT 프로그램도 그 중 하나로 다양한 작물에 대한 여러 모델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한 일종의 패키지이며 27종의 작물에 대해 연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조건에서 2050년대와 2090년대의 국내 5개 지역의 감자 생산량을 모의하였다.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재배되고 있는 감자품종인 수미에 대한 품종모수가 DSSAT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016-2017년 실제 생육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로 하부모듈인 GenClac 프로그램에서 수미품종의 품종모수를 추측하였으며, 총 5개 지역 39개의 지역적응시험 성적자료를 이용하여 추측된 품종모수를 검증하였다. 검증된 품종모수로 RCP 8.5기후 시나리오조건에서 수미품종의 생산량예측을 수행한 결과 2010년대와 비교하여 2050년대에는 5개 지역 총 생산량이 26% 증가한 반면 2090년대에는 17%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감자 생산을 위해서는 고온에서의 재배와 관수와 관련된 연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불확도 기반 밭토양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여부 판정 (Uncertainty-based Decision on Mitigation of Nitrous Oxide Emissions in Upland Soil)

  • 주옥정;강남구;임갑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7-316
    • /
    • 2019
  •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발생은 토양환경, 기상환경, 작물 생장 등 모든 생태계 변화와 인위적인 영농활동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하여 배출량 변동성의 크기가 매우 크므로 배출량 자료에 대한 신뢰구간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신뢰구간을 정의하는 불확도 평가가 필요하지만 불확도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밭토양에서 발생하는 N2O 배출량 저감 효과의 유의성을 불확도 추정기법을 통하여 판정하고자 하였다. 질소 비료 시비효과 증진 및 N2O 배출량 감소를 위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 함유 원예용 비료, 표준시비, 무시비 등 5처리 집단들의 신뢰구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불확도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N2O 배출량 개별 자료들의 변동성을 모두 고려한 신뢰구간을 찾아내어 분석한 결과로 신뢰성 있는 저감 효과(처리간 차이)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와 배추 재배지에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 함유 원예용 비료를 시용하면 표준시비와 같은 생육상황에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