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collection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9초

시맨틱 웹 기반 국방무기 다차원 정보 분석 시스템 (Semantic Web based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Analysis System on the National Defense Weapons)

  • 최중환;박정호;김평;이승우;정한민;서동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2-510
    • /
    • 2012
  • 국방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첨단 무기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온라인을 통한 정보의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각국의 미래 전략무기 소요 제기를 위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이종의 국방정보를 통합 관리 및 분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시맨틱 웹은 이종의 지식자원을 통합하고 검색 및 내비게이션 할 수 있는 차세대 지식정보 관리 기반 기술로 최근에는 지능형 시스템 구축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시맨틱 웹은 단순 키워드 검색이 아닌 의미적으로 연관된 정보 검색을 제공하기 때문에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을 기반으로 무기 제원 정보를 중심으로 무기의 제조국, 개발 회사, 개발 현황 등 무기와 관련된 다양한 관련 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조화하는 것은 물론,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무기를 효과적으로 검색 및 분석할 수 있는 국방무기 다차원 정보분석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무기의 제원명과 제원의 상하위 관계를 이용해서 확장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무기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다양한 경로로 무기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무기체계에 따른 다양한 분석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무기 분야의 전문가 지식과 웹에서 수집된 무기 관련 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축하고 지능화된 검색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정보전 시대에 필요한 첨단 무기 정보 획득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지광국사비에 나타난 고려의 용화세계 (Goryeo's utopia in Jigangkooksa's monument)

  • 김대식
    • 고문화
    • /
    • 제70호
    • /
    • pp.17-34
    • /
    • 2007
  •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비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탑비로 국보 59호로 탑비와 함께 조성된 지광국사현묘탑 역시 고려시대 부도탑의 걸작으로 국보 101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광국사 해린은 중소호족 출신으로 각고의 노력을 통해 71세 때에 현화사 주지가 되고 75세에 이르러 국사에 오른 인물이다. 입적 후 조성된 그의 부도탑과 탑비는 고려시대 최고의 걸작품의 하나로 손꼽힌다. 이러한 탑비가 조성될 수 있었던 데는 그가 대장경의 조성 혹은 완성에 그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 외에도 만년에 맞아들인 당시 최고의 문별귀족 출신의 제자 소현이 그의 탑비를 조성했다는 점이 큰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지광국사비의 용화세계는 현재까지 알려진 변상도을 비롯한 불화나 여러 사경도에서는 그 유례가 없는 새로운 형태의 유토피아를 표현한 것이다. 서오 네 마리가 노리는 운문을 지나면 궁륭으로 보이는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아래는 13천을 표현한 13개의 산(山)이 있고 그 중심에 우뚝선 하늘인 도솔천이 있다. 그 도솔천 위에 용화수가 서있다. 좌우로 비천이 용화수를 향해 수노를 들어 예를 행하고 있다. 용화수 주위는 해와 달이 도는데 좌측의 달에는 토끼(항아)가 계수나무 아래에서 두꺼비와 함께 디딜방아를 찧고 있다. 우측의 해에는 삼족오가 새겨져 있다. 용화수는 보룡의 문양으로 된 나무 기둥에 용머리 모양의 꽃이 피어있고, 아래에는 제강주가 달려 있다. 지광국사비의 용화세계는 미륵이 성불하는 용화세계와 관련된 모든 내용이 문양으로 새겨져 있다. 지광국사는 고려의 최고 전성기인 문종대에 활동했고, 또한 고려인들이 가장 신성시한 대장경의 간행을 주도한 인물이다. 당시 고려인들은 그의 탑비의 전액 위에 그가 용화세계의 주인이라는 최대의 존경을 담은 그림을 헌상했다. 이는 고려인들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유토피아인 것이다. 이는 밝혀지지 않은 고려문화의 또 다른 모습인 것이다.

  • PDF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윤순녕;김정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0-14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promoting behaviors(HPBs) and the related determinants affecting to women workers health based on the New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08 women workers at the 8 electronic manufacturing factorie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and cooperation with health managers in the factorie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9.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PC+7.5 vers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score for the HPBs, consisted of 6 subdimensions was 2.05. The highest mean score was 2.29 in 'Spiritual growth' and the lowest one was 1.66 in 'Physical activity'. 2.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charateristics and HPBs were found. 3. HPB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r=0.369, p<0.1), 'Perceived self-efficacy'(r=0.340, p<.01), 'Activity-related affect'(r=0.252, p<.01). 'Social support'(r=0.350, p<.01). 'Commitment to a plan action'(r=0.374,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nd HPBs. 4.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PBs was 'Commitment to a plan action'. It was explained 14.0%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HPBs. 'Commitment to a plan action', 'Prior related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explained 2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for improving th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sponsibility of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2. To facilitate and maintain HPBs of women workers, nurses may enhance and plan mutually interactive active HPBs with women workers. 3. Social support at the level of individual workers, supervisors, and the organiz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conduct health promotion program at the factories. 4. Significantly related variables to HIPBs should be identified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among them further more.

  • PDF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Rapid Response Team)

  • 한미라;강은형;이용숙;장은주;이수정;허윤아;남궁서화;서서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2호
    • /
    • pp.198-206
    • /
    • 2020
  • Purpose: The rapid response team is a patient safety system that detects symptoms and signs of deteriorating inpatients and provides inter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team.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at analyz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activated by the rapid response team. The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7. We analyzed 278 pieces of data activated by the rapid response team for patients aged 16 years or older at C University S Hospital in Seoul. We employed the SPSS 23.0 program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asons for activation of the rapid response team were oxygen saturation of less than 90.0%, other causes, and change in consciousness. The most common diagnosis of activated patients was respiratory failure (32.4%). The average activation time was 153.43±286.05 min. The activation time was shortest during convulsions (13.29±7.32 min). For patients with a history of kidney disease (B=0.58, p=.008), in case of surgery (B=0.55, p<.001), if the first symptom is mediated by the physician (B=0.53, p=.007) the active time is often extended. On the other hand, activation time is reduced when consciousness changes (B=-0.51, p=.002), especially when oxygen saturation is below 90.0% (B=-0.64,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patients deteriorating in the general ward would be recognized early, which will help in the effective activation of the rapid response team.

팀 기반 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tion in Lessons of Nursing Student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51-363
    • /
    • 2017
  •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1일부터 12월 5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문제해결능력은 상승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태도, 학습동기는 수업 후 상승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업참여도는 변화가 없었을 뿐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 팀 기반 학습 후 학습태도는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와 학습동기는 수업참여도, 문제해결능력은 수업참여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양한 간호상황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기본, 성인교과목 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교과목에도 팀 기반 학습과 같은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법 적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노인주간보호시설에 대한 잠재이용자의 이용욕구 및 발전방향 (A potential user' Need of Utiliz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ay Care Center)

  • 정지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79-4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주간보호시설에 대한 잠재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욕구와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J도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을 대상으로 기관 인식과 이용욕구를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6개 시설의 기관장 및 종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 기관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잠재이용자들은 주간보호시설의 기능 및 구체적인 역할에 대해 많이 인지하고 있지 않았으며, 시설비용 부담은 국가에서 부담하며, 시설을 이용 시 중요한 요인은 시설 및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인터뷰에서는 지금의 정책이나 제도는 현실과 괴리가 커 종사자들의 지위나 역할 그리고 기관의 운영 상태와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형 시스템의 재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간보호시설의 발전방향은 국가차원에서 시민들에게 주간보호시설의 인식 개선 및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가족지원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의 욕구를 반영한 시설과 환경의 개선을 통한 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종사자의 열악한 고용 여건과 처우를 현실에 맞게 개선해 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여 나가야 한다.

뉴질랜드 생태관광의 효과 (The Effects of Ecotourism in New Zealand)

  • 최재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9-73
    • /
    • 2001
  • 본 연구는 생태관광이 발달한 국가 중 뉴질랜드를 대상으로 생태관광의 효과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한국의 생태관광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먼저, 생태관광의 개념과 효과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뉴질랜드 전역과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의 효과를 환경보전적 효과, 지역경제적 효과, 교육적 효과로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뉴질랜드 생태관광은 정부의 확고한 환경보전 정책과 지역주민의 주도적 참여에 의해서 환경보전적 효과와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교육적 효과도 잘 나타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민간부문에서 도입된 생태관광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개입으로 지역주민의 참여가 주도적이지 못하고 지역의 경제적 이익이 달성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미흡하여 지역 경제적 효과에 만족스럽지 못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생태관광을 통하여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고 정부의 지원으로 환경을 보전하면서, 지역경제적 이익과 함께 교육적 효과도 높여야 한다.

  • PDF

신호교차로 내 실시간 교통사고 자동검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the Algorithm for Traffic Accident Auto-Detection in Signalized Intersection)

  • 오주택;임재극;황보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7-111
    • /
    • 2009
  • 영상기반의 교통정보수집시스템은 관리 및 운영상의 한계를 보이고 있는 기존의 루프검지기의 역할을 대체하는 검지기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통류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나라에서 보급 활용되기 시작했다. 또한 용도와 사용범위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확장세에 있다. 반면에 교통사고 관리와 관련하여 현재까지는 단순히 교통사고 예상지역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해 두고 기록되는 자료의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정도의 영상처리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교차로 내 교통사고의 발생 전과 후의 순차적인 상황을 정확히 기록하고, 이 자료를 통해 발생된 교통사고의 사고 매커니즘을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조명하고 분석하는 것은 교통사고 처리에 있어서 어느 것보다 시급하고 중요한 부분이다. 기존 기술들은 교차로의 환경적 다양한 변화로 인해 극복하기 매우 어려운 차량의 객체분리, 추적 등의 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데이터처리용량으로 실시간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에 잘 알려진 환경적 장애요소 제거방식 중 가장 우수한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는 가우시안 복합모델 분석기법에서 조차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오 검지 상황들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능동적이고 환경적응적인 기법을 제시하고 구현하여 그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교통사고자동기록장치와 비교해 본 연구의 결과가 비교우위의 성능을 구현하였음을 입증하기 위해 실제 운용되고 있는 신호교차로의 영상을 실시간 온라인으로 입력받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결과를 기존의 다른 기술의 성능과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중년기 성인의 뇌졸중 관련 건강지식, 낙관적 편견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troke on the Health Knowledge, Optimistic Bia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Adults)

  • 정영주;박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41-155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뇌졸중 관련 건강지식, 낙관적 편견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5년 7월 15일부터 8월 15일이며, 연구대상자는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성인 191명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산분석, 상관성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중년기 성인은 뇌졸중 위험요인으로 흡연과 고혈압을 당뇨병보다 높게 인식하였으며, 뇌졸중에 대한 낙관적 편견은 미미하였다. 뇌졸중 관련 건강지식은 낙관적 편견(r=-.143, p=.048), 건강증진 생활양식(r=.268, 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낙관적 편견은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대인관계 및 스트레스 행위(r=.177, p=.014)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뇌졸중 관련 건강지식이 낙관적 편견보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중년기 성인의 뇌졸중에 관한 능동적인 정보획득과 건강 지식, 낙관적 편견이 뇌졸중 관련 건강증진 생황양식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중년기 성인의 뇌졸중 관련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는 뇌졸중 관련 건강지식을 높이고, 낙관적 편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기록관 설립의 필요조건: '미성숙한' 기록관리 방법의 시험 운용 방안 (A Necessary Conditions of Building University Archives: For the Tentative Application of an Immature Archival Method and Program prior to Building Archives)

  • 이종흡
    • 기록학연구
    • /
    • 제3호
    • /
    • pp.33-64
    • /
    • 2001
  • This essay introduces the basic method and program required to meet some necessary conditions of building university archives. By the phrase 'method and program', I intend the effective means of regularly but circumstantially controling the ways to the archival purposes proper which can be defined as the keeping of evidences and the broadening of information pool in terms of the evidential and informational natures or values of records. My starting point is about the matters of overcoming a standard method of induction which has long prescribed much passive procedures in the archival work.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practices between West and Korea, I tentatively try to add some active elements to the archival work among which the collection for the expanding evidences and informations may firstly emphasized. While this collecting activity normally depends on the existing 'collections' and 'manuscripts', I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collections the materials, being likely to be registered in any poor or insufficient record groups. In the similar context, this kind of activity may and must be expanded beyond the university boundaries so at to arrange the cornerstones of archive-based local studies in the various disciplines. Here I premise another role of university archives, the role as 'science archives'. These archives within university archives seem likely to function in likewise the special collections within Western university libraries. What I mean here, however, is the archival groups purposedly gathered or acquisited according to more detail and narrower plan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demands from the different disciplines for the primary sources. The archival procedures from this revised method and program may, I hope, satisfy some of the preconditions of building university archives before the archives will actually function as a sub-institution of an university preserving leg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evidences, thus keeping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university on the one hand, and as a local information center of supplying the archival contents on effectual demand from the field of local studies on the other. Finally, I conclude with a suggestion concerning the cooperation of all the parties of archival works. Proposing the 'Regional Research Center Program' in the field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as a model for the cooperation, I suggest that universities, private/public organizations, an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ay work together for surveying the scattered ancient and modern documents as well as for building archives under the matching f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