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motivation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학습 동기, 과학 학업성취도,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Writing Science Diary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 Focused on the Unit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

  • 이승화;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387-39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riting science diary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eaching unit was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in 6th grade science text book. The subjects of study were 51 students of two classes. One class of 25 students, experimental group, wrote science diaries as homework. While the other class of 26 students, comparative group, performed homeworks with fill-in-the-blank workshe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riting science diary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cond, writing science diary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ird, writing science diary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And we could find that students had a favorable impression and high satisfaction level about writing science diary from the questionnaire.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성격, 부정적 정서, 동기특성, 진로 성숙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Negative Emotion, Motivation, Career Maturity on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정훈;이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279-295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성격, 부정적 정서, 동기특성, 진로 성숙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수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에 있는 Y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전원인 179명을 편의 표집하였으며, 이들의 심리적 변인에 관한 자료를 2차 자료의 형태로 수집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된 가설적 구조 방정식 모형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1단계에서 측정모형을 추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뒤, 2단계에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고 평가하는 2단계 접근법으로 검증되었다. 최종 구조 방정식 모형의 측정모형 분석을 통해 개념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최종 구조 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성격→학습 동기', '성격→진로 성숙도', '부정적 정서→부정적 동기', '부정적 정서→학습 동기', '부정적 동기→수학 학업성취도'라는 다섯 가지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부정적 정서→부정적 동기→수학 학업성취도' 경로를 통해 수학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부정적 정서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부정적 동기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cultural Family)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04-4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6년 동안의 성취동기 변화패턴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찾고, 확인된 잠재집단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및 잠재집단을 결정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2011년)부터 6차년도(2016년)까지 6개 년도의 자녀와 어머니의 1,254쌍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 일원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성장분석 결과 성취동기의 종단적 변화양상은 '최상수준 변동형 집단', '중수준 변동형 집단', '저수준 무변화형 집단', '최저수준 무변화형 집단'의 네 가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에 따라 6개 시점 모두에서 모든 잠재집단 간 동일한 패턴의 학업성취 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잠재집단 순으로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부모 변인 중 부모효능감, 자녀 변인 중 자아존중감, 교사 변인인 교사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특성이 학업성취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성취동기 향상을 위해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자녀, 교사 변인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변인들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기대 및 정서적 지지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Correlates of Adolescent Achievement Motivation :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Expectations and Emotional Support, and Adolescent Self-Esteem)

  • 이운경;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3-59
    • /
    • 2005
  • A sample of 578 adolescents responded to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education levels and occupation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ternal expectations. Adolescent perceptions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were related to maternal emotional support and adolescent self-esteem. Adolescent achievement motiv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arental education levels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expectations/emotional support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were positively related to adolescent achievement motivation. Maternal expectation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educational levels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adolescent achievement motives. Maternal emotional support and adolescent self-esteem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adolescent perceptions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achievement motives.

  • PDF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 문은조;오지원;김용석;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1-168
    • /
    • 2023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C도 소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전공선택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전공선택 개인적동기(r=.417, p=.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선택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은 전공선택 개인적 동기, 경제활동, 전공계열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이었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지며 전공선택시 개인적동기가 중요한 만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이나 미래 직장체험등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여 전공선택시 개인적 동기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동기,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3학년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cienc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on th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tudent - Focused on 'Stratum and Fossil' Unit in 3rd Grade -)

  • 김진현;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31-42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tudent.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98, 4 classes of $3^{rd}$ graders in G elementary school in B city. The experimental group, 2 classes including 49 participants, had science classe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while the comparative group, 2 classes including 49 participants, took ordinary teacher-driven lessons using teacher's guidebook.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executing lessons to assess the changing in each group'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Second, the post test results of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average valu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Third,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average valu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especially in inference and prediction elements.

아동의 개인 및 가족 변인과 교실의 심리사회적 환경이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Individual and Family Variables and Classroom Environment that Affect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y)

  • 이경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7-22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individual, family factors and classroom environment that affect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y. For an analysis,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and anxiety were included in individual variables. For family factors, parental support and marital conflict were examined. For classroom psycho-social environment,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 classroom involvement and teacher control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565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boy'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y was higher than girl's. And no sex difference was in children's social and athletic competency. Second,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y and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 and classroom involvement. And girl'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parental support and peer relations. But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y and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parental marital conflict. Thir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y was achievement motivati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perceived social competency was peer relations.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was pe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girl'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was father's support.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Class with Game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 유은주;소금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2호
    • /
    • pp.103-1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3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집단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수업으로 과학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용 지도서에 따르는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은 8주로 11차시에 걸쳐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은 과학 학습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게임을 활용한 초등과학수업은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수업에서 소외되던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학습동기를 가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도덕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growth Program on Moral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55-16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도덕성과 성취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성장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도덕성 하위 영역가운데 타인에 대한 관심(이타성), 사회적 헌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인에 대한 관심,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성취동기 하위 영역 가운데 미래지향성, 자신감, 책임감, 도전의식, 과업지향성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험감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도덕성과 성취동기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도덕성 및 성취동기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에 있어서 원예활동이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정연옥;이정화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9-16
    • /
    • 2011
  • 이 연구는 농촌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C 초등학교 4학년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1회(3시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성취동기가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