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19.38.3.387

The Effects of Writing Science Diary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 Focused on the Unit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  

Lee, Seung-hwa (Busan Songun Elementary School)
Lee, Hyeong-cheol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38, no.3, 2019 , pp. 387-39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riting science diary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eaching unit was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in 6th grade science text book. The subjects of study were 51 students of two classes. One class of 25 students, experimental group, wrote science diaries as homework. While the other class of 26 students, comparative group, performed homeworks with fill-in-the-blank workshe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riting science diary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cond, writing science diary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ird, writing science diary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And we could find that students had a favorable impression and high satisfaction level about writing science diary from the questionnaire.
Keywords
writing science diary;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ecological sensitiv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연경(2012).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화석에 대한 개념 형성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민숙(2007). 과학 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 교육학회지, 2(1), 1-12.
3 구자옥, 김성숙, 이혜원, 조성민, 박혜영(2017).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5 결과 심층 분석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순식, 이용섭(2017). '계절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78-289.   DOI
5 김명선(2015). 숲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상인(2019). 수학일기 쓰기 활동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수진, 박지현, 김현정, 진의남, 이명진, 김지영, 안윤경, 서지희(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 : TIMSS 2011 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김지홍(2018).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생태 미술교육 지도 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10 박애랑(2010). 과학일기가 초등학생의 과학관련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희진, 권난주(2008). 초등학생의 과학일기 유형 분석 및 일기 쓰기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19-526.
12 변영호(2008).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학교 내 자연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교육부(2019). 과학 6-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비상교육.
14 상경아, 곽영순, 박지현, 박상욱(2016).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 : TIMSS 2015 결과 분석.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서지원(2011). 탐구력을 키워주는 즐깨감 과학일기. 서울: (주)창의와탐구.
16 신정인, 신예진, 윤회정, 우애자(2013).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511-521.   DOI
17 오현숙(2011). 과학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용섭, 김윤경(2015).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과학 개념 및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99-408.   DOI
19 이미류, 소금현(2018). 짝과 함께 쓰는 자연관찰일기가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6(1).
20 이승연(2012). 과학일기 쓰기가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용섭, 박미진(2010). 과학 일기쓰기가 과학 관련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3), 219-227.
22 정다솜(2018). 도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 및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정혜진(2015). 과학일기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글쓰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조은용(2013). '화산과 지진'단원에서 과학일기 쓰기가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천재훈, 손정우, 권은실(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 글쓰기 활동. 2006년도 국제세미나 및 제 49차 동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6 한귀화(2016). 스토리텔링 모형을 적용한 화학 수업이 문과계열 고등학생의 과학학습 동기, 태도 및 화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효과. 청람과학교육논총, 22(1), 43-55.
27 Anderman, E. M. & Young, A. (1993). A multilevel model of adolescents'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academic domains [microform]. Michi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