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evaluation

검색결과 815건 처리시간 0.033초

수학 인지적 속성에 따른 TIMSS 2011 8학년 성취도 상위국 특성 비교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 Achievement of TIMSS 2011 G8 High-Performing Countries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Cognitive Attributes)

  • 박지현;김수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303-321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인지적 성취 특성을 국제수준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TIMSS 2011 평가틀과 평가문항을 바탕으로 인지적 속성을 추출하고, TIMSS 2011 8학년(중2) 수학 성취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수학 성취도 상위 15개국의 인지적 성취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TIMSS 2011의 인지영역은 9가지 인지적 속성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인지적 속성에 따라 국가별로 상대적으로 쉽거나 어렵게 생각하는 경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학생들은 다른 성취도 상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상/인식하기, 계산하기, 분류/측정하기, 표현하기를 쉽게 생각하고, 해석하기, 실행하기, 일반화하기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각각의 속성에 따라 교육적 처방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과정중심 평가를 위한 디버깅 과제 및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Debugging Tasks and Tool for Process-centered Assessment on Software Education)

  • 류기곤;김수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61-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SW) 교육에서 과정중심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디버깅 과제를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사이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SW교육과정 중 프로그래밍 영역의 성취기준을 살펴보면 반복, 조건과 같은 제어구조를 구현하는 것과 변수, 입출력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과정중심 평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수업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고, 성취수준과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버깅 과제로 초등학교용 12과제, 중학교용 15과제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델파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디버깅 과제의 수준과 내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버깅 챌린지 사이트의 사용성을 휴리스틱 평가법으로 검증한 결과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개념의 위계적 분석 및 그 적용을 통한 교수 효과와 과학교육과정 계열성의 타당화 평가 연구 (A Study of the Validating Evaluation of Science Curriculum Sequence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Application and Hierarchical Analysis of Science Conceptions)

  • 정진우;조선형;임청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hierarchy structure of science concep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ive teaching order by comparing the teaching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hierarchy order with those of teaching order of the current text in order to inquire validating evaluation framework of science curriculum sequence. Key concepts were selected by tasks analysis in the seven uni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Concept formation te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each concepts achievement,. The test items were made according to each of the concepts based on 12 prototype tasks developed by Frayer(1969). To identify the students' psychological hierarchy the test items were administr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Ordering theory was used to identify the students' psychological hierarch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as an experimental design. Teaching with psychological hierarchy order was applied tp experimental group and teaching with concept order described in the current text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students' psychological hierarchy structures are different from logical hierarchy structures. 2. The science teachers' psychological hierarchy structures are different from not only logical hierarchy structures but also students' psychological hierarchy structures. 3. The mea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pplied psychological hierarchy order is significantly higher(p<.05)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oncept achievement.

  • PDF

제3차 수학 ·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중 제6차 교육과정상의 화학 문항에 대한 우리 나라 중학생의 응답 분석 (The Analysis of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Chemistry Problems Under the 6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 (TIMSS-R))

  • 홍미영;전경문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9-17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1999년에 국제적으로 실시된 제3차 수학${\cdot}$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중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화학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총 143개 문항 가운데 ''물질의 분류'', ''물질의 구조'', ''화학 반응과 변환'', ''물리적 성질과 변화'', ''열과 온도'', ''원자의 구성 입자'', ''오염'', ''과학적 방법'', ''과학적 측정'' 영역에 속하는 31문항을 우리 나라 제 6차 교육과정상의 화학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정답률을 분석하여, 제6차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만족도와 교육요구도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 김진현;김성재;방경숙;고진강;이남주;유주연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27-13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34 senior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clinical practicums.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consisted of three parts: 1) academic achievement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2)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3) demands on th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um. Results: The mean scores on the achievement level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of the students were $3.68{\pm}0.53$, $3.69{\pm}0.59$, and $3.77{\pm}0.56$, respectively. The low rated domains were 'understanding and delivering culturally competent nursing' and 'competence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their levels of achievements. Overal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eir satisfaction scores for the hours and arrangements of the clinical practicum, and the ratios and arrangements of lectures and clinical practicum were relatively low.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to redesign nursing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graduates for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s. We need to try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ies of students by designing a curriculum based on social change and student needs.

  • PDF

발생주의·복식부기 정부회계 상의 감가상각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reciation System under the Accrual Basis Accounts and Bookkeeping by Double Entry)

  • 최락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79-1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복식주의 발생주의 회계에 있어서 정부자산의 회계처리 상 감가상각을 통해 비용화할 것인지에 대한 감가상각제도의 전반적인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자산과 비용 처리를 위한 감가상각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부회계에서는 2011년부터 정부자산을 인식하고 정부자산회계가 적용되어 완전한 발생주의회계로 전환되어 감가상각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발생주의 정부회계 하에서 행정비용의 절감과 자산 및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감가상각제도의 간편화가 이루어진다면 정부의 재무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정부회계의 성과평가 및 정보 제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피부미용사의 직무환경 및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 and Job Esteem on Job Satisfaction in Skin Beauticians)

  • 이정윤;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73-58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직무환경 및 직업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서울 및 경기지역 피부미용실에 재직중인 20~50대 성인 여성 470여명을 대상으로 피부미용사의 특성 및 직무환경, 직업존중감,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첫째, 피부미용사들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직업적 긍지 만족도, 소속감 및 기여도, 임금 및 복지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피부관리샵의 휴게시설이나 휴식공간을 적절히 보장하고, 안전 및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등 근무조건을 개선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별로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높아지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피부관리사의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 대우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근무조건, 조직환경, 직업안정성과 직업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에 각각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 하위요인들의 전반적인 개선과 더불어 직업존중감의 현재가치에 해당하는 사회적평가, 자기(내재적)평가, 자아성취지향은 물론 미래가치 역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통해 피부미용실 경영자들이 피부미용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인력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피부미용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Learner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69-594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취지하에, 좋은 수업, 교사 지식,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을 통해 지난 십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교사 지식의 핵심 요소로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 상황' 등의 지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두고 이에 관한 수학 수업에서의 평가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관한 의미를 재 탐색하고, 또한 학습자 이해와 관련된 몇몇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인지 수준, 학습자 오 개념, 학습 동기, 수학적 태도, 학습 방법 등의 5개 영역에 따른 수업평가 요소(안)를 마련하였다.

  • PDF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41-263
    • /
    • 2011
  • 학교 교육의 내실화 및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국가 수준의 차원에서 좋은 수업 선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수업평가 시행을 위한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그리고 교사 지식에 관한 특징 규명 및 이를 통한 수업 컨설팅에 관한 연구 등이 교과별로 꾸준히 시행되어 왔다. 이의 궁극적 목적은 교사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문의 계발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자 함이다. 이의 실천적 방안의 하나로, 교사 자신 및 동료 교사의 수업평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에 관한 평가기준 개발 및 관련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교사 지식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지식에 초점을 두어 이 에 적합한 수업평가의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외국의 건강증진학교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Health Promoting School)

  • 김미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9-18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iveness in foreign Health Promoting School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To perform a systematic literature survey, the researcher searched two database (PubMed and Springer Link) for literature relevant to 'health promoting schools' (published up to April 2013 from 2004). The key 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health promoting school". five evaluations in this review were selected in the peer reviewed. Results: 1. The areas of standardized assessments were dealing with school health policy, physical environment, psycho social environment, community participation, Literacy on health, personal hygienic skills, academic achievement, self reported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2. There was evidence that the health promoting school has some positive influence on various domains of assessment. Conclusion: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s evidence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