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grade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25초

Learning motivation of groups classified based on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y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or South Korean students

  • Yongseok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9-150
    • /
    • 2024
  • This study utilized South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data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learning motivation types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Growth mixture modeling, latent growth model, and multiple indicator latent growth model were used to examine various change trajectories for longitudinal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4 subgroups with similar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s subject, which emphasize systematicity, appeared. Furthermore, higher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lf-determination and higher academic motivation. And as the grade level increases, amotivation increases and self-determination decrea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using this is necessary because the level of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self-determin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Academic Library Usage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종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다양한 도서관 이용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는 S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이용과 학생들의 평점평균(GPA) 정보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차이검증은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규명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른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이용요인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학술정보 자료와 학습시설을 많이 이용하는 학생이 더 높은 등급의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업성취동기변인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 전경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권1호
    • /
    • pp.69-76
    • /
    • 1985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Here, the internal motiv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refers to the case that a student feels the necessity of study and h satisfaction, expects rewards, or has interest in his study; external motiv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means that a student has outward motivation such as other's recognition, rewards, or compuls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proportion as the level of internal and external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P<.001). the students with the higher internal motivation and the lower external motivation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ith the lower internal motivation and the higher external motivation showed the least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11.60 points-difference on the average between those two groups in terms of grad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nternal motivation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r=.25, P<.001) whil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xternal motivation presents negative tendency (r=-.10). Through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e estim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by the two variables to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was 6.22%(P=.0001)

  • PDF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종단 분석 (A Pane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 구인회;박현선;정익중;김광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57-79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에 이르는 3개년에 걸쳐 종단적으로 관찰된 빈곤경험이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동의 빈곤경험을 지속빈곤, 일시빈곤, 비빈곤으로 나눠 발달산물을 비교한 결과, 학업성취에서 빈곤아동과 비빈곤아동 사이의 격차가 두드러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빈곤경험과 발달궤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에서는 비빈곤아동은 시간이 갈수록 성취수준이 향상되는 긍정적 변화방향을 보이나 빈곤아동은 성취수준이 낮아지는 부정적인 변화방향을 보였다. 또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비행의 발달궤적 변화에서는 빈곤아동은 비빈곤아동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아동의 개인적, 가족적 특성을 통제한 결과 빈곤의 영향은 학업성취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PDF

Intuitive Knowledge of Percentages Prior to Learning

  • Rosenthal, Iris;Ilany, Bat-Sheva;Almog, Nav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297-307
    • /
    • 2009
  • This research examined intuitive knowledge of 6th grade students in Israel prior to the formal learning of percentages in school. In other words. the research investigated knowledge of basic concepts and familiarity with the usage of percentages in daily life. Results have shown that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percentages and thai some students are able to handle simple problems composed of common percentages (50% and 25%).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many students had misconception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ile the subject has been taught.

  • PDF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 추정 및 예측요인 탐색 (Estimating the Longitudinal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Piecewise Growth Modeling)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70-3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교급 전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개인, 친구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2011년, 초4)부터 6차년도(2016년, 중3)까지의 6년 동안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6학년 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초등학교 시기(초4-초6), 중학교 시기(초6-중3)로 변화율을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무변화, 선형변화, 이차변화 성장모형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 모두 감소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학교 시기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학업성취 초기치(초4)는 부모효능감, 자아존중감, 친구의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방임적 양육태도,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 1(초등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과 친구의 지지가 학업성취의 감소 패턴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 2(중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중학교 시기의 학업성취 감소 패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ime on the Effect of Academic Burnout on Self-esteem)

  • 권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57-16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중학생 1,045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학습시간, 자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응답을 통해 3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학업소진, 학습시간, 자존감의 집단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소진과 학습시간은 집단별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존감은 성별,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소진과 학습시간은 자존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학습시간과 자존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소진이 중학생의 자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 아니라, 학습시간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넷째,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매개변인인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여학생의 경우는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유의미한 통계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여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중학교 1,2학년은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나, 중학교 3학년의 경우 학업시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설문을 통해 급격한 성장기인 중학생 시기에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른 접근 뿐 아니라 학년별로도 학업소진이 학습시간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한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초기 청소년의 학년에 따른 개인적 변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간의 인과적 관련성 (The Causal Relationship of Early Adolescents' Person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ccording to Grade)

  • 김경연;김나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483-49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of early adolescents' person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self-esteem by grade. Information on 226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and 226 1st year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in Busan was collected.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using their self-reports. For the data analysis, Cronbach's ${\alpha}$, t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ver. 21.0 program for Windo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Second, peers' social support was the most powerful determinant of self-esteem in both the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and the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prosocial behavior had the greatest total effect on self-esteem in the case of both groups of students. The middle schoolers' academic achievement had no causal effect on their self-estee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early adolescents' person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elements that affect their self-esteem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grade.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develop a teaching plan and provide counseling for early adolescent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학습차원을 강조한 초등 과학 수업이 과학태도, 학업성취도 및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 5 학년 2학기 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learning dimensions Oriented Elementary Science Lecture on Scientific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and Logical Thinking-based on 'Earth' section in the 2nd semester of the 5th grade)

  • 최정미;김찬기;김상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35
    • /
    • 2010
  • This study is aiming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arning dimensions oriented elementary science lecture on scientific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and logical thinking based on 'Earth' section in the 2nd semester of the 5th grade. Analyzing sub-categories of dimension in each lecture before teaching, a teaching and a learning plans based on dimension 3 and 4 were devised and appli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when sub-categories of Earth section in the 2nd semester of the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were examined, the unit '5-2-4. Volcanoes and Rocks' was missing 8 of total 28 sub-units, while '5-2-7. Solar families' unit was covering all sub-units of every learning dimension. Secondly, learning dimensions 3 and 4 centered elementary school teaching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tific attitude. Especially, among other sub-categories of scientific attitudes, 'Social meaning of Science', 'Attitude toward Science lessons' were better improved. Thirdly, learning dimensions 3 and 4 based elementary school lectures didn't bring significant difference to academic achievement. Fourthly, learning dimensions 3 and 4 oriented elementary lessons didn't imp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logics of logical thinking, however proved to be helpful for students of transitional age.

  • PDF

Y-대학교 치위생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과 국가시험 성적의 상관성 (A Six-Year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in Dental Hygiene School and Performance on the Korean Dental Hygiene Licensing Examination at Yonsei University)

  • 문소정;노희진;전현선;허지은;정원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32-341
    • /
    • 2014
  • 이 연구는 본 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본 학과의 6개 연도 졸업생 185명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성별과 졸업 연령 등에 따라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에 차이가 있는지 평가하며, 학교 성적의 여러 세부항목 가운데 국시성적을 가장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학과 졸업생의 학년 평점 및 종합시험 점수는 국시 필기 점수와, 1~3학년의 학년 평점 및 종합시험 점수는 국시총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2학년의 학년 평점이 국시 필기 점수와, 2차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총 점수와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 졸업 총평점이 높거나, 여학생이거나, 졸업 연령이 낮은 졸업생이 국시 필기 점수가 의미 있게 높았으나 국시 실기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차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총점수와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바, 4학년 2학기에 최종적으로 시행하는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성적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주된 요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4년 전체의 졸업 평점이 우수하더라도 국시실기 점수에는 그 영향이 없었으며, 국시 실기와 직접 관련이 있는 4학년의 학년 평점은 오히려 국시 실기 점수와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국시 실기 점수와 이에 해당하는 학교 교과목 평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학교 성적으로 국시 필기 점수는 신뢰성있게 예측할 수 있으나 국시 필기 점수는 그렇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일개 학교의 사례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 국시가 상치되지 않아야 한다면 치위생학 교육과 치과위생사 국시의 연계성에 관련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