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lif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Relationship between R&E Activities and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Dong-Seon S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34-42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 activiti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In addi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R&E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stud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between subjects. There was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 activity area, and the experience of R&E activity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related subjects. Depending on the area of R&E activity, mathematical and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be two factors: mathematical logic and natural understanding. Natural understanding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physics, and life sciences, and mathematical logic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chemistry and earth science subjects. In particular, mathematical logic ability was concentrated in excellent physics class students, and natural understanding ability was concentrated in excellent life science class student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 & E activity area greatly influ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nd science, it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the R & E activity area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을 적용한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 간 종단관계연구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Using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ing)

  • 이경은;이주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6호
    • /
    • pp.135-141
    • /
    • 2008
  • This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using data from a 4-year investigation(2003-2006).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for a sample of adolescents (male 187, female 201) in KYPS (Korea Youth Panel Survey). Cross-lagged autoregressive analyses indicated that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these two variables were reciprocally interrelated in middle school. However, thereafter,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self-esteem influenced high school 1st grad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ile high school 1st grad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fluenced high school 2nd grade students' self-esteem.

고등학생의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The Effect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nd School Life)

  • 이경민;이승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1-1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nd school life. Three hundred seventy-six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The SPSS ver. 19.0 program was adopted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time management behavio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t school,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 relatively high.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revealed that th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academic achievement. As the levels of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was high. Finally,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findings, that is,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other involved variabl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nd school life, a future study can present specific ways to enha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nd school life.

청소년의 가정환경 및 학교 생활적응이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ome Environ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on the Adolescents' Clothing Attitude)

  • 이명희
    • 복식
    • /
    • 제46권
    • /
    • pp.143-15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me environment school life adjustment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adolescents' clothing attitudes The subjects were 682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boys. 342, girls:340) in Seoul Korea. Modesty of boys was influenced by parent's education(-) academic record achievement tendency of home and allowance(-) $(R^2$=8.6%) and girls influenced by affection of home(-) allowance(-) age and academic record$(R^2$=11.2%). Clothing satisfaction of boys was influenced by parents' education self-control tendency of home and school life adjustment$(R^2$=19.4%). girls influenced by allowance affection of home parents' education school life adustment and self-control of home$(R^2$=20.3%) Age was most important in predicting the wearing of regulative clothes of boys. followed by allowance and academic record(-)$(R^2$=26.7%) allowance was most important in girls followed by academic record(-), and achievement tendency of home $(R^2$=19.0%). The present findings mean that the more allowance adolescents received and the lower the academic record the lower the modesty and the their the wearing of regrlative clothes.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d home environment such as achievement affection and self-control tendency were meaningful variables That affect clothing attitude of adolescent.

  • PDF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업 및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on Life Competencies)

  • 이현주;정수경;김명자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2-7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in university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ree main competencies on their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health care related major at a four-year university in D-cit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ome of their data were intentionally excluded as their answers were incomplete or missing and finally 272 surveys were analyz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y have high level of general life competencies of which the subcategories are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GPA and TOEIC score which are the indicators of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hree competencie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s assumed to be main cause variable of these achievement. Conclusion: As those students who have higher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also show high level of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t is argued that a new curriculum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e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PDF

입학전형요소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2011학년도 A대학교 사례-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 university case in 2011-)

  • 최현석;하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343-351
    • /
    • 2012
  • 본 연구는 2011학년도 A대학교 입학생 중 일반전형으로 입학하여 현재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전형요인을 찾아 대학의 특성에 맞는 학생 선발 정보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입시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결과 성별, 모집시기별로 입학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다른 방식의 영향을 주는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학업성취도가 더 높고, 수시모집 학생들에 비해 정시모집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 분석에서 남학생은 수능성적, 여학생은 학생부성적이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집시기별 분석에서는 정시(나)는 학생부성적, 정시(다)는 수능성적이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내·외적요인의 관계 및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용석;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325-354
    • /
    • 2020
  •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그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 또한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3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2017년(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내적요인(자아개념, 자기통제,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평가), 외적요인(학교풍토, 자녀에 대한 보호자의 관심, 보호자의 학습조력)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내·외적요인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수학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수학 학업성취도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2학년 때는 소폭 하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요인인 자아개념과 자기통제는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는 소폭 떨어지다가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소폭 증가하고 고등학교 2학년에는 소폭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평가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기간 동안 소폭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요인 중 학교풍토는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는 소폭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2학년에는 그 값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보호자의 관심은 중학교 1학년 때의 값이 고등학교 2학년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자의 학습조력은 중학교 1학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임의 기울기 모델(Random Slope Model)을 시행한 결과 내적요인인 자아개념 및 자기통제, 그리고 외적요인인 학교풍토가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가족식사가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family meals on eating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 Based on the students of middle school at Goyangsi, Gyeonggido -)

  • 신우경;강소영;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9-1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족식사가 청소년들의 식생활태도와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가족식사를 빈도, 규칙, 인식의 각 요인으로 나누어 청소년의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항목은 일반적인 가족식사 패턴과, 가족식사는 빈도, 규칙, 인식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을 조사하였다. 식생활태도는 중학생의 식생활 특성을 반영하여 영양, 배려, 예절, 행복감의 세부항목으로 총 19개의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도에 관한 설문은 각 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 4항목, 정신적 건강 관련 삶의 질 10항목, 그리고 경제적 만족도와 관련한 삶의 질 3항목의 총 17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형태에 따라 가족식사 규칙(p<0.05)과 인식(p<0.05)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이는 반면, 맞벌이여부에 따라서는 가족식사 빈도(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족식사 요인에 따른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빈도와 인식에 따라 식생활태도(빈도 p<0.001; 인식 p<0.001),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인식 p<0.05), 삶의 질(빈도 p<0.001; 인식 p<0.001)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규칙의 경우 학업성취도를 제외한 식생활태도(p<0.001)와 삶의 질(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가족식사 요인과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 간 관계는 모두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가족식사 요인이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식사 빈도와 식생활 태도가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5 및 삶의 질(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01)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식사 요인 중 빈도가 학업성취도(${\beta}=0.298$ p<0.001)와 삶의 질(${\beta}=0.298$ p<0.001)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식사의 중요성을 중학생들과 학부모, 교사에게 교육하고 가정과 학교에서 올바른 지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Resilienc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황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25-433
    • /
    • 2022
  • 본 연구목적은 여고생 177명의 상태불안, 우울 및 회복탄력성 정도와 그 변수들 사이의 관계,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대상자의 상태불안은 평균 39.56±11.37점으로, 학교성적, 학교생활 만족 정도, 부모님의 양육태도 및 가정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7.53±8.52점으로,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 정도, 부모님의 양육태도 및 가정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평균 98.36±17.76점으로, 학교성적과 부모님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상태불안, 우울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태불안은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태불안, 학교성적이 상인 경우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여고생의 정서적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회복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