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ac(6')-Ib-c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2초

Identification of strain harboring both aac(6')-Ib and aac(6')-Ib-cr variant simultaneously in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 Kim, Yun-Tae;Jang, Ji-Hyun;Kim, Hyun-Chul;Kim, Hyo-Gyeong;Lee, Kyoung-Ryul;Park, Kyung-Sun;Lee, Hee-Joo;Kim, Young-Jin
    • BMB Reports
    • /
    • 제44권4호
    • /
    • pp.262-266
    • /
    • 2011
  • The aac(6')-Ib gene is the most prevalent gene that encodes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and confers resistance to tobramycin, kanamycin, and amikacin. The aac(6')-Ib-cr variant gene can induce resistance against aminoglycoside and fluoroquinolone simultaneously. Two main methods, sequence analysis and the restriction enzyme method, can detect the aac(6')-Ib-cr variant in clinical strains. We collected the 85 strains that were believed to be aac(6')-Ib positive from clinical isolates. Among them, 38 strains were the wild-type; the remaining 47 strains were the aac(6')-Ib-cr variant. Of these 47 strains, 19 simultaneously harbored aac(6')-Ib and aac(6')-Ib-cr. Our study aims to repo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 strains that simultaneously harbored both genes. This study is the first investigation published in Korea of strains that included both aac(6')-Ib and aac(6')-Ib-cr variant.

환축에서 분리된 Escherichia coli의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genes 분포도 조사 (Prevalence of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Diseased Animals in Korea)

  • 신동호;김하영;변재원;김대근;임숙경;정병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64-967
    • /
    • 2010
  • 본 연구는 동물유래 E. coli에서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PMQR) 유전자의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55주의 E. coli를 대상으로 PCR을 수행한 결과, PMQR 양성균은 11주이었으며 그 중 2주는 두 개의 PMQR 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PMQR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qnrS, aac(6')-Ib-cr, qepA로 확인되었고 qnrS (1.8%)와 aac(6')-Ib-cr (7.3%) 보다는 qepA (14.5%)가 높은 분포도를 나타내었으며, qnrA와 qnrB는 검출되지 않았다. 11주의 PMQR 양성균의 MIC를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PMQR 양성균이 검사한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지만 일부에서 감수성 균주도 확인되었다. 또한, aac(6')-Ib-cr 유전자는 단독으로 존재할 때 보다 qnrS 또는 qepA와 함께 존재할 때 내성이 더욱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내성유전자 전달능 실험에서 11주 모두 PMQR 유전자를 전달하였으며, PMQR 유전자를 전달받은 수용체에서 공여체와 동일한 내성 phenotype 및 PMQR 유전자를 확인 할 수 있었다.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Determinants qnr and aac(6')-Ib-cr in Ciprofloxacin-Resistant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Commercial Layer in Korea

  • Seo, Kwang Won;Lee, Young J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180-1183
    • /
    • 2020
  •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PMQR) determinants in ciprofloxacin-resistant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a Korean commercial layer farm were studied. A total of 45 ciprofloxacin-resistant E. coli isolates were recovered and all isolates were multidrug-resistant. Eight isolates have the PMQR genes aac(6')-Ib-cr, qnrS1, and qnrB4, and seven isolates exhibited double amino acid exchange at both gyrA and parC, and have high fluoroquinolon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Five transconjugants demonstrated transferability of PMQR and β-lactamase genes and similar antimicrobial resistance. Because PMQR genes in isolates from commercial layer chickens could enter the food supply and directly affect humans, control of ciprofloxacin resistance is needed.

Ciprofloxacin 내성 대장균에서 Sequence Type과 Fluoroquinolone 내성의 분석 (Analysis of Sequence Type and Fluoroquinolone Resistance in Ciprofloxacin-Resistant Escherichia coli)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7-224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fluoroquinolone (FQ) 내성 그람음성균이 출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에서 FQ 내성 E. coli의 증가 추세는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iprofloxacin 내성 E. coli 56균주를 대상으로, 역학관계와 FQ 내성 결정인자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역학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을 실시하였다. PCR과 염기서열 분석은 gyrA, gyrB, parC, parE 유전자의 QRDR에서 염색체상의 돌연변이와 aac(6)-Ib-cr, qepA, qnrA, qnrB, qnrC, qnrD 및 qnrS와 같은 PMQR 유전자의 빈도를 확인하였다. MLST 분석 결과, 12개의 ST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가장 우세한 ST는 ST131 (31/56, 55.4%)이었고, 순차적으로 ST1193 (13/56, 23.2%), ST405 (3/56, 5.4%)의 결과를 보였다. ciprofloxacin 내성 E. coli 56균주 중 gyrA 유전자에서 83번째 아미노산인 serine (S)이 leucine (L)으로, 87번째 아미노산인 aspartic acid (D)가 asparagine (N)으로 치환되고, parC 유전자에서 80번째 아미노산인 serine (S)이 isoleucine (I)으로, 84번째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 (E)가 valine (V)으로 치환된 결과(29/56, 51.8%)가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었고, aac(6)-Ib-cr (19/56, 33.9%)은 가장 흔한 PMQR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FQ 내성 결정인자의 결과는 다른 클론과 비교하여 ST131에서 더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ciprofloxacin 내성 E. coli 균주에 대한 역학적 특성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FQ 내성 결정인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청지역에 위치한 일개의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CTX-M-14형 ESBL 생성 대장균을 대상으로 PMQR 유전자 빈도조사 (The Prevalence of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Genes among CTX-M-14 Producing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the Chungcheong Province)

  • 성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0-216
    • /
    • 2016
  • 최근 들어 CTX-M형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ESBL) 생성 대장균이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에 위치한 일개의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대장균을 대상으로 ESBL 유전자를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같은 방법으로 ESBL 생성 대장균으로부터 plasmid 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PMQR) 유전자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16.0%에 해당하는 25균주가 CTX-M-14를 생성하였으며 이중 9균주는 CTX-M-15도 동시에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결과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대장균은 모두 cefotaxime에 내성을 보였다. 한편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대장균의 48% (12균주)가 PMQR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8균주가 qnrS1유전자를 그리고 8균주가 aac(6')-Ib-cr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었다. 그 중 4균주는 두 개의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미드를 통해 확산될 수 있는 ESBL 및 PMQR 유전자가 대장균 사이에 확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균제 내성유전자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내성유전자의 모니터링과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from bulk tank milk in Korea

  • Yoon, Sunghyun;Lee, Young J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9.1-9.11
    • /
    • 2022
  • Background: Escherichia coli, which causes subclinical or clinical mastitis in cattle,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timicrobial resistance via human consumption of raw milk or raw milk products.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183 E. coli from bulk tank milk of five different dairy factories in Korea. Methods: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 coli such as serogroup, virulence,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ntegron genes were detect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were tested using the disk diffusion test. Results: In the distribution of phylogenetic groups, group D was the most prevalent (59.6%) and followed by group B1 (25.1%). The most predominant serogroup was O173 (15.3%), and a total of 46 different serotypes were detected. The virulence gene found most often was fimH (73.2%), and stx1, fimH, incC, fyuA, and iutA gen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solates of phylogenetic group B1 compared to phylogenetic groups A, B2, and D (p < 0.05). Among 64 E. coli isolates that showed resistance to at least one antimicrobial, the highest resistance rate was observed for tetracyclines (37.5%). All 18 integron-positive E. coli carried the integron class I (int1) gene, and three different gene cassette arrangements, dfrA12+aadA2 (2 isolates), aac(6')-Ib3+aac(6')-Ib-cr+aadA4 (2 isolates), and dfrA17+aadA5 (1 isolate) were detected.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 coli from bulk tank milk can be an indicator for disse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virulence factors via cross-contamination.

경북지역의 닭으로부터 CTX-M-14 생성 장내세균 분리동정 (CTX-M-14 Producing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Chickens at Gyeongsang Provinces)

  • 성지연;권택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8-123
    • /
    • 2016
  • 지난 반세기 동안 세균 감염증 치료 또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가금류에게 광범위하게 항균제를 사용해 왔다. 그러나 항균제 내성의 증가는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들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여 치료를 위한 항균제 선택에 제약을 주어 치료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 지역에서 사육된 닭으로부터 분리된 장내세균을 대상으로 ${\beta}-lactam$, quinolone, 및 aminoglycoside 계열 항균제에 대한 내성유전자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여 내성유전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총 43균주의 장내세균이 40마리의 닭의 맹장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여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플라스미드 매개 항균제 내성 유전자를 조사하였다. 총 43균주 중 2균주가 $bla_{CTX-M-14}$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qnrS 및 aac(6')-Ib-cr 유전자도 각각 2균주와 5균주에서 확인되었다. 총 43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cefepime, ceftazidime, 및 cefaclor를 제외한 모든 항균제에 대해 0.0%부터 23.3%까지의 낮은 감수성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닭으로부터 분리된 대장균에 플라스미드 매개 항균제 내성유전자가 확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균제 내성 유전자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항균제 내성유전자의 조사와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Fluoroquinolone Resistance Determinants in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between 2 Time Periods of 1989 and 2010-2014 at Gangwon Province in Korea

  • Park, M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0-126
    • /
    • 2020
  • Fluoroquinolone (FQ) resistant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UPEC) have become a major problem in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inolone resistance-determining region (QRDR) and plasmid 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PMQR) determinants of FQ resistant UPEC between 1989 and 2010-2014. A total of 681 strains of UPEC clinical isolates was collected from Korean healthcare facility in 1989 (123 strains) and in 2010-2014 (558 strain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FQs were determined by agar dilution method. QRDRs (gyrA, gyrB, parC and parE) and PMQR determinants (qnrA, qnrB, qnrS, aac(6')-Ib-cr and qepA) were analyz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equencing method. Among 681 isolates, FQ resistant UPEC were 3 strains (2.4%) in 1989 isolates and 220 strains (39.4%) in 2010-2014 isolates. The rate of the FQ resistant UPEC strains in 2010-2014 isolates was increased than that of in 1989 isolates. UPEC isolates from 1989 and 2010-2014 were shown to carry mutations in gyrA (Ser83 and Asp87), gyrB (Ser464 and Thr469), parC (Ser80 and Glu84) and parE (Glu460, Ser458, Ile464 and Leu445). The most common mutations of QRDRs in 1989 isolates were Ser83Leu and Asp87Gly in gyrA and Ser80Ile in parC (2 strains: 66.7%) while those in 2010-2014 isolates were Ser83Leu and Asp87Asn in gyrA and Ser80Il2 and Glu84Val in parC (88 strains: 40.0%). PMQR determinants were detected only in 2010-2014 UPEC strains (47 strains: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