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om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33초

적응적 줌 트랙킹 기법을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A Video Camera System with Adaptive Zoom Tracking)

  • 김윤;이준석;정재환;고성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343-346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n advanced auto focus camera system using the adaptive zoom tracking method. The proposed system can achieve an accurate zoom tracking with significantly reduced system memory.

  • PDF

블록을 이용한 비디오의 fade와 zoom 영역 검출 기법 (Detection of Fade and Zoom Effects Using Blocks in Video)

  • 정인식;권오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5-198
    • /
    • 2000
  • 비디오에서 적은 수의 대표 화면으로 그 비디오의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는 것은 효율적인 비디오 브라우징 및 비디오 검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종류의 셔트(shot) 추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다양한 종류의 셔트 추출 방법 중에서 칼라 히스토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칼라 히스토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은 fade effect, zoom effect 등과 같이 특별한 효과가 들어있는 비디오에서는 적절하지 못한 결과를 종종 초래한다. 이 논문에서는 블록을 이용한 fade와 zoom 효과가 있는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대부분의 칼라 히스토그램 방법은 인접한 프레임간 또는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있는 프레임간의 차이를 이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차이를 구하고자 하는 프레임간의 거리를 변동시기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함으로써 그 성능을 개선하였고, 또한 단순히 두 프레임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수의 프레임을 그룹핑 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고, 그 블록에서 히스토그램 차이의 평균 및 중간 값을 이용하면 hard cut과 fade같은 효과가 한 블록 내에 같이 있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셔트를 추출할 수 있다.

  • PDF

Convergence Point Adjustment Improving Visual Discomfort for a Zoom on a Stereoscopic Camera

  • Ha, Jong Soo;Kim, Dae Woong;Kim, Dong Hyu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5호
    • /
    • pp.633-640
    • /
    • 2016
  • In a dual lens stereoscopic camera, a convergence point determines the stereopsis effects of a video. When a user zooms an object, a convergence point is fixed since it is not coupled with a zoom function. Due to the fixed convergence point, it is possible for a zoom to cause the excessive binocular disparity resulting in visual discomfort.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we build the relational model including all phenomena possible to arise and propose the adjustment methods of a convergence point by the positions of a focus, an object and a convergence point. We also evaluate the experiments measuring a binocular disparity and the subjective test to investigate the visual comfort. The results show that one of the proposed methods produced more comfortable 3D images to viewers than the others.

줌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표정요소 변화 (The Change of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in Zoom Lens Digital Cameras)

  • 김기홍;정수;김백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3-98
    • /
    • 2010
  • 최근 건설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수치사진측량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가운데 각종 산업분야에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수치사진측량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정확한 초점거리, 렌즈왜곡계수, 주점의 위치를 구하는 내부표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부표정시 구해지는 내부표정요소 값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간격과 춤을 사용하여 동일한 내부표정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줌의 배율에 따른 방사왜곡계수와 렌즈주점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방사왜곡 계수 $k_1,k_2$의 경우 모두 줌의 배율이 커짐에 따라 0에 수렴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렌즈주정의 위치변화량은 줌의 배율이 커질수록 일정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주점 이동량 $x_p$, $y_p$의 변동폭이 커짐을 확인 할수 있었다.

Zoom 영상 표현을 위한 영상 코딩 알고리듬 (An Image Coding Algorithm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Set of the Zoom Images)

  • 장보현;김도현;양영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5호
    • /
    • pp.498-50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zoom 영상 세트로부터 최적의 깊이와 텍스쳐 정보를 추출하는 효과적인 영상 코딩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깊이 추출 단계와 텍스쳐 추출의 2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물체 공간에서 X-Y면을 삼각패치로 나누고 각 삼각패치 노드의 깊이 값은 깊이 추출 단계에서 결정한 후, 두 번째 단계에서 각 삼각패치의 텍스쳐를 추출한다. 깊이 추출 단계에서는 각 삼각패치의 노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사각형 윈도우 영역에 대하여 블록에 기반한 변이 보상 방법을 적용함으로 노드의 깊이를 결정한다. 텍스쳐 추출 단계에서는 아휜 변환에 기반한 변이 보상 모델을 이용하여 zoom 영상으로부터 삼각패치의 텍스쳐가 추출된다.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 평면에서 보정하는 대신 물체 공간에서 보정을 수행하였다.

  • PDF

Diagnostic value of two modes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evaluation of simulated external root resorption: an in vitro study

  • Dalili, Zahra;Taramsari, Mehran;Mehr, Seyed Zoheir Mousavi;Salamat, Fatemeh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2권1호
    • /
    • pp.19-24
    • /
    • 2012
  • Purpose : Field of view and voxel resolution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ight affect the diagnostic capabil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between the standard and HiRes zoom modes in the diagnosis of external root resorption (ERR) using CBCT. Materials and Methods : Sixty three small cavities (0.25 mm depth and 0.5 mm diameter) were simulated on the buccal, lingual, and proximal surfaces at three different levels of 16 roots of teeth. After covering the root with nail varnish, the roots were inserted in the sockets and the model was placed in a water-containing lacuna. CBCT scans were taken in both standard and HiRes zoom modes using NewTom VG (QR srl Company, Verona, Italy). Then, an observer assessed the image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vities. This process was repeated by increasing the size and depth of cavities to 0.5 mm depth and 1 mm diameter. Data were analyzed by McNemar tes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likelihood ratio in evaluation of the simulated cavities were calculated.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maging modes in diagnosing the shallow cavities (p=0.02).The sensitivity of the standard zoom in detecting the shallow caviti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HiRes zoom. The likelihood ratio of the HiRes zoom was higher in the diagnosis of both cavity type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a smaller voxel size in the HiRes zoom mode of CBCT is preferred for diagnosis of ERR.

3.7-4.8$\mu$m 파장대역 FLIR 시스템을 위한 20:1 줌 렌즈 광학계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zoom optics having 20 magnification range for mid-IR(3.7-4.8$\mu$m) FLIR system)

  • 김현숙;김창우;홍석민
    • 한국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62-467
    • /
    • 1999
  • 중적외선 파장대역$(3.7-4.8{\mu}m)$에서 20:1의 줌 비(zoom ratio)를 가지며 최저배율에서는 40$^{\circ}$$\times$30$^{\circ}$의 광시계를 갖는 연속 줌렌즈 광학계를 설계, 제작하였다. 설계된 줌 렌즈 광학계는 F/2.5에 총 7매의 렌즈로 구성되며 실리콘(Si)과 게르마늄(Ge)이 광학재질로 사용된다. 줌 광학계는 적외선 검출기를 최종 상면에 놓을 때 비네트(vignett)에 의한 광학적 errors를 줄이면서도 줌 대물렌즈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릴레이 형태의 재결상계(reimaging system)로 설계하였으며, 줌 렌즈의 배율 변화와 1차적인 결상을 담당하는 줌 대물부와 이를 다시 검출기에 재결상 시켜주는 결상부는 구성된다. 줌 대물부는 기계보정식 4군 줌 렌즈 형태로 구성되며 각 군을 구성하는 렌즈 매수를 최소화하여 광학계의 질량 및 크기를 줄이면서도 광학적 성능은 우수하게 유지되도록 설계하였으며 결상부는 1개의 렌즈군으로 구성하였다. 제작된 줌 렌즈 광학계의 축상 MTF를 측정한 결과 최고 배율인 20배에서 공간주파수가 24cycle/mm일 때 4.0$\mu$m파장에 대한 MTF 측정값이 0.692로 회절한계에 가까운 성능을 보였으며, 분해능은 7.6 cycles/crad까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35mm 카메라 비구면 줌 렌즈계의 광학적 성능을 통한 비구면 분석 (The Aspheric Analysis through the Optical Capacity of 35mm Camera with an Aspheric Zoom Lens System)

  • 지택상;임현선;김봉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3-10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설계된 35mm 카메라 비구면 줌 렌즈계의 구조와 광학적 성능을 조사하여 비구면 패턴을 분석하여 보았다. 이 렌즈계는 무한 물점에 대한 줌 렌즈계로서 viewing system을 갖는 소형 카메라에 사용되어지는 광학계이므로 짧은 back focal length를 허용하여 image plane 가까이에 lens unit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광학계의 zoom ratio는 1 : 2이고 +, -의 power 분포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35~70mm 초점거리 영역을 채택함으로써 대중적인 보편화를 고려한 경제성이 있는 광학계라고 할 수 있겠다. 2개의 비구면을 사용함으로써 단지 3장의 렌즈만으로 수차 보정을 이루었고, 렌즈계의 소형, 경량화, 생산단가의 감소효과를 꾀하였다.

  • PDF

양안 줌렌즈를 이용한 물체의 거리추정 (A Method for Estimating a Distance Using the Stereo Zoom Lens Module)

  • 황은섭;김남;권기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7-543
    • /
    • 2006
  • 단일 줌 카메라를 사용한 거리추정 방법은 시야 범위가 광 축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거리 추정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거리추정을 위한 수평이동 방식의 줌 렌즈를 이용한 입체영상에서의 물체의 거리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거리 추정을 위하여 줌렌즈를 이용한 수평이동방식 카메라를 구현하였다. 제안한 방법으로 또한 편광 입체영상 모니터를 사용하여 카메라의 좌, 우 영상 정보를 획득하였다. 인간이 볼 수 있는 시야 범위를 추정하기 위해 좌, 우로 $0mm{\sim}500mm$ 범위에서 실 거리와 추정 거리를 구하였고 이의 오차는 10mm 미만이었다.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에 줌 기능을 사용하여 제어의 오차를 줄였기 때문에 주시각에 의한 거리 추정에서 보다 더욱 정확한 거리를 추정 할 수 있었다. 또한 교차방식과 수평이동방식의 거리 추정의 오차를 비교하여 수평이동 방식이 교차방식보다 더욱 정확한 거리 정보를 추정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