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acco temmincki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잉어과 어류의 인두골과 인두치(제 1 보) (On the Pharyngela Bones and Their Teeth in Korean CYPRINIDS Fishes)

  • 양홍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0
    • /
    • 1963
  •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aryngeal bones and their teeth in Korean Cyprinids fishes, as a rule, are summarized as follow : 1. The materials 13 genera and 17 species from Nak Dong River. 2. Breadth of bone about 2.8(Cyprinus carpio) to 4.9(Culter brevicauda) in bone length. Length of bone about 8.5(Carassius carassius ) to 20.2 (Pseudogobio esocinus ) in body length. Breadth of pitted surface about 66%(Carassius carassius) to 85%(Acanthorhodeus asmussi ) of breadth of bone. 3. The position and distinct ratio of anterior angle correlated. 4. Posterior limb always longer than anteriro, but posterior edentulous process not shorter than anterior's or equal. 5. Zacco platypus with pitted surface on anterior limb , but Z.temmincki without it. 6. Teeth one to three rowed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of each genus : a. one rowed genera ..... Carassius , Pseudorasbora, Sarcocheilichthys (Sakiyae), Pungtungia, Acheilognathus, Acanthorhodeus. b. two rowed genera ........ Pseudogobio, Gnathopogon, Tribolodon. c. Three rowed genera .... Cyprinus, Hemibarbus, Zacco , Culter 7. Teeth of main (primary ) row with four or five teeth is symmetrized exceptive three genera (Tribolodon, Zacco, Culter). 8. Grinding surface and bill type correlated. 9. In Acheilognathus, A.Yamatsutae have one or two indistinct serration but each individual is unlike.

  • PDF

울산지역 (가지산) 상류하천의 어류군집 (Fish Community of Headwater Streams in Gaji Mountain, Ulsan.)

  • 최기룡;주기재;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39-250
    • /
    • 2001
  • 가지산에서 발원하는 태화강의 본류 및 지천을 중심으로 1${\sim}$5차 하천인 22개 지점 (간헐천 45%;낙동강 수계 5개 지점,형산강 수계 4개 지점,태화강 수계 13개지점)에서 1999년 2월부터 2000년 30월까지 4${\sim}$8회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14과 44종 2,696개체가 채집되었다. Cyprinidae (18종, 1,845개체: 상대풍부도(RA),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Zacco temmincki (RA23.0%, 14개 지점)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Moroco oxycephalus (20.2%, 11개 지점), Zacco platypus (8.0%, 10개 지점), Mugil cephalus (5.2%, 3개 지점)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종 중 한국고유종은 모두 8종으로 나타났다(5과, 166개체, 6.2%).한국고유종중 우점종은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한국고유종 중53.6%)며, 아우점종은 Iksookimia longicorpa (20.5%)와 S. japonicus coreanus (6.6%)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외래도입종은 모두 3종, Micropterus salmoides (36 개체), Lepomis macrochirus (5개 체), Cyprinus carpio (in-troduced from Israel, 1개체)이 채집되었다. 형산강과 태화강 수계의 상류하천에서는 S. multimaculatus, Coreoperca herzi, Pungitus kaibarae가 채집되어 낙동강 수계와는 차이를 보였다.

  • PDF

소하천에서 담수어류 표피에 부착된 미세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Epizoic Algae Attached on the Freshwater Fishes in a Small Stream (lan Stream), South Korea)

  • 신재기;서진원;이혜숙;정선아;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462-468
    • /
    • 2004
  • 하천의 환경성 평가에서 부착조류 조사는 주로 비이동성 기질(돌, 식물, 모래, 점토 및 식물체 등)에 누적된 영향을 반영한 반면에 이동성 기질을 이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소하천 생태계에서 어류 표피에 부착된 미세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서식처 환경을 분석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현장 조사에서 우점한 어류는 계류성 어종에 속하는 갈겨니 (Zacco temmincki)와 피라미 (Zacco platypus)이었고, 상대도수는 각각 62%, 19%를 차지하였다. 어류는 광역이동의 대표적인 생물로서 기존의 한 장소에 고정된 부착생물의 기질과는 비교가 될 수 있었고,어류에 부착된 미세조류의 구성으로 볼 때 하천 상하류 구간의 현재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부착 미세조류는 규조류가 주류를 이루었고, 다른 분류군도 소수 관찰되었다. 또한, 생태학적 측면에서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수환경 평가의 생물학적 도구로 제시하고자 한다.

동창천(東倉川)(운문(雲門)댐 예정지)에서의 추(秋).동계(冬季) 어류상(魚類相)에 관하여 (On the Ichthyofauna of the Dongchang Stream (Naktong River) from Fall to Winter)

  • 양홍준;남명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0-86
    • /
    • 1992
  • 동창천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7과 18속 21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고유종은 Squalidus gracilis majimae, Coreoleuciscus splendidu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ongicorpus, Cobitis rotundicaudata, Niwaella multifasciata, Liobagrus mediadiposalis, Coreoperca herzi 그리고 Odontobutis platycephala로서 전체 채집종의 42.9%이었다. 전 지역에 걸쳐서 우점종은 Zacco temmincki(상대풍부도 ; 37.3%)와 Odontobutis platycephala(16.9%)로 나타났으며, 상대풍부도가 1% 이하인 희소종은 Pseudorasbora parva, Hemibarbus longirostris, Acheilognathus limbatu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rotundicaudata, Misgurnus mizolepis 그리고 Anguilla japonica로 나타났다. 납자루아과는 1종만 출현하여 아주 희소하였으며 미꾸리과는 5종이 출현하여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사지역 전체의 종다양성지수는 0.934, 균등성지수는 0.707, 우점도지수는 0.293으로서 안정되어 있었다. 조사유역은 수질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하천의 어류상을 나타내는 곳이므로 수질오염 및 남획으로부터 어류를 보호하기 위해 어류보호구역으로 설정할 것을 제창한다.

  • PDF

백두대간에 포함되는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The freshwater Ichthyofauna of Deogyusan National Park, Enclosing Baekdudaegan)

  • 이승휘;권은호;신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6-332
    • /
    • 2004
  • 백두대간 중 덕유산 중심의 무주군과 장수군, 거창군과 함양군 일원에서 발원하는 낙동강 및 금강 수계의 상류에 서식하는 어류상을 조사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2003년 5월부터 9월까지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14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한국고유종 및 아종인 몰개, 왕종개, 꺽지, 동사리를 포함한 5과 15종의 담수어류를 확인하였다. 금강수계에서는 14종이, 낙동강 수계에서는 7종이 분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은 돌고기, 버들치, 갈겨니, 미꾸리, 꺽지 그리고 동사리로서 6종이었다. 이들 중 우세종은 갈겨니와 버들치였다. 기존의 백두대간에 관한 연구는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향후 동ㆍ식물이 하천통로에 공존하는 새로운 개념의 해석을 제시코자 하였다.

전북 부안댐 어류군집의 변화 (Fish Community Changes of the Buan Dam, Korea)

  • 김익수;양현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45-50
    • /
    • 2001
  • 1995년 부안댐이 축조된 후 어류상 변화를 알기 위하여 1994년과 1998년 어류조사결과를 비교하였다. 부안댐호에는 14종의 담수어류가 출현하였는데, 우점종은 참붕어(Pseudorasbora parva)와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였다. 그리고 붕어(Carassius auratus)와 메기(Silurus asotus)는 댐이 축조된 후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부안종개(Iksookimia pumila), 버들치(Rhynchocypris of oxycephalus), 갈겨니(Zacco temmincki) 등은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부안종개는 댐 조성으로 인하여 서식처 범위가 현저하게 좁아졌고 개체군 크기도 크게 감소하고 있어서 종의 적극적인 보호대책이 요구된다. 부안댐 하류 수역에서는 모두 21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나 이 수역에서도 서식처의 단절로 인하여 출현 종수나 개체수는 격감하리라고 예상된다.

  • PDF

평화의 댐 어류군집 분석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Peace Dam)

  • 이광열;장영수;최의용;서진원;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297-303
    • /
    • 2005
  • 2003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평화의댐의 어류상 및 군집분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동안 출현한 어류는 모두 8과 31종이었다. 채집어종들 중 한국고유종은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등 13종 (41.94%)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누치 (Hemibarbus labeo) 14.07%, 갈겨니 (Zacco temmincki) 13.72%, 피라미 (Z. platypus) 11.94%, 참마자(H. longirostris) 9.31%,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8.10% 등 이었다. 생체량은 누치 (H. labeo) 24,278 g, 쏘가리 (S. scherzeri) 19,487 g, 뱀장어 (A. japonica) 10,400 g, 잉어 (C. carpio) 8,418 g, 붕어 (C. auratus) 4,020 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류상 및 어류군집에 따라 북한강수계의 인공호들은 UPGMA에 의해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평화의 댐은 소양호 및 파로호와 비슷한 군집구조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횡성호 일대의 어류군집 동태 (Study on the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Lake Hoengseong Region)

  • 최재석;신현선;박승철;최준길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188-195
    • /
    • 2005
  •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간 횡성호 일대의 어류군집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동안 출현한 어류는 총 10과 39종이었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 Rhodeus pseudosericeus 등을 포함하여 총 17종 (43.59%) 이었다. 우점종은 Acheilognathus lanceolatus (20.10%), Zacco platypus (15.94%), Z. temmincki (6.92%), Carassius cuvieri (6.33%), A. rhombeus (6.18%), Pungtungia herzi (5.13%), Pseudorasbora parva (4.93) 등이었다. 조사시기별 출현종을 근거로 생활형에 따른 어류군집은 담수가 되면서 점차 저서성 어종의 수가 감소하였고 부유성 어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시기별 유사도 분석을 한 결과 각 조사시기는 비가중치 평균연결법 (UPGMA)에 의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한편 다른 인공호와 본 조사의 어류상을 근거로 유사도 분석을 한 결과 수계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같은 수계 내에서 다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이 중 횡성호 어류군집의 현재 상태는 북한강 중류의 춘천-청평호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백산 일대 계류의 어류상 (Fishfauna of the Taebaeksan Area Streams)

  • 심재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1-407
    • /
    • 2002
  • 태백산 일대 주변 계류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강수계에서는 3목 4과 8종이 채집 또는 확인되었는데 이중 버들치(R. oxycephalus)는 각 지점별 출현도와 개체수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 어종은 금강모치(R. kumgangensis)와 미유기(s. microdorsalis)의 2종이었다.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는 동남천의 상지류인 정암사 계곡의 일부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낙동강수계에서는 4목 7과 74종이 채집 또는 확인되었다. 출현도와 개체수에서 버들치(R. oxycephalus)가 우점이고 갈겨니(Z. temmincki)가 차우점이었다. 고유어종은 8종으로 57.1%의 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천연기념물이며 특정보호야생동물로 지정된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는 백천계곡과 현동천 상류의 계곡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진강 유역 담수어에 기생하는 흡충류 피낭유충 조사 (Survey on Encysted Cercaria of Trematodes from Eresh-water Fishes in Tongjin Riverside Areas in Korea)

  • 이재구;임문호백병걸이호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190-202
    • /
    • 1984
  •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epidemiological feature of distomiasis in Tongjin riverside area, the prevalence of distomiasis in the residents and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in fresh-water fishes were investigated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from January to April, 1984.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ut of a total of 931 fresh-water fishes which composed of 33 different species, 611 fishes(65.6%) of 31 species were found positive with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of 16 different species,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among the fishes in the 3 parts of the river; 53.8% in upper, 80.7% in middle, and 61.0% in lower reaches, respectively. 2.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of Exorchis oviformis, Metagonimus yokogawai, Echinochasmus japenicus, Metorchis orientalis and Clonorchis sinensis in the fishes were 48%,29%, 115, 7.9% and 6.3oA, respectively. 3. The average number of the encysted larvae of Clonorchis found in fish body/gram showed 4.44 in Pseudorasbera larva, Gnathepegon coreanus (1.2), Microphysogoio yaluensis (0.76), Abbottina springeri (0.4), Acanthorhodeus asmussi (0.21) and Cultriculus eigenmanni (0.17), respectively. 4. The average number of the metacercariae of Metagonimus found in fish body/gram disclosed 34.01 in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16.46), Carassius carassius (5.35), Moroco oxycephalus (1.54) , Aphyocypris chinensis (1.5) and etc., respectively. 5. Detection rates of the eggs of Clonorchis and Metagonimus among residents were 1.1% and 0.8%, respectively, out of a total 923 Pers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