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 Community Changes of the Buan Dam, Korea

전북 부안댐 어류군집의 변화

  • Kim, Ik-Soo (Faculty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Hyun (Faculty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익수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 양현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Published : 2001.02.01

Abstract

The fish fauna of the Buan Dam, Chollabuk-do, Korea which was constructed in 1995 was surveyed in 1994 and 1998. 14 fish species were collected in the Buan Dam and 19 species were recognized in the brackish waters along the lower course of the dam in 1998. It was remarked that the dominant species in the dam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from Zacco platypus and Z. temmincki to Pseudorasbora parva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within the three years after the dam construction. And also the number of Carassius auratus and Sirulus asotus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dam. However, lksookimia pumila, the threatened fish species of Korea, was decreased sharply and restricted conspicuously by fragmentation of the habitat. The positive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pecies conservation of lksookimia pumila in the Buan Dam.

1995년 부안댐이 축조된 후 어류상 변화를 알기 위하여 1994년과 1998년 어류조사결과를 비교하였다. 부안댐호에는 14종의 담수어류가 출현하였는데, 우점종은 참붕어(Pseudorasbora parva)와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였다. 그리고 붕어(Carassius auratus)와 메기(Silurus asotus)는 댐이 축조된 후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부안종개(Iksookimia pumila), 버들치(Rhynchocypris of oxycephalus), 갈겨니(Zacco temmincki) 등은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부안종개는 댐 조성으로 인하여 서식처 범위가 현저하게 좁아졌고 개체군 크기도 크게 감소하고 있어서 종의 적극적인 보호대책이 요구된다. 부안댐 하류 수역에서는 모두 21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나 이 수역에서도 서식처의 단절로 인하여 출현 종수나 개체수는 격감하리라고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자원공사연구보고서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 김도한;황수옥;양홍준;전상린;최신석;김익수;최충길
  2.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물편(담수어류) 김익수
  3. 한국생태학회지 v.7 백천에 서식하는 참종개 Cobitis koreensis Kim개체군의 형태와 생태 김익수;이완옥
  4. 한국육수학회지 v.30 임하댐 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양홍준;채병수;황수옥
  5. 팔당호 생태계 현황 및 외래어종 영향조사 보고서 최기철;손영목;송호복;변화근
  6. 한국육수학회지 v.30 대청호의 어류군집 최신석;송호복;황수옥
  7. 한국어류학회지 v.4 국립공원 변산반도 백천의 어류상에 관하여 최충길;이종빈;황영진
  8. '94 부안다목적댐 건설사업 환경관리조사보고서(3차) 한국수자원공사
  9. '98 부안다목적댐 건설사업 사후환경영향조사(2차) 한국수자원공사
  10.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 화보집 환경부
  11. 한국육수학회지 v.28 이사천 수계 및 주암호와 상사호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황영진;김종선;나명석;최한호;최충길
  12.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Animals IUCN
  13. Korea J. Syst. Zool v.3 A new subspecies of cobitid fish(Pisces: Cobitidae) from the Paikchon Stream, Chollabukdo, Korea Kim, I.S;W.O. Lee
  14. SIFR/IDRC Global freshwater biodiversity: Striving for the intergrity of freshwater ecosystems McAllister, D.E., A.L. Hamilton;B. Harvey
  15. The Ecology and Politics of Large Dams Silenced Rivers McCully, P
  16. Rev. Roum. Biol. (Biol. Anim) v.38 Some problems in the systematics of the genus Cobitis and its relatives(Pisces, Ostariophysi, Cobitidae) Nalbant, T.T
  17. Bull. Fish. Exp. Stat. Gov. Gener. Tyosen v.6 The Fishes of Tyosen. Nematognathi, Eventognathi Uchida,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