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 Il-Sun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8초

TGF-${\beta}1$으로 자극한 사람중피세포주에서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제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on TGF-${\beta}1$ Pre-Treated Human Mesothelial Cell Line)

  • 이정림;전수진;유영춘;김지혜;이유미;권선중;손지웅;최유진;나문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405-415
    • /
    • 2011
  • Background: In an effort to find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s to prevent excessive fibrosis as a sequela to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or empyema, we examined the effect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as a fibrinolytic agent combined with talc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in a human pleural mesothelial cell line, MeT-5A. Methods: MeT-5A cells were stimulated with various doses of talc, doxycycline or TGF-${\beta}1$ for 24 h and then were treated with tPA for an additional 24 h.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8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ulture supernatants was measured by ELISA. Real-time PCR was carried out for measurement of type I collagen mRNA. Results: MeT-5A cells treated with talc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production of IL-8. Talc also increased production of type I collagen mRNA at low doses, but talc did not influence the induction of VEGF. Addition of tPA to talc-stimulated cells showed further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IL-8, but tPA did not influence the production of VEGF or type I collagen mRNA. TGF-${\beta}1$ increased the production of both VEGF and collagen type I mRNA, both of which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additional tPA treatment in MeT-5A cells. Conclusion: TGF-${\beta}1$ is a potent inducer of collagen synthesis without induction of IL-8 in MeT-5A cells. Addition of tPA after TGF-${\beta}1$ stimulation inhibited further fibrosis by direct inhibition of collagen mRNA synthesis as well as by inhibition of VEGF production.

체외수정 유래 소 배반포로부터 유사 배아 줄기 세포의 확립 및 유지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Embryonic Stem-like Cell Lines from In Vitro Produced Bovine Blastocysts)

  • 이유연;김선욱;김지수;송봉석;조윤정;박정선;유대열;진동일;이경광;구덕본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215-220
    • /
    • 2007
  • 본 연구는 소 배반포의 내부 세포괴로부터 다능성(pluripotency)을 지닌 배아 줄기 세포(embryonic stem cell) 또는 그 유사 세포를 분리 및 배양함으로써 줄기 세포 관련 분야의 기반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소 체외수정란을 $10{\sim}12$일간 체외배양하여 생산된 부화 배반포를 세포분열이 불활성화된 생쥐 태아 섬유아 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위에서 배양하여 콜로니 형성을 유도하였으며, 이들로부터 내부 세포괴 유래의 형태를 지닌 것만을 광학현미경 하에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약 $5{\sim}7$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배아 줄기 유사 세포의 특성을 40계대 이상 유지하는 2개의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각각의 세포주들은 높은 alkaline phosphatase(AP) 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형광 면역 염색법과 PCR 기법을 사용하여 Oct-4, Nanog, STAT3, SSEA3 및 SSEA4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소 배반포로부터 배아 줄기 세포주를 확립하는 제반 기술이 확립되었다고 판단되며, 향후 관련 분야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인간 유래 THP-1 단핵구 세포주의 분극화 조절 (Phellinus linteus Extract Regulates Macrophage Polarization in Human THP-1 Cells)

  • 이상률;박슬기;유선녕;김지원;황유림;김동섭;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121
    • /
    • 2020
  • 대식세포는 특성에 따라 크게 classically activated macrophages (M1-phenotype macrophages)와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s (M2-phenotype macrophages) 두 가지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M1 대식세포의 경우 직·간접적으로 병원체, 감염된 조직 및 암세포 등을 제거하는 능력을 가진 반면, M2 대식세포의 경우 항염증 반응을 동반한 손상된 세포 조직의 복구 및 세포외기질의 생성에 관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인 Diaion HP-20에 통과시켜 소수성 물질을 제거한 시료(PLEP)을 이용하여 인간 유래 THP-1 단핵구 세포주의 염증성 혹은 항염증성 분극화 특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PLEP 자체의 단핵구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고농도의 300 ㎍/ml에서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PLE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1- phenotype 대식세포와 유사한 flatted and branched 형태가 증가하였다. 대식세포로 분화시킨 THP-1 세포주에 PLEP를 처리한 후, M1 대식세포 분극화 관련 유전자인 TNFα, IL-1β, IL-6, IL-8, CXCL10, CCR7과 M2-분극화 관련 유전자인 MRC-1, DC-SIGN, CCL17, CCL22의 유전자 발현량을 조사하여 분극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M1-분극화 관련 유전자들은 PLEP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M2-분극화 관련 유전자들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또한 ELISA assay를 통하여 M1 분극화 관련 cytokine인 TNFα, IL-1β, IL-6의 발현량이 유전자의 발현량과 동일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cytokine들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MAPK signaling 또한 PLE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촉진되었고 염증성 cytokine과 관련된 전사인자 NF-κB의 활성화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PLEP는 인간 유래 THP-1 세포주에서의 M1 대식세포 분극화를 통해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염증을 촉진하는 천연물질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spergillus niger로 발효한 감귤과피 추출물의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itrus unshiu Peels Fermented with Aspergillus niger)

  • 이선이;현주미;김상숙;박석만;박경진;최영훈;김상헌;유선녕;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50-7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감귤과피 발효를 실시하고, 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말화시킨 온주밀감 과피에 Aspergillus niger를 첨가하고 5일간 진탕 배양하고 감귤발효물을 ethyl acetate로 추출하였다. 대조구는 발효 전 감귤과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추출물의 성분변화는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neohesperidin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면서, 발효에 의해 compound 1, 2가 생합성되었다. 감귤발효 추출물의 항염 활성은 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macrophage cell에서 확인하였다. 감귤발효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NO (Nitric oxide)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염증반응과 관련된 단백질 iNOS와 COX-2 의 발현도 감귤발효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감귤발효 추출물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와 IL-6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감귤 과피의 flavonoid 배당체 화합물들을 aglycone 형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유효 생리활성 성분의 효능을 증대시켜 부산물로서 발생되는 감귤의 새로운 활용 방안으로 기대된다.

미용 목적으로 Atelocollagen 주입 후에 발생한 미만성 폐포출혈과 간질성 폐렴 2례 (Diffuse Pulmonary Alveolar Hemorrhage and Interstitial Pneumonitis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of Atelocollagen for Cosmetic Purpose : Two Case Reports)

  • 고영춘;임성철;박경화;김정순;김규식;김유일;김영철;윤성호;이승일;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3호
    • /
    • pp.308-314
    • /
    • 2004
  • 콜라겐은 실리콘에 비해 안전성이 높아 최근 들어 생체 대체조직 및 이식 재료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유전자 치료에서 전달물질로서 연구되고 있다. 콜라겐 주입술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시술로 알려져 본 증례에서와 같이 무면허 의료시술자에 의한 주입술이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건강한 젊은 여성에서 atelocollagen을 주사 한 후에 발생한 미만성 폐포 출혈과 급성 간질성 폐렴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알루미나 크기에 따른 세라믹 코팅 분리막의 열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Dependence of Therm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eramic Coated Separators on the Ceramic Particle Size)

  • 박선민;유호준;김광현;강윤찬;조원일
    • 전기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33
    • /
    • 2017
  • 매우 좋은 에너지 저장장치인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은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양극/분리막(전해질)/음극"의 계에서 리튬이온전지의 분리막의 물리적 충격, 고온에 따른 손상에 기인하는 바가 크며, 특히, 폭발사고에서 분리막 손상에 의한 내부단락이 큰 영향을 끼친다. 고분자로 구성된 분리막의 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세라믹이 얇게 코팅된 세라믹코팅 분리막이 최근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틸렌계 분리막 위에 다양한 크기(IL = 488.5 nm, I = 538.7 nm, S = 810.3 nm, D = 1533.3 nm)의 $Al_2O_3$ 입자와 styrene-butadiene rubber(SBR) / carboxymethyl cellulose(CMC) 바인더를 섞어 만든 슬러리를 코팅하여 열 안정성을 측정한 후, 이를 분리막으로 하는 삼성분계 양극과 리튬메탈 음극의 코인 셀을 제작하여, 전기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폐흡충의 이배체와 삼배체 vasa 유전자 분석 및 특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asa Gene of Triploid and Diploid Human Lung Flukes (Paragonimus westermani))

  • 이근희;유학선;허재원;유성숙;최선희;박상균;이선주;정동일;공현희;옥미선;정해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62-469
    • /
    • 2007
  • 폐흡충은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에서 폐흡충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기생충이다. 이러한 폐흡충은 이배체 와 삼배체가 국내에 알려져 있다. 이배체 폐흡충은 양성생식을 하고 삼배체 폐흡충은 단위생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인에 대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생식유전자 중 초파리에서 최초 분리되었고 포유동물에서도 그 기능이 밝혀진 vasa 유전자가 가장 유명하다. 이 유전자는 생식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며 종에 따라서는 정자생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삼배체 폐흡충의 단위생식과 vasa 유전자와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폐흡충의 이배체와 삼배체 성충으로부터 vasa 유전자 전체의 염기서열을 얻을 수 있었다. 두 염기서열의 경우 8개의 ATP-binding domain이 관찰되었고 helicase가 결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RGG motif도 관찰되었다. 총 622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될 것으로 보이며 이배체는 69.018 kDa, 삼배체는 68.930 kDa 크기의 단백질을 만들 것으로 예상되었다. Vasa 재조합 단백질은 GST와 fusion되어 93 kDa 크기에서 관찰되었다. mRNA의 발현은 이배체에 비해 삼배체가 다소 높았다. Anti-Pw-VASA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수행한 결과 이배체와 삼배체는 다른 기관에서는 면역반응력을 보이지 않고 고환에서만 면역반응력을 볼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vasa 유전자는 이배체 삼배체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정상적으로 발현되었다.

배양전정신경세포에 있어서 5-Fluorouracil의 세포독성에 대한 산조인의 효과 (Effect of Ziziphi Jujubae Semen on 5-Fluorouracil 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Vestibular Neurons)

  • 손일홍;이정헌;최유선;이재규;김형수;이용석;이환봉;최기욱;민부기;김상수;이강창;류명환;송호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6-149
    • /
    • 2002
  •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Ziziphi Jujubae Semen(ZJS) on 5-Fluorouracil(5-Fu) in cultured vestibular neurons(VN), neurotoxicity was assessed by XTT assay after VN was exposed to 3-24ug/ml 5-Fu for 48 hours. and also,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ZJS was measured by XTT assay in these cultrures. Cell viability was remarkably decreased dose-dependently, after the treatment with 12ug/ml 5-Fu to cultured VN for 48 hours. In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ZJS on the toxicity induced by 5-Fu, ZJS prevented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5-Fu in these cultures. From above the results, it suggests that 5-Fu is toxic in cultured VN and herb extract, ZJS has protective effect over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5-Fu.

생쥐의 배양 대뇌신경세포에 대한 Hydrogen Peroxide의 세포독성 및 천마의 영향 (Cytotoxicity of Hydrogen Peroxide and Effects of Rhizoma Gastrodiae Against Hydrogen Peroxide in Mouse Cerebral Neurons)

  • 최유선;이은미;손영우;이강창;신용일;송명수;최영자;최규철;강형원;임창용;류지용;박세홍;박승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28-931
    • /
    • 2002
  • To elucidate the toxic effect of oxygen free radicals on cultured mouse cerebral neurons damaged by hydrogen peroxide(H₂O₂)-induced neurotoxicity, we examined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oxygen radicals by NR assay when cultured cerebral neurons were grown in the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H202 for 6 hours. In addition,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rb extracts such Rhizoma Gastrodiae(RG) on H202-induced neurotoxicity in cultured cerebral neurons were evaluated after cultured cerebral neurons were pre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herb extract, RG for 2 hours before 50uM H₂O₂ for 6 hours. H₂O₂ decreased remarkably cell viability in dose-and time-dependent manner in these cultures, and also herb exract, RG decreased LDH activity of cerebral neurons damaged by H₂O₂.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H₂O₂ was toxic in cultured cerebral neurons from mouse, and RG was effective in blocking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oxygen radicals in these cultures.

화장품용기 부피 지수를 이용한 화장품 포장 설계 (Cosmetic Packaging Design using Cosmetic Container's Volume Index)

  • 김선종;송제용;유명제;박수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3-138
    • /
    • 2013
  • 일부 화장품용기의 크기가 내용물에 비해 지나치게 크다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고 있는 시점에서 내용량 부피 대비 포장외용적의 비율을 이용한 부피 지수를 산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기초화장품 중 국내외 화장품 200개 이상을 분석하여 화장품 용기 부피지수(Lcos) 및 지수를 이용한 최적 기준, 권고기준 및 상한기준의 설계 기준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수거된 국내외 화장품의 약 37%는 권고 기준 혹은 최적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약 15%는 상한기준을 넘어 과대한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피지수가 1.0에서 1.2 사이에 약 31%의 화장품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향후 개발 과정에서 약간의 용기 부피 감량화 노력에 의해 권고기준 내로 디자인 변경이 용이한 그룹에 속한다고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화장품용기 부피지수의 이용은 화장품이 과대포장 되어 있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 제품용량 대비 적절한 외용적 및 재질 사용량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업계에서 자율적으로 연구된 지수를 반영하여 화장품 용기의 설계 및 생산 시 기준점을 잡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