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persimmon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초

단감(Diospyros kaki)의 동상해 평가를 위한 엽록소 형광 이미지 분석법의 활용 (Application of Chlorophyll a Fluorescence Imaging Analysis for Selection of Rapid Frozen Sweet Persimmon Fruits)

  • 유성영;박소현;이민주;박종용;강홍규;강성구;김태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0-216
    • /
    • 2015
  • BACKGROUND: In korea, sweet persimmon(Diospyros kaki) cultivation is front to abiotic stresses such as frost damage at fruit maturing stage. The cold and rapid freezing stresses are most damaging to fruit production which is most actively progressed in late fal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hlorophyll fluorescence imaging(CFI) technology to determine the degree of frost damage in sweet persimmon fruits. METHODS AND RESULTS: The sweet persimmon fruits were measured separately for each treatment(15, 30, 60 minutes) at 24 hours after treatment(HAT) rapid freezing. A CFI FluorCam (FC 1000-H, PSI, Czech Republic) was used to measure the fluorescence images of the fruits. In rapid freezing for 15 minutes, photochemical parameters were not changed. However, in rapid freezing for 30 and 60 minutes, photochemical parameters were lowered. Especially, $F_m$, $F_v$, $F_v/F_m$ and ${\Phi}PSII$ values were declined under rapid freezing. CONCLUSION: In our study, it was clearly indicated that the rapid freezing could be a stress in sweet persimmon fruits. The CFI analysis and its related parameters are applicable as a rapid assessing technique for the determination of frost damage.

떫은감 껍질로부터 분리한 탄닌을 이용한 폐수처리 효과 (Effect of Wastewater Treatment with Tannins from Peel of Astringent Persimmon Fruits)

  • 조영제;천성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9-304
    • /
    • 2005
  • 감 껍질 추출물을 Sephadex LH-20 및 MCI-gel CHP 20 column을 이용하여 2개의 주요 탄닌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NMR, IR, FAB-mass 등을 이용한 구조 동정 결과(+)-catechin, (+)-gallocatechin으로 확인되었다. 소석회와 보조응집제로 정제 탄닌을 처리할 때 얻어진 탁도, T-N, T-P 및 CODcr 제거율은 gallocatechin이 catechin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탄닌 분자의 -OH기가 타 물질과의 반응성이 높아 하수속의 물질과 결합을 하게 되는데 분자구조에 이러한 -OH기가 많을수록 응집 침전하는 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단일 탄닌을 첨가하는 것보다 혼합 탄닌 실험군이 탁도, T-N, T-P 및 CODcr 제거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물질 간 synergy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물분말염료의 제논광에 의한 면직물의 발색효과 (Effect of Color Developing by Xenon Irradiation on Cotton Fabrics Dyed with Persimmon Extract Powder Dye)

  • 하수영;장정대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6-64
    • /
    • 2013
  • In order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color developing for prepared persimmon extract powder dyes, purified and freeze-dried powder from immature persimmon fruit. The cotton fabrics dyed with 1% concentration of powder dy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to the color developing effects of the powder dye for the dyed cotton fabrics irradiated with xenon light. Powder dye is difficult to dissolve in water resulting in a colloidal and viscous solution. The problem of solubility in water was resolved by setting the dyeing conditions by wetting the dye with alcohol in advance and dissolving in warm water($50{\sim}60^{\circ}C$). Samples had no alkaline conversion in making process of powder dyes showed high color developing effect(${\Delta}E^*$, K/S). Samples showed decreased ${\Delta}E^*$, K/S with increased alkaline conversion in making process of powder dyes. Samples that had alkaline effects displayed easy early color developing to be advantageous in the process of natural pattern in art work.

감물염색 직물의 추출물에 의한 항알러지 활성의 분석 (Analysis of Anti-Allergic Activities by Extracts from Persimmon Sap-Stained Rayon and Cotton Fabrics)

  • 이상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94-798
    • /
    • 2010
  • 알러지성 피부염은 현재 영유아 4인 중 1명이 발병할 정도로 심각한 질환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청도감물염색을 한 직물 2종(인견과 면)의 물 추출물이 알러지성 피부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피부의 표피에 면역관련의 세포의 수를 감소시킴을 H&E 염색으로 확인하였으며, 알러지성 피부염에 직접 관련이 있는 분자표적인 $CD4^+$ cell의 분포를 비교하여 본 결과, 유의성 있게 항알러지성 피부염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MMP-2와 MMP-9의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들의 발현도 감소함으로 감물염색에 사용된 감의 유용성분 예를 들면 폴리페놀 성분 등이 알러지성 피부염의 억제활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Pestalotiopsis kaki sp. nov., a Novel Species Isolated from Persimmon Tree (Diospyros kaki) Bark in Korea

  • Das, Kallol;Lee, Seung-Yeol;Jung, Hee-Young
    • Mycobiology
    • /
    • 제49권1호
    • /
    • pp.54-60
    • /
    • 2021
  • During the screening of Korean microflora, a fungal strain (KNU-PT-1804) belonging to the genus Pestalotiopsis was isolated from persimmon tree (Diospyros kaki) bark collected from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 The strain, KNU-PT-1804, produced smaller conidia compared with related species P. kenyana, P. neglecta, and P. telopeae. The novelty of the strain was confirm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using molecular dataset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β-tubulin (TUB2),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1α) genes. Molecular phylogeny strongly supports that the strain is distinct from previously known Pestalotiopsis species, and we proposed the novel species, Pestalotiopsis kaki sp. nov., and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감장아찌의 제조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및 최적제조조건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and its Optimal Preparation Conditions)

  • 김혜영;정희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97-702
    • /
    • 1995
  • 떫은감 품종의 하나인 비단시를 숙성정도를 달리하여 수확하고 이들의 감장아찌 제조조건을 염농도, 침지 온도, 침지 시간, 된장첨가량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침지액의 초기염도는 $7.5{\sim}15%$였고 침지 20일까지 급격하게 낮아져서 $6.0{\sim}12.0%$가 되었으며 초기염도나 침지 옥도가 높을수록 크게 감소하였고 된장 첨가시에는 염도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특히 침지 40일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수용성 탄닌 함량은 염농도에 관계없이 침지 10일째까지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이러한 변화 경향은 된장 첨가량과 원료감의 숙성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감장아찌 침지액의 pH는 영농도가 높을수록 침지 초기의 pH 감소폭이 컸으나 침지 후기에는 염농도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된장을 첨가하면 전체적인 pH 감소 폭이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침지 온도에 따른 pH 변화는 $5^{\circ}C$에서 아주 느리게 낮아졌으며 원료감의 숙성정도와는 무관하였다. 감장아찌중의 염분 함량은 침지중에 계속 증가하였고 침지액의 염도가 12.5% 이상일때 침지 30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된장 첨가량과 원료감의 숙성정도를 달리하여도 증가하는 경향은 거의 비슷하였는데, 특히 된장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장아찌중의 염분 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침지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명도는 감소하고 색도는 적색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도는 침지 15일째까지 증가하다가 침지 40일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였는데 숙성된 감은 경도가 계속 낮아졌다. 이와같이 감장아찌 제조 과정에서의 이화학적 변화와 관능검사 결과를 종합해 볼때 감장아찌는 숙성이 약간 덜된 연한색 원료감을 염도 10.0%, 침지온도 $15^{\circ}C$에서 40일간 침지했을때 가장 좋은 제품을 얻을 수 있었고 된장을 20% 첨가했을때 감장아찌의 총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 PDF

떫은감 '청도반시'의 알코올 발효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for 'Cheongdobansi'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

  • 이수원;이오석;장세영;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0-494
    • /
    • 2006
  • 청도반시를 이용하여 감와인 및 증류주 개발을 위해 감과실의 알코올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코올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별한 결과 S. kluyveri DJ97이 알코올 함량 10.8%, 알코올 수율 96.3%로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을 함량은 935 ppm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기 $^{\circ}Brix$와 가수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초기 $22^{\circ}Brix$, 가수 120%(v/w)군간에서 알코올함량 1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ectinase 무처리군에서 알코올 함량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Pectinase 처리군은 무처리군에 비해 acetaldehyde, n-propanol 및 isobutanol 함량은 낮게 나타났으나 methanol 함량은 증가시키므로 pectinase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곶감부산물의 급여가 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Dried Persimmon By-produc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6-441
    • /
    • 2005
  • 본 연구는 곶감 부산물을 사료에 첨가하여 그 첨가 수준(0, 1, 3, $5\%$)에 따라 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broiler 160수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pH는 유의성이 없었고, 전단력과 가열 감량은 대조구보다 곶감 부산물 급여구인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보수성은 대조구에서 높았다(P<0.05). 육색은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a^*$$b^*$값이 높아 붉은색을 띠고 있었다. 관능 검사 결과 곶감 부산물 급여구에서 육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P<0.05). 무기물 중에서 P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육계 사료내에 곶감 부산물의 급여는 육향 등의 관능 검사의 결과를 개선할 것으로 사료된다.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분석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서지형;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3-156
    • /
    • 2001
  • 2단계 발효로 제조한 감식초를 static headspace-GC법과 SPME-GC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각각 포집 분석하여 상호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포집조건은 $80^{\circ}C$에서 20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감식초 휘발성 성분의 total FID response는 CW/DVB fiber를 이용한 SPME법에서 total peak area $18.18{\times}10^6$로, static headspace-GC법의 total peak area $1.35{\times}10^6$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감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으로 acetic acid, ethyl acetate, 3-hydroxy-2-butanone, ethanol, phenethyl alcohol 등이 확인되었으며, static headspace-GC법에서는 acid류 3종, aldehyde류 3종, alcohol류 5종, ester류 8종 및 ketone류 1종이 확인되었다. SPME-GC법에서는 acid류 6종, aldehyde류 7종, alcohol류 6종, ester류 9종, hydrocarbone류 2종, ketone류 1종, 기타 3종으로, 총 34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benzaldehyde, phenethylacetate, phenethylalcohol 등의 비율이 headspace-GC법에 비해 높았다.

  • PDF

효모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을 위한 감껍질 전처리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Pretreatment of Persimmon Peel for Ethanol Production by Yeast Fermentation)

  • 이종섭;박은희;권세영;여수환;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2-2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감가공 과정에서 매년 막대한 양으로 발생하는 감껍질을 이용하여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하여 묽은 황산으로 감껍질을 전처리하는 조건을 중심합성계획법과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하여 최적화하였다. 감껍질의 최적 전처리 조건은 황산농도 1.77%와 열처리 시간 26.4분이었으며 RSM 모델에서 예측한 수준과 비슷한 수율로 환원당을 생성하였다. 감껍질 전처리물을 이용한 효모발효에서 혐기적 배양조건에서 15.52 g/l의 에탄올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매년 막대한 양으로 발생하는 감껍질을 활용하는 방안 중의 하나로써 효모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