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eld component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초

Selec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Pseudomonas spp. That Enhanced Productivity of Soybean-Wheat Cropping System in Central India

  • Sharma, Sushil K.;Johri, Bhavdish Narayan;Ramesh, Aketi;Joshi, Om Prakash;Sai Prasad, S.V.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1호
    • /
    • pp.1127-1142
    • /
    • 2011
  •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elect effective Pseudomonas sp. strains that can enhance the productivity of soybean-wheat cropping systems in Vertisols of Central India. Out of 13 strains of Pseudomonas species tested in vitro, only five strains displayed plant growth-promoting (PGP) properties. All the strains significantly increased soil enzyme activities, except acid phosphatase, total system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in field evaluation; soil nutrient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Available data indicated that six strains were better than the othe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coupled cluster analysis of yield and nutrient data separated these strains into five distinct clusters with only two effective strains, GRP3 and HHRE81 in cluster IV. In spite of single cluster formation by strains GRP3 and HHRE81, they were diverse owing to greater intracluster distance (4.42) between each o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P3 and HHRE81 strains may be us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efficiency of soybean-wheat cropping systems in Vertisols of Central India. Moreover, the PCA coupled cluster analysis tool may help in the selection of other such strains.

섬유소분해균의 분리 및 그의 생리학적 특성 (Isolation of Cellulolytic Microorganisms an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홍순우;하영칠;민경희;이영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4
    • /
    • 1976
  • Celluloytic microorgnasims were isolated form the various sources and four of them were identified as Trichoderma roningi,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chrysogenum, and Streptomyces sp. The induction of extracellular5 cellulase of these species in the liquid culture media containing carboxymethylcellulose (CMC) or Avicel as inducer showed that CMC was a better effective inducer for the production of CMCase(Cx cellulase component) as well as Avicelase(C$_{1}$ cellulase component) than Avicel. It is believed that certain hydrolysis products of cellulose(CMC) could serve as an inducer for an enzyme synthesis. In T. roningi, Asp. niger, and Strptomyces sp., the optimum temperature of CNCase on CMC-culture medium was 50.deg. but temperature around 40.deg.C was found to be optimum for the activities of CMCase prepared from P.ehrysogenum. The optimum temperature for Avicelase activitiles on Avicel-culture media of T. roningi and P. chrysogenum was $40{\circ}C$ whereas temperature $50{\circ}C$ was found to be optimum for Avicelase from A.niger and Streptomyces sp. The optimal activities of these CNCase and Avicelase prepared from. T. ronigi, Pen.chrysogenum and Streptomyces sp. were found similarly to be at pH's around 5.4 and 6.0 while pH 4.8 was optimum for the activities of CMCase and Avicelase from A.niger, indicating that A.niger in acidic media would yield an enzyme of high activity.

  • PDF

생태형이 다른 콩의 파종기가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 in Two Ecotypes of Soybean)

  • 주용하;정길웅;주문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6-94
    • /
    • 1996
  • 생태형이 서로 다른 품종들을 공시하여 파종기를 달리 했을 때 이들의 생태 및 생육특성과 수량성에 대한 생태형 및 연차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콩의 재배 및 생리 생태연구에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 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현율은 두 생태형 모두 파종기간,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출현기간은 두 생태형 모두 1993년에 비해 1994년이 더 짧아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2. 두 생태형 모두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개화, 결실 및 성숙일수는 단축되었으며, 단축폭은 가을콩형에 비해 여름콩형이 작게 나타났으며, 연차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경장, 경직경, 주경절수, 분지수, 분지절수는 생태형 및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 파종기가 늦어 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4. 두 생태형 모두 파종기지연 및 연차간에 개체당협수는 차이가 있었고, 협당립수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100립중은 파종기에 따라 여름콩형이 감소한 반면 가을콩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체당 공협수는 생태형간, 연차간 및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고온이었던 1994년에 여름콩형에 비해 가을콩형이 공협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국산 침·활엽수재의 열분해 및 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yrolytic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ftwood and Hardwood)

  • 김대영;강성호;정헌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31-42
    • /
    • 2007
  • 국산 침 활엽수재의 열분해 및 해부학적 특성에 관해 조사하기 위해 침엽수재 3종(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및 활엽수재 3종(단풍나무, 물푸레나무, 굴참나무)의 화학적 성분분석, TG-DTA (Thermogravimetric Analysis &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메틸렌블루 흡착성능(MBA) 및 SEM 관찰을 하였다. TG-DTA에서 시료는 $1{\ell}/min$$N_2$ 가스가 유입되는 조건하에 $10^{\circ}C$/min의 숭온속도로 최대 $10^{\circ}C$까지 탄화되었다. 화학적 성분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전형적인 목재 주성분의 함량을 나타냈다. TG-DTA 결과, 침엽수재의 탄화수율이 활엽수보다 높았으며 목재 주성분 중 리그닌의 탄화수율이 가장 높았다. 모든 시료가 전형적인 목재 열분해의 TGA, DTG, DTA 곡선을 나타냈지만, 침 활엽수재 간에 몇 가지 차이점이 나타났다. 리그닌의 함량이 열분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리그닌의 분자구조에 따라 중량감소와 탄화수율이 크게 달라졌다. 메틸렌블루 흡착성능 시험 결과 침엽수재의 MBA가 활엽수재보다 높았으며 소나무의 MBA가 가장 높았지만, 활성탄이나 백탄보다는 약 23배, 4씩 낮았다. SEM 관찰 결과 탄화 과정에서 전체적인 목재의 구조와 목재 섬유의 섬유구조가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앙시기에 따른 유색미 품종의 수량 및 성분 변화 (Yield and Chemical Component of Grain a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s in the Colored Rice Varieties)

  • 이순계;김현호;이재철;신철우;김창영;변종영;이종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5-151
    • /
    • 1999
  • 이앙시기 이동이 유색미인 흑진주벼와 흑남벼의 수량 및 주요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중부지역인 대전에서 5월 18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이앙 재배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부지역에서 출수기는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지연되었으나 만식인 6월 18일 이앙에서도 출수기는 흑진주벼에서는 8월 9일, 흑남벼는 8월 24일로 안전출수한계기 이전에 출수되었다. 2, 이앙시기별 m$^2$당 수수는 흑진주벼의 경우는 이앙시기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흑남벼에서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m$^2$당 영화수는 흑진주벼에서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되었으나 흑남벼는 6월 8일 이앙에서 제일 많았다. 3 중부지역에서 수량성을 높일수 있는 이앙적기는 흑진주벼의 경우는 만식일수록 수량이 많아 6월 중순이었고, 흑진주벼는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 사이 이었다. 4. 530nm에 서 측정한 상대흡광도값(흡광도x농도)은 품종별로 보면 흑남벼에 비해 흑진주벼에서 월등히 컸다. 이앙시기별로는 흑남벼에서는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되었으나 흑진주벼에서는 5월 28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그 이후에는 이앙시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5. 현미 중에 함유된 양이온 즉 K, Ca, Mg 및 Fe 함량은 일반벼인 동진벼에 비해 향미인 흑진주벼와 흑남벼에서 많은 경향이었고, 이앙시기별로는 K, Ca, Mg의 함량은 이앙시기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Fe의 함량은 조식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 PDF

유기질비료의 사용에 따른 토양 및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ing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Rice and Soil)

  • 오태석;김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6-42
    • /
    • 2013
  • 벼 재배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유기질비료의 활용성 시험에서 유기질비료의 사용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서는 pH와 유기물함량은 유기질비료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생육특성 면에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육초기에는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를 같이 사용한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생육후기에서는 유기질비료를 12 kg/10 a를 시비한 처리구7이 엽면적과 생체중, 건물중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수량구성요소 면에서는 영화수나 등숙비율은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수량 면에서도 대조구와 처리구들이 10 a당 500 kg이상의 수량을 보였고 가장 높은 수량은 처리구7이 538 kg/10 a 나타내고 있으며 미질특성 면에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기질비료의 시비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벼 재배시 유기질비료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기질비료를 시비할 시에는 토양의 물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벼의 수량구성측면과 현미의 품질측면에도 관행적으로 시비하던 화학비료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어 유기질비료는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비료로서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합리적인 사용량은 10 a당 267 kg을 사용하는 것이 품질과 수량확보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간척지 벼 재배시 토양 및 관개수 염의 안전 한계농도 (Critical Saline Concentration of Soil and Water for Rice Cultivation on a Reclaimed Saline Soil)

  • 최원영;이규성;고종철;최송열;최돈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8-242
    • /
    • 2003
  •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 염농도별(저염; 0.1-0.2%, 중염; 0.3~0.4%)로 분얼기 관개수 염수처리 농도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토양 및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짧았고 주당경수도 적었으며, 특히 중염 토양에서 관개수 염농도 0.3% 이상에서는 모두 고사되었다. 나. 토양 및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출수는 지연되었으며, 토양 염농도간에는 중염 토양에서 저염 토양보다 2-5일 정도 늦었다. 다. 간장은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짧았고 중염 토양이 저염 토양보다 짧았으며. 수장도 같은 경향이었다. 라. 저염토양에서는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textrm{m}^2$ 당립수가 적고 등숙비율이 낮아, 쌀수량은 민물 관개 수량에 비해 관개수 0.l%는 92%, 0.3%는 84%, 0.5%는 56%, 0.7%는 36% 수준이었다. 중염토양의 쌀수량은 저염토양 민물 관개 수량에 비해 민물 관개는 62%, 0.1% 관개수에서는 30% 수준이었다. 따라서 관개수 염농도가 저염 토양은 0.7%, 중염 토양은 0.3%까지 생육은 가능하나 수량 감소가 커서, 소득지수로 볼때 간척지 쌀 생산 한계 관개수 염농도는 저염 토양은 0.5% 이하에서, 중염 토양은 민물 관개수에서 가능하였다.

Evaluating different interrow distance between corn and soybean for optimum growth,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of intercropped forages

  • Kim, Jeongtae;Song, Yowook;Kim, Dong Woo;Fiaz, Muhammad;Kwon, Cha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2호
    • /
    • pp.1.1-1.6
    • /
    • 2018
  • Background: Maize fodder is being used as staple feed for livestock but it lacks protein and essential amino acids; lysine and tryptophan. Intercropping maize with leguminous soybean crop is promising technique under limited land resources of South Korea but it can only give considerable advantages when adequate distance is provided between corn and soybean rows. Main aim of present study was to find-out adequate distance between corn and soybean seeding rows for optimum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intercropped forage. Methods: Different interrow distances between corn and soybean were evaluated under four treatments, viz. 1) Corn sole as positive control treatment 2) Zero cm between corn and soybean (control); 2) Five cm between corn and soybean; 3) 10 cm between corn and soybean, with three replicates under randomized block design. Results: Findings depicted that height and number of corn stalks and ears were similar (P > 0.05) among different treatments. Numerically average corn ear height was decreased at zero cm distance. Dry matter percentage in all components; corn stalk, corn ear and soybean was also found not different (P > 0.05) but dry matter yield in component of corn ear was lower (P < 0.05) at zero cm distance as compared to that of 5 and 10 cm interrow distances. In case of nutritive value,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in intercropped corn was also found lower (P < 0.05) at zero cm distance than that of 5 and 10 cm interrow distances between corn and soybean seeding rows. Substantial decrease in dry matter yield of maize ear at zero cm distance might be attributed to factor of closed interrow spacing which made interplant competition more intensified for light interception, necessary for photosynthetic activity. Lower dry matter yield in ear also reduced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 intercropped maize because it was determining factor in calculation of digestible nutrients. The optimum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at wider interrow distance i.e. 5 cm between corn and soybean might be due to adequate interseed distance. Conclusion: Conclusively, pattern of corn and soybean seeding in rows at 5 cm distance was found suitable which provided adequate interrow distance to maintain enough mutual cooperation and decreased competition between both species for optimum production performance and nutritive value of intercropped forage.

목화(Gossypium hirsulum L.) 수량관련 형질의 잡종강세, 조합능력 및 유전성분분석 (Heterosis, Combining Ability Analysis, and Component of Genetic Variation for the Yield related Character in Cotton(Gossypium hirsulum L))

  • 박규환;김경민;곽태순;이화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8-176
    • /
    • 2007
  • 본 연구는 목화의 실용형질 향상으로 새로운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육지면 5개 품종과 이들을 이면교잡 하여 얻은 $F_1$ 10개 조합을 재료로 주당 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종자장, 종자폭, 1삭 조면중 등 6개 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조합 능력, 유전성분, 유효유전자수, 유전력 등을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Heterosis와 heterobeltiosis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 1삭 조면중에서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GCA와 SCA는 모든 형질에서 고도로 유의하였다. 평균우성정도는 주당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및 종자폭에서 초우성으로 나타났고, 종자장은 완전우성, 1삭 조면중은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유효유전자수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에서 2개, 1삭 종자수, 종자폭 그리고 1삭 조면중에서 1개로 추정되었다. 협의의 유전력은 주당 수량, 주당 삭수 및 1삭 종자수에서는 낮았으나 종자폭에서는 높았다. 광의의 유전력은 1삭 조면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높았다.

$F_2$$F_5$ 상관에 의한 벼 Sink 및 Source 관련형질의 유전력 추정 (Heritability Estimates of Sink and Source Characters by $F_2$ and $F_5$ Correlation in Rice)

  • 하운구;김호영;최해춘;임상종;서학수;임무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51-156
    • /
    • 2002
  • 초다수성 품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새로이 도입된 신초형 소얼 수중형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F$_2$-F$_{5}$상관에 의한 sink-source관련 형질의 유전력을 추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일품벼에 YR15965 Acp 33이 교배된 F2와 F5세대간 상관정도에 의해 추정된 sink 및 source관련 형질들의 유전력은 specific leaf area, sink-source ratio와 harvest index의 0.009, 0.121, 0.013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0.224이상의 높은 유전력을 보였다. 2. IR 66738-118-1-2에 가야벼가 교배된 후대에서는 모든 sink 및 source관련 형질이 0.001-0.286의 낮은 유전력을 보였다. 3. Sink 및 source관련 형질들과 수량과는 두 조합 모두 높은 싱관정도를 보였으나 등숙률과는 IR 66738-118-1-2에 가야벼가 교배된 후대에서는 대부분의 형질이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일품벼에 YR 15965Acp33의 교배 후대에서는 등숙율과 source형질과는 높은 정상관이, sink capacity와 sink-source ratio등 sink형질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