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GA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41초

골관절염 대상자에게 간호중재로 적용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pplied as Nursing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 김효원;노경민;박미현;이현숙;진수희;황지숙;손정태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9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AT) as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A).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e PRISMA statement guidelines. To search for studies related to the effects of CAT applied as nursing care in OA patients, a combination of the keywords 'osteoarthriti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nursing care' were used. Finally, 12 articles retrieved from five electronic database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Results: Twelv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interventions: Tai chi exercise, yoga, qigong, massage. flax seed compress, music, and meditation relaxation, administered by a nurse, and were RCTs. Outcome variables used for pain evaluation were WOMAC and VAS. The duration of interventions varied from 2 to 12 weeks. All twelve interven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utcome variables. Conclusion: CAT applied i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OA significantly reduced pain and improved mobility. When planning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t is recommended to combine multiple therapies, considering the duration of effect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design the study as an RCT to secure the evidence for practical application.

Clinical Evaluation of Selected Naturopathic Therapeutic Procedures in Individuals with Low Back-pain

  • Attanayake, AM Pushpika;Somarathna, KIWK;Vyas, GH;Dash, SC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1-76
    • /
    • 2021
  • Background: The understanding of back-pain as one of the commonest clinical presentations, made the path to the present study. More than three-quarters of the world's population experience back-pain at some time in their lives Purpose: The present study has evaluated the selected Naturopathic therapeutic procedures on individuals with low back-pain. Methods: Thirteen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viz., Group A, Naturopathic group and Group B, Control group. One patient discontinued. Naturopathic group was treated with mud pack, aromatherapy massage with Eucalyptus oil, acupressure, steam, wet trunk pack, exercises, relaxation and breathing exercises. Advice for life style and diet was given for patients of both the groups. The effect of the therapy was assessed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Particular scores drawn for Naturopathic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ndividually analyz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the values were compared using standard statistical protocols. Results: Naturopathic intervention revealed 100% relief i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i.e., 6 out of 14 parameters showed statistically highly significant P < 0.01 results, while 8 showed significant results P < 0.05). Conclusion: Statistically highly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point out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multi factorial low back-pain with a multi focused Naturopathic treatment approach. Such encouraging results may pave the way for a future study on a large sample in a longer duration incorporating clinical investigations.

Influence of Co incorporation on morphological,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nanorods synthesized by chemical bath deposition

  • Iwan Sugihartono;Novan Purwanto;Desy Mekarsari;Isnaeni;Markus Diantoro;Riser Fahdiran;Yoga Divayana;Anggara Budi Susila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179-192
    • /
    • 2023
  • We have studied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non-doped and Co 0.08 at.%, Co 0.02 at.%, and Co 0.11 at.% doped ZnO nanorods (NRs) synthesized using the simple low-temperature chemical bath deposition (CBD) method at 95℃ for 2 hour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confirmed the morphology of the ZnO NRs are affected by Co incorporation. As observed, the Co 0.08 at.% doped ZnO NRs have a larger dimension with an average diameter of 153.4 n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entre for Diffraction Data (ICDD) number #00-036-1451, the x-ray diffraction (XRD) pattern of non-doped and Co-doped ZnO NRs with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ZnO NRs in the (002) plane possess polycrystalline hexagonal wurtzite structure with the space group P63mc. Optical absorbance indicates the Co 0.08 at.% doped ZnO NRs have stronger and blueshift bandgap energy (3.104 ev). The room temperature photoluminescence (PL) spectra of ZnO NRs exhibited excitonicrelates ultraviolet (UV) and defect-related green band (GB) emissions. By calculating the UV/GB intensity, the Co 0.08 at.% is the proper atomic percentage to have fewer intrinsic defects. We predict that Co-doped ZnO NRs induce a blueshift of near band edge (NBE) emission due to the Burstein-Moss effect. Meanwhile, the redshift of NBE emission is attributed to the modification of the lattice dimensions and exchange energy.

Development of a campus-based inter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food liter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A qualitative formative study

  • Eunji Ko;Eunjin Jang;Jiwon Sim;Minjeong Jeong;Sohyun Park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95-50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ampus-based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food literacy (FL)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the initial phas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FL intervention studies and held in-depth interviews with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improving and practicing FL. Expert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nutrition education, marketing, and service design professionals. The results of this phase led to the creation of an initial curriculum draft. In the second phase, a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with young adults to assess the acceptability of the developed curriculum. After the follow-up survey, additional meetings were conducted with the aforementioned experts, and the curriculum was further refined based on their input. Results: An 11-week FL intervention program was devised using constructs from the Social Cognitive Theory. The weekly curriculum consisted of 90-min theory-based and 90-min hands-on experience sessions. Three primary aspects of FL were covered: nutrition and food safety, cultural and relational dimensions, and socio-ecological aspects. Program highlights included cooking sessions for crafting traditional Korean desserts, lectures on animal welfare, insights into zero-waste practices, and communal eating experiences. Based on the study team's previous research, the program also addressed mindful eating, helping participan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eating habits, and providing strategies to manage negative emotions without resorting to food. Yoga sessions and local farm visi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to promote holistic well-being. Conclusions: This study elucidated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creating a campus-based curriculum to enhance FL among university students, a group particularly susceptible to problematic eating behaviors and low FL levels. The developed program can serve as a blueprint for adaptation to other campuses seeking to bolster students' FL.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Analysis of Program Preference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 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12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산림치유 잠재수요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가 무엇인지 파악하게 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반 성인 남 여 620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가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남성은 여성에 비해 숲속 운동회, 캠핑을 선호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프로그램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다른 연령과 비교해서 20대는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숲속 사진치료 등, 30대는 자유롭게 숲속 걷기, 상담, 강의 듣기(스트레스, 대인관계 관련), 비전 세우기 등, 40대는 명상,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맨발로 숲속 걷기 등, 50대는 호흡법 호흡체조, 요가, 등산, 묵언 산행, 자연음식 먹기 등의 프로그램을 각각 특히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학생은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등을, 교사는 자유롭게 숲속걷기, 등산, 숲속 독서,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캠핑 등을, 주부는 요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등을, 전문 연구직은 호흡법 호흡체조, 묵언산행, 명상, 숲속 잠자기 등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Preference Analysis of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김윤희;김은진;김동준;연평식;최병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50-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일반 성인 남 여 516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37개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프로그램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많은 공변량이 확인되어, 자료를 의미있게 축약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37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축약하기 위하여 베리멕스 직각회전법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7개의 프로그램군(1: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 2: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 3: 캠핑 산림욕중심 프로그램, 4군: 식이중심 프로그램, 5: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 6: 명상중심 프로그램, 7: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과 7개의 독립프로그램(1: 숲속 잠자기, 2: 비전 퀘스트, 3: 물속에 손과 발 담그기 4: 신발 신고 숲속 걷기, 5: 숲 경관 보기, 6: 등산, 7: 숲속 운동회)으로 축약되었다. 이를 중심으로 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등산 프로그램에 대해서 남 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캠핑 산림욕 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숲속 운동회 프로그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따라서 심리치료 중심 프로그램군,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등산, 숲속 운동회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에 따라서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신발 신고 숲속 걷기, 숲 경관 보기, 등산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냐시오 '영신수련'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A Jungian Perspective on 'Spiritual Exercises' of St. Ignatius)

  • 金正澤
    • 심성연구
    • /
    • 제25권1호
    • /
    • pp.27-64
    • /
    • 2010
  • 크리스챤 영성의 관점에서는 '영성(靈性)'이란 바로 우리가 우리 자신이 되게 하는 영적 씨앗으로써 누구나 그 씨앗을 발아시켜 자기 자신의 온전한 본 모습을 찾아가는 길이다. 자기실현(自己實現) 또는 개성화과정은 융의 중심사상으로, 개인적 성격의 발달을 지향하는 분화의 과정이다. 달리 말해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을 이루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기능을 온전히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성(全體性)을 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이는 인간 누구에게나 주어진 삶의 중심과제일 수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영성신학적인 견해와 분석심리학적인 견해가 서로 만날 수 있는 길이 보인다. 스위스 취리히(Zurich)의 연방기술연구소에서 1938년부터 1941년까지 열렸던 특강 시리즈에서, 융은 동양과 서양의 전형적인 상징과 변환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요가와 이냐시오 성인의 '영신수련', 그리고 연금술에 대해 강의하면서, 서양을 대표하는 인간 정신의 변환의 도구로써 이냐시오의 '영신수련'을 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냐시오의 '영신수련'에 대한 융의 견해를 중심으로 '영신수련'을 개성화의 과정과 비교해봄으로써 그 분석심리학적 함의를 조명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농촌 노인의 일.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감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Groups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in Rural Elderly)

  • 김종인;김윤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2호
    • /
    • pp.321-353
    • /
    • 201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ays of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by investigating their work and leisure activity, two significant axis of the life in later life.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d one assistant researcher visited house, senior citizen's center and health center, in order to have interviews with senior citizen above 65,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ize of the farm land which each senior citizen works on is $9,237.92m^2$ and they mostly work for economic reason. During farming season, they work on average 8.62 hour per day. As primary reasons for why farming work is difficult, "insufficient income" was picked. In fact, the average annual income senior citizens earn from farming is about 15.4 million won. 49.1% of sample senior citizens work both on watered farm and farm, and they are engaged in farming 48.82 years on average, showing that most of their lives have been spent on farming.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most senior citizens showed high intention to continue farming work further. Second, senior citizens turn out to spend their leisure time mostly on public leisur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hearing radio and gatherings with families, relatives. However, individual activities such as meditation, yoga, drawing and calligraphy turn out to be low because they require foundations to enjoy. Third,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27.09%),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24.42%), group centered to work(23.75%), and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23.75%). Fourth, the group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male senior citizen, higher educational level, living in elderly couple households, and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evel belonged to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But senior citizen aged above 65 years old and working for their livelihood belonged to the group centered to work, and most of female and senior citizen aged above 80 years old belonged to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Finally,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of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 were higher in life satisfaction than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work. The above result indicates that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 depends upon leisure activity rather than work.

만성요통을 가진 중년 여성의 운동요법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 분석 (Analyses of Studies on Exercise Therapy for Middle-Age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in Korea)

  • 곽혜원;김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89-39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2005-2014) 만성 요통을 가진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된 운동중재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운동 중재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문헌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kr),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http://kiss.kstudy.com)와 DBpia(http://www.dbpia.co.kr)를 통해 검색하였다.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2008) 가이드라인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연구자가 원본을 확인하고, 선별하여 총 12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한 논문 중 간호학 전공 논문은 1편이었으며, 11편은 타과 논문이었다.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논문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내용을 종합한 결과, 10점 만점에 8점인 연구가 1편이었으며, 5-6점인 연구는 8편 이었고, 3-4점인 연구가 3편이었다. 운동 중재내용을 분석한 결과 평균 55분을 시행하였으며, 1주일에 평균 3.1회의 빈도로 총 시행횟수는 평균 29.7회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요부신경근 조절운동, 요가운동, 수중운동이 중년여성의 요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이를 간호학 중재로 활용하여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유방암 생존자의 장기간 복합 운동중재에 따른 기능적 체력과 골밀도의 변화 (The Change of Function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on a Long-Term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 김양숙;김미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68-973
    • /
    • 2008
  • 본 연구는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40-60대의 기혼 중년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을 1년간 실시하여 골다공증약과 운동을 병행한 군과 운동군으로 나누어 기능적 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자총 24명을 두군으로 나누어, 이중 18명은 골다공증 범위(T-score=$-2.2{\pm}0.8$)에 있으며 복합운동만을 실시하였다. 나머지 6명은 골다공증진단(T-score=$-4.6{\pm}0.9$)을 받고 골다공증약(Alendronate 70 mg/주 당)을 처방 받아 복용하면서 복합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능적 체력 요소 중 좌전굴, 악력, 윗몸일으키기에서는 시기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12개월 후, 골 밀도의 변화는 복합운동군(N=18)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복합운동과 골다공증약 복용(N=6)을 병행하고 있는 그룹은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따라서 하타요가, 탄성밴드 및 볼 운동이 포함된 장기간 점진적 강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유방암절제술 여성의 기능적 체력의 개선 및 골밀도 지연에 효과가 있었고, 특히 운동과 골다공증약을 병행한 그룹에서 골다공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므로, 유방암 수술 후 회복기 운동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앞으로 대상자 수를 늘려 골다공증약과 운동과의 병행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유방암 수술 후 운동중재프로그램의 유형 및 강도를 달리하여 유방암과 골밀도 및 운동과의 관련성을 연구 해 볼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