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3/jecd.2012.19.2.321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Groups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in Rural Elderly  

Kim, Jong-In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Kim, Yun-Jeong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v.19, no.2, 2012 , pp. 321-35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ays of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by investigating their work and leisure activity, two significant axis of the life in later life.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d one assistant researcher visited house, senior citizen's center and health center, in order to have interviews with senior citizen above 65,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ize of the farm land which each senior citizen works on is $9,237.92m^2$ and they mostly work for economic reason. During farming season, they work on average 8.62 hour per day. As primary reasons for why farming work is difficult, "insufficient income" was picked. In fact, the average annual income senior citizens earn from farming is about 15.4 million won. 49.1% of sample senior citizens work both on watered farm and farm, and they are engaged in farming 48.82 years on average, showing that most of their lives have been spent on farming.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most senior citizens showed high intention to continue farming work further. Second, senior citizens turn out to spend their leisure time mostly on public leisur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hearing radio and gatherings with families, relatives. However, individual activities such as meditation, yoga, drawing and calligraphy turn out to be low because they require foundations to enjoy. Third,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27.09%),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24.42%), group centered to work(23.75%), and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23.75%). Fourth, the group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male senior citizen, higher educational level, living in elderly couple households, and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evel belonged to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But senior citizen aged above 65 years old and working for their livelihood belonged to the group centered to work, and most of female and senior citizen aged above 80 years old belonged to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Finally,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of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 were higher in life satisfaction than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work. The above result indicates that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 depends upon leisure activity rather than work.
Keywords
Rural Elderly; Farm Work; Leisure Activity; Life Satisfaction; Groups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령자통계. (2010). 2010고령자통계. 통계청.
2 고령자통계. (2011). 2011고령자통계. 통계청.
3 권구영, & 최정민. (2007).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38, 51-77.
4 권중돈, & 조수연. (2000). 위험군 노인집단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학술대회자료집, 75-81.
5 김경란, 이경일, & 정명수. (2001). 댄스스포츠 참여가 의사소통, 갈등해소 및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16(1), 1279-1294.
6 김미혜, & 신경림. (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2.
7 김선자. (2001). 노년기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수현, & 김윤정. (2011). 노년기 여가활동참여와 성공적 노화 인식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3-23.
9 김양례. (2005). 노인의 생활체육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8(2), 259-269.
10 김재숙. (1998). 일부 농촌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종만. (1998).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김종인, & 김윤정. (2010).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251-269.
13 김주원. (2004). 농촌노인 경제활동 실태분석을 통한 지방정부 복지정책 개선방안-강원도 지역유형별 농촌노인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6(3), 177-193.
14 김주현. (2007). 한국노인의 생활세계를 통해서 본 노년의 긴장과 적응.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김태현. (1998). 노년기 삶의 만족도 연구. 성신연구논문집, 23, 181-199.
16 나항진. (2002). 노인학교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여가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농촌생활지표. (2009). 농촌생활지표. 농촌진흥청.
18 농촌진흥청. (2006). 농촌, 도시노인의 삶의 질 비교 분석. 농촌진흥청.
19 문영빈. (2003).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와 삶의 만족도 연구; 청주시 노인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 문희영. (2000).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문화관광체육부. (2010). 2010 국민여가활동조사보고서. 문화관광체육부.
22 박공주, 김양희, 윤순덕, & 이정화. (2004). 농촌노인의 경제활동 및 욕구실태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농촌사회, 14(2), 180-181.
23 박공주, 윤순덕, & 박정윤. (2007). 농촌노인의 경제활동향상 프로그램 개발. 농촌지도와 개발, 13(1), 69-83.
24 송정선. (1996).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안정신, 강인, & 김윤정. (2009).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225-245.
26 양순미, 홍성례, & 홍숙자. (2004). 농촌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14(2), 145-178.
27 윤순덕, & 한경혜. (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24(2), 57-77.
28 이숙자. (2000).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0(3), 776-790.   과학기술학회마을
29 임설빈. (2012).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일자리만족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동춘. (1993). 동남아 정치론. 신성사
31 이영애. (1997).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32 이정화, & 한경혜. (2003). 농촌노인에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3(1), 211-213.
33 이종영. (2005).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심리적 인지 메카니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3), 167-183.   과학기술학회마을
34 이현심, & 남희수. (2010). 농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감, 자아존중감 및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경기고 여주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7(4), 957-984.
35 임설빈. (2012).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일자리만족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서산시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조영숙, 이문주, & 황대용. (2009). 농촌주민의 여가소비유형과 만족도. 농촌지도와 개발, 16(4), 1021-1048.
37 최은지, 김경미, 이진영, & 강경하. (2007). 농업인 부부의 생활시간 조사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4(1), 231-247.
38 최경숙. (2006). 노인의 종교성향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9 통계청a. (2006).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40 통계청b. (2006). 농촌생활지표. 통계청.
41 통계청. (2009). 농촌생활지표. 통계청.
42 통계청. (2011). 2011년 농림어업조사보고서. 통계청.
43 통계청. (2011). 2011 사회조사. 통계청.
44 통계청 DB. (2012). 통계청 DB. 통계청
45 Diener, E., Emmons, R. A., Larso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DOI   ScienceOn
46 허준수, & 유수현. (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1-35.
47 홍성희, 류진아, & 임승희. (2011). 농촌노인의 여가생활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성별 마을회관 활용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8(3), 591-629.
48 황미구, & 김은구. (2008). 노인 일자리 사업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및 노인의 개인적인 특성이 삶, 직무, 사회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1(3), 137-156.
49 Everard, K. M., Lach, H. W., Fisher, E. B., & Baum, M. C. (2000). Relationship of activity and social support to the functional health of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55B(4), 208-212.
50 Havighurst, R. J. (1973). Social role, Work, leisure, and education, In, c. Eisdorfer & M. P. Lawton (Eds),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logy Association, 598-618.
51 Lennartsson, C., & Silverstein, M. (2001). Does engagement with life enhance survival of elderly people in Swede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6B, 335-341.
52 McIntyre, C. W., Watson, D., & Cunningham, A. C. (1990). The effects of social interaction. exercise and test stress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28, 141-143.   DOI
53 Row, J. W., & Kahn, R. L.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