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ting Education Model Developmen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a Writing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Universities Based on Media Education Models)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82-290
    • /
    • 2018
  • 본 연구는 Hobbs의 미디어교육 모형과 Vanhoozer의 미디어텍스트 분석모형에 기초하여 기독교대학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개발한 모형은 기독교 세계관 수립, 접근, 분석과 평가, 창작, 성찰, 사회적 실천의 6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독교대학의 교양과목인 "독서와 글쓰기" 과목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모형은 소리, 이미지, 글자 등의 복합텍스트의 비판적 '수용'을 토대로 대안적 '창작'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미디어텍스트 글쓰기 교육에 적합한 모형으로 기독교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인 지성, 덕성, 영성이 조화된 인재형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이 모형은 새 시대에 맞도록 학생 친화적이면서도 융합적인 텍스트 쓰기를 지향하고 있으며 대학에서 강조되어야 할 다양한 유형의 문자 글쓰기 역량 역시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Writing Class Guidelines Using GPT)

  • 강정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81-588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단계를 수업 가이드라인화해서 실제 수업이 가능하도록했다. 이 논문에서는 GPT라는 인공지능 글쓰기 기계의 사용을 물리적·실제적으로 막기 어려운 현실에서 자기를 성찰하는 글쓰기 교육론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수업 가이드라인을 모색한 것이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GPT의 작동원리를 학습자에게 이해시키고 활용지침을 교육하면서 GPT를 활용한 글감 아이디어 모델링과 자기화로 수업의 방법을 제안했다. 그 뒤 과제의 실례를 들었다. 둘째, GPT 활용 단계에서는 성찰적 글쓰기의 개요짜기, 단락쓰기, 퇴고하기의 과정에 따라서 GPT를 활용한 글감 아이디어 모델링과 자기화를 하는 방법을 실례를 들어서 보여줬다. 셋째, 정리 단계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글을 첨삭하고 최종 수정하도록 돕고 정리·반성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수행 평가를 적용한 영어 쓰기 능력 향상 방안 (The Way to Improve the English Writing Ability Based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 송명석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1호
    • /
    • pp.165-19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of students by an ideal test model of English writing based on strategies of procedural learning stages enhancing the level of students' writing ability. Assessment of writing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has been limited so far to very restricted areas with no appropriate scientific scrutiny. Assessment is really meaningful only when it exactly estimates the ability of students. Since English writing competence has become indispensable in this era of global village, writing instruction should be most emphasized. The most forceful method of busting writing instruction is to utilize the so-called washback effect of testing. So, to develop a good test model of writing, the first thing that is required is to inspect writing strategy in steps and, then, testing itself. First of all, analyzed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6th high school English curriculum were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syllabus reflected in one kind of junior high textbook and eight different kinds of senior high textbooks. Then questionnaires on the whole area of writing and tendencies of English writing classes were given to 100 English teachers, 300 student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n, some suggestions and opinions about the questioning method were made: the procedural strategy in steps, English writing instruction and test model of assessment were applied to the syllabus referring to teaching plans. On the bases of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hree pretests and a final test of English writing were administered to verify the effect of enhanced English writing competence which had been gradually promoted and, through the promotion, produced the test criteria of English writing. In conclusion, guidance and evaluation of English writing through in steps are really indispensable to increase student's practical ability and, accordingly, we are in need of the development of a testing method of useful writing practiced in school class above anything else. So, it is necessary to further the study on methods to assess writing ability on the bases of participation and fluency of students with their keen interest in English. Also, to intensify the effect of the test model, more accommodating reorganization of syllabus is required in our education. For instance, we need a flexible operation in organizing time units from the current 50 minutes to 100-130 minutes.

  • PDF

협동학습을 통한 웹 기반 영어 쓰기 시스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b based English Writing System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 이혜림;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6
    • /
    • 2011
  •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이루어지는 영어 교육은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언어의 4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6학년 영어 쓰기 학습 내용의 구성을 보면, 영어 문장 쓰기 학습은 하고 있으나 단순히 문장 따라 쓰기, 단어 넣어 문장 완성하기 등으로 한정되어 있고, 영어 쓰기 학습을 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한, 학생들의 영어 쓰기 학습은 영어 단어 암기 학습으로 생각하여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웹을 기반으로 한 협동 영어 쓰기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정규 수업 시간 외에 방과 후 시간 또는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시스템을 활용해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표현하고, 동료들과의 협동학습을 통해 영어 쓰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 영어 쓰기의 정의적 영역과 영어 쓰기 능력에 향상되었다.

  • PDF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글쓰기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cientific Writing Program using Thinking maps on the Scientific Gifted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Creativity)

  • 조혜진;이형철;김은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6-17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cience gifted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ils and Creativity development by Scientific Writing Program using Thinking maps. To verify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ird-grade students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located in Ulsan : the 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Scientific Writing Program using Thinking maps,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twenty students (comparison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teacher map based instruction in comparison group. Pro-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s compared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search group didn'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ity compared in the comparison group. In conclusion, Scientific Writing Program using Thinking maps was more effective than teaching model using the teacher map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creativity.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 유정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17-343
    • /
    • 2003
  • 최근에는 인쇄된 매체인 책과 함께 컴퓨터나 인터넷을 이용한 문학작품인 전자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의 활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활발한 탐구가 있어왔다. 전자도서관을 이용한 효과적인 자료의 탐색, 전자문학 중심의 온라인 독서교육의 전개, 웹 문학의 교육적 활용 탐색 등의 연구가 있어왔고, 그것의 효과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흥미를 갖고 있는 매체인 정을 기반으로 문학교육을 전개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이를 구체화하여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 PDF

과학적 글쓰기를 활용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Using Scientific Writing)

  • 조혜숙;남정희;이동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9-490
    • /
    • 2014
  •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글쓰기와 논의를 활용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은 모델링의 목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자신이 만든 모델을 논의와 글쓰기를 통해 과학적 언어를 사용하여 스스로 정리하거나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모델을 평가하고 수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 전략은 과학교육에서 모델링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과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 네 가지 요소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여러 문제 상황을 관찰하여 문제를 연관지어 인식하는 문제인식이다. 둘째는 과학적 설명을 위해 충분한 과학개념을 구조화하여 제시하는 과학개념 구조화이며, 셋째는 주장에 대해 적절한 표상을 증거로 제시하는 주장-증거 적절성이다. 마지막은 증거제시에서 다양한 표상의 사용과 이 표상들을 전환하고 통합하는 다중표상 지수이다. 이 네 가지 요소의 발달을 위해 세 가지 stage를 구성하였다. '인지 과정'은 다중표상에 대한 이해를 위한 것이고, '해석 과정'은 다중표상 활동을 통해 증거 제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며, '적용 과정'은 학생들이 논의-기반 모델링을 직접 접해보는 것이다. 이 적용 과정에서는 질문 또는 문제 만들기-실험 설계 및 수행하기-관찰 통한 조사하기-자료의 분석 및 해석하기-임시 모델 설계하기-논의하기-되돌아보기-모델 평가하기-모델 수정하기의 아홉 개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은 학생들이 자신이 설계한 임시모델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증거를 바탕으로 발표하고 반박하는 논의과정을 통해 증거 제시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논의과정 후 학생들은 주장과 증거를 다중표상으로 나타내는 것에 대해 되돌아보는 과정을 거치면서 주장-증거 적절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모둠이나 다른 모둠의 모델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 받으면서 수정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관찰한 자연세계의 현상에 대한 자신의 설명체계를 만듦으로써 과학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문제해결 과정 모형에 기반한 "발표용 문서 작성" 영역 수행평가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Rubrics for Performance Assessment for Presentation Document Writing Area based Problem Solving Process Model)

  • 강성걸;정인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71-378
    • /
    • 2007
  • 21세기 IT 선진국을 꿈꾸면서 우리나라는 2001년도부터 초등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다. 그러나 기능 위주의 ICT교육은 학생들의 정보 소양 교육에 적당하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2005년도에는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이 발표되면서 정보 소양 교육이 보다 체계적인 틀을 갖추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은 컴퓨터 교육에 수행 평가를 도입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수행평가는 단순한 기능교육 위주의 컴퓨터 교육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본격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지만 좋은 수행평가 척도 없이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교육의 올바른 교육을 위하여 "발표용 문서 작성" 영역의 수행평가 척도를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Learners' Satisfaction Index Model for Cyber Education

  • Kim, Chang-Su;Jung, Hoe-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343-347
    • /
    • 2010
  • Cyber education has been predicted that it would become the primary education system of 21st century as a way of education focusing on consumers, with the aspect that it seems to be able to satisfy the demand about re-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s the acceleration of fast knowledge accumulation throughout every field of society in the digital era. However, cyber education system has a lot of problems which are for that it lacks of human resources for effective interaction, and it can be disadvantageous to certain type of students with a class environment concentrated on reading and writing and with foundation on computer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thesis, We intend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people studying in a situation that cyber education has been required to be a mainstream system of education in the midst of trend of changing paradigm of college education recently, and to suggest some possible solutions for cyber education at university.

생성형 AI를 활용한 소프트웨어교육 수업모델 연구 - ChatGPT를 중심으로 (Software Education Class Model using Generative AI - Focusing on ChatGPT)

  • 이명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275-282
    • /
    • 2024
  •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소프트웨어교육에 관한 수업모델을 연구하였다. 연구 목적은 ChatGPT를 소프트웨어교육에 활용함으로써 비전공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교수자의 보조자 역할로 ChatGPT를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ChatGPT를 이용해 학습자 개별 교육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학생들이 필요로 한 시점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교양과목의 파이썬 수업을 듣는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ChatGPT를 보조자로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비전공학생의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ChatGPT가 보조자로서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ChatGPT를 과제작성, 오류수정, 코딩 작성 및 지식 습득에 활발히 사용하였으며, 오류 해결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을 프로그램을 이해하는데 집중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이점을 확인하였다. ChatGPT가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 볼 수 있었으며, 교육에 활용하는 데 있어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ChatGPT를 활용한 교육 모델의 발전과 보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