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ing Passag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호밀생육과 토양에 미치는 궤도형 분뇨살포기의 영향 (The Influence of Combine Crawler Attaching Slurry Spreader on Soil and Growth of Rye)

  • 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7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 crawler attaching slurry spreader on soil and growth of rye. The performance test at actual field was conducted to test for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Field test of the slurry spreader was operated in upland and paddy field.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oil damage and crop productivity incorporating Pig slurry by two different types of slurry spreader. In this experiment a slurry spreader using crawler of combine have been designed and developed to enhance the operation in small field and reduce e damage of soil structure. but it was not suitable for transference in long distance. Conventional tractor mounted vacuum is not suitable for $71.6\%$ water condition in the small areas of paddy land. But the slurry spreader using crawler could be controlled the working point and moving by crawler in paddy land of small area. The wheels depths of soil in the supplementary application in the rye field was 4.9 m in tractor mounted spreader. but the wheels depth of crawler attaching spreader was 1.6cm. The dry matter yield of rye was reduced by $12\%$ in supplementary application of slurry due to mechanical damage from passage of the tires. This is particularly noticeable at high soil moisture condition in paddy l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slurry spreader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successfully used for basal and supplementary application of slurry in rye paddy field.

캡 플레이트로 단부 보강한 춤이 깊은 데크의 시공중 처짐성능평가 (Deflection Evaluation of the Constructing-load Carrying Capacity for Deep Decking Floor System Reinforced with Both Ends Cap Plates)

  • 전상현;경제환;김영호;최성모;양일승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55-167
    • /
    • 2015
  • 춤이 깊은 데크를 6m 이상 장스팬 바닥에 사용할 경우에는 시공단계에서 데크의 발생하는 많은 처짐에 의한 작업자 및 시공안전을 고려하여 가설지주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시공안전은 확보하였지만, 가설지주의 설치는 작업자의 통로제한, 공간의 협소, 능률의 감소 등으로 시공성의 문제가 발생한, 이는 춤이 깊은 데크는 상부 개방인 골 형태로 인한 벌어짐이나 박판으로 인한 웨브크리플링, 데크의 상부 플렌지의 국부처짐 등의 불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개방형 데크의 횡-비틀림 좌굴과 같은 구조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공단계 동안 작용하중에 대한 춤이 깊은 데크의 제한 처짐 값을 제안하며, 장스팬의 구조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춤이 깊은 데크의 단부에 캡플레이트로 보강한 후 시공단계하중을 모래 재하 방법으로 실물실험 제작하여 실험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개선안 캡플레이트 적용 유무에 따라 발생 처짐량이 최대 1/5 감소하였고, 모든 특히 단부를 연속화한 실험체의 경우, 처짐이 국내 규준과 제안 처짐 값(L/180, 30mm)을 만족하였다.

The Longitudinal Effect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ing Disabled Persons: Adap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177-19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1차년도(2016년)부터 6차년도(2021년)까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성인 임금 장애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상호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이전 시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장애수용(𝛽=.556~.610)과 직무만족도(𝛽=.554~.585)에 안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이전 시점의 장애수용은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𝛽=.077~.090)에 그리고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장애수용(𝛽=.087~.092)에 교차지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성별 집단에 따른 모형적합도 분석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자기회귀효과 및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교차지연효과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부산 중앙부두 주변해역의 교통흐름 및 통항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 김세원;이윤석;박영수;김종성;윤귀호;김대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5
    • /
    • 2006
  • 부산항 중앙부두 주변 해역은 각 선석별로 그 목적과 용도에 부합된 전용 부두가 배치되어 소형 잡종선을 비롯해서 중대형 여객선, 소형 쾌속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작업선 등 다양한 선박이 특정한 항행 규칙이나 해상교통관계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통항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해상교통조사를 전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한 후 중앙부두 주변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선종별, 톤수별 통계처리와 항적분포를 기초로 중앙부두 인근 해상의 주요 통항로의 교통 흐름, 그리고 통항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통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각 기능별로 분류하고, 북내항로 지정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항행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자 관점에서 입출항 통항 안전성에 바탕을 둔 효율적인 중앙부두 인근 부두의 재배치 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건설진동에 의한 가스배관의 진동예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Vibration Prediction Program of Gas Pipeline by Construction Vibration)

  • 정석영;홍성경;김준호;고재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0-35
    • /
    • 2001
  • 현재 운용중인 가스배관은 다양한 건설진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지하철 공사 및 도로공사 시에는 건설장비의 사용, 대형차량의 통행 및 발파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건설진동이 가스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매설가스관의 경우는 매설된 위치와 근접한 곳에서 시행되는 발파로 인한 진동영향이 큰 상태이며 노출가스관의 경우는 차량진동에 대하여 가장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스배관 주변에서 발생하는 건설진동을 측정, 분석함으로써 건설진동에 의한 가스배관의 진동을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가스관 진동예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가스관의 진동을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로 기존의 신뢰성 분석된 경험식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구조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매설 및 노출 가스관에서의 진동치를 현장조건에 따라 예측할 수 있고, 측정된 진동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장에서 발파진동을 측정하여 발파진동추정식을 산정하고, 지발당 허용장약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장 근무자가 손쉽게 가스관 주변에서 진동을 예측하여 가스관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 PDF

CFD 분석에 의한 느타리버섯 재배사 환경균일성 향상 연구 (The study on enhanced micro climate of the oyster mushroom cultivation house with multi-layered shelves by using CFD analysis)

  • 이성현;유병기;이찬중;임영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20
    • /
    • 2017
  •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단으로 재배되는 버섯재배사는 재배균상이 내부공기의 유동을 막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균상의 아래쪽과 위쪽간의 환경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차이 때문에 버섯재배 균상의 위치에 따른 생육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버섯재배사 내부에서 버섯이 생육되지 않는 작업통로의 상단에 천장방향으로 대류팬을 설치하여 운용하면 재배사 내부의 공기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버섯재배사 내부에 설치된 각종 환경조절장치 즉 유니트쿨러, 입기팬, 배기팬, 대류팬, 가습기 등이 모두 한꺼번에 가동될 때는 버섯재배 균상위의 RMS 값이 속도 23.86%, 온도 6.08%, 습도 2.72%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니트쿨러와 대류팬이 가동될 때는 균상위의 RMS 값이 속도 23.54%, 온도 0.51%, 습도 0.41%로 나타났다. 따라서 버섯재배사의 환경조절을 위한 입기팬, 배기팬과 가습기는 용량이 큰 것을 설치하여 전체적인 가동시간을 줄이고, 유니트쿨러와 대류팬을 조합한 환경관리 방법이 내부 환경의 균일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 중앙부두 주변 해역의 교통 흐름 및 통항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 김세원;이윤석;박영수;김종성;윤귀호;김대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109
    • /
    • 2005
  • 부산항 중앙부두 주변 해역은 각 선석별로 그 목적과 용도에 부합된 전용 부두가 배치되어 소형 잡종선을 비롯해서 중대형 여객선, 소형 쾌속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작업선 등 다양한 선박이 특정한 항행 규칙이나 해상교통관제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통항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해상교통조사를 전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한 후 중앙부두 주변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선종별, 톤수별 통계처리와 항적분포를 기초로 중앙부두 인근 해상의 주요 통항로의 교통 흐름, 그리고 통항 특징 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통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각 기능별로 분류하고, 북내항로 지정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항행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자 관점에서 입출항 통항 안전성에 바탕을 둔 효율적인 중앙부두 인근 부두의 재배치 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유치원 교사의 인터넷 건강지식에 대한 정보 인식 및 실태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Conditions for recognition and utilization)

  • 유지은;손은경;김숙희;손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931-5941
    • /
    • 2015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생활양식에 적합한 영유아 건강에 대한 정보를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그 중 인터넷은 현대 사회에 있어 필수매체이며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다. 이에 유치원 교사의 인터넷 활용 현황을 조사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인터넷 건강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있는 유치원 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 모두 건강정보 관련하여 인터넷을 통해 검색해 본 경험이 대부분이었으며, 건강정보 활용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들의 건강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그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얻었다. 그러나 제대로 된 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그 이유는 정보를 얻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둘째, 건강정보는 필요할 때 마다 인터넷을 활용하였으며, 유아의 건강정보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얻어진 건강정보는 의외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영유아 건강에 대한 내용 및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방법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

『전경』 「교법」편 연구 - 『대순전경』 6판 「법언」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yobeob」 of 『Jeon-gyeong』 : Focused on Comparison with Chapter 「Words of Law」 of 『Daesoon Jeon-gyeong』 6th Edition)

  • 고남식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1-41
    • /
    • 2016
  • The script of the Fellowship of Daesoon Truth, 『Jeongyeong』 consists of seven sectors and 17 chapters. The seven sectors include 「Life of Sangje」, 「Reordering of the Universe」, 「Passing on of Teaching」, 「Law of Teaching」, 「Wisdom」, 「Cure of the Sick」, and 「Foreseeing」. The chapter 「Reordering of the Universe」 has the most records about Sangje, while the 「Law of Teaching」 has the most variety of materials in many passages about Sangje. This shows that the chapter 「Reordering of the Universe」 puts emphasis on the unique religious activities of Sangje and 「Law of Teaching」 is important for its edifying elements. "Law of teaching" is 敎法(Gyobeop) in Chinese character. 敎 means "teaching" and 法 "laws". What is law? A law becomes the rules for maintaining order of a society. In the view of religion, the law is ethical rules set by Kang Jeungsan to keep an order in the world. The first and second chapters of 「Law of Teaching」 have writings on 1. What Sangje said in person to the disciples, 2. The teachings Sangje gave to the disciples in certain occasions, 3. Reality of the society in late Joseon Dynasty, 4. Teachings related to the historical figures and old stories, and 5. Literatures. The third chapter has two special types of writing, which is about Taoism myths and statements written only in Chinese characters. In 『Daesoon Jeongyeong Volume 6』, the chapter 「Words of Law」 has more contents on edification for disciples, Cheok and resolving grudges with more detailed expression of woman resolving their piled up grudges. This chapter also has writings about discriminating old evil customs of Confucianism, emphasizing virtue and act of reciprocating for offered graces while training of one's mind and working on one's daily practice (shown in Sangje's saying about certain historical figures, quoting the Song of Suwun, statements in Chinese characters), Sangje's opinion about Japan, China, ancestral beings, eating raw foods, Byeokgok and others. In comparison with 「Words of Law」 in 『Daesoon Jeongyeong Volume 6』, which was issued in 1965 as the previous generation literature, 「Law of Teaching」 in 『Jeongyeong』 has many additional statements made to existing passages. Also, some passages were combined of two previous passages, some words were corrected, and in some passages, additional statements were made about the same person mentioned in another passage. And some passages were dropped. For the contents, 『Jeongyeong』 has additional statements about spiritual training of one's mind and practicing the teaching in daily lives, which indicates that 『Jeongyeong』 is focusing more on actual daily practice and the idea of overcoming hardships during the practice and realizing the principle of Resolution of all grud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