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Smart

검색결과 1,310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워크 연구에 대한 고찰과 향후 연구 주제 (Smart Work Research: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 이민혜;이준기
    • 정보화정책
    • /
    • 제18권2호
    • /
    • pp.72-84
    • /
    • 2011
  •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정보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스마트워크가 가져올 업무 효율성과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기대가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스마트워크에 대한 기대는 피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스마트워크의 정의를 비롯한 관련 연구의 기반도 아직 견고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존 원격근무 연구 문헌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원격근무와 스마트워크의 개념 차이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개념을 정리하는데 일차 목적이 있다. 더불어, 원격 근무 연구의 틀을 기초로 스마트워크 연구의 차별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스마트워크 연구의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구조화한 연구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제시된 스마트워크 연구 프레임워크에 입각하여 기존 원격근무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IS 연구자들이 주목할 만한 연구주제들을 제시하는 한편, 현재 국내 공공부문에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정책을 중심으로 아직 미진한 부분들을 돌아봄으로써 향후 스마트워크 연구의 발전과 관련 정책 기획에 학술적으로 그리고 실용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워크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y on Smart Work)

  • 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213-222
    • /
    • 2011
  • 본 논문은 한국 기업의 스마트워크 도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에서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민간기업의 도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스마트워크 전략이 부재하여 여러 문제점이 부각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도입을 위한 전략체계와 관련하여 관련 연구 성과에 대해 문헌연구하여 가이드라인이 될 만한 전략체계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그 기본방향에 따른 실제적인 도입 절차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가 제시한 스마트워크 도입운영 가이드북을 검토하고 스마트워크 2.0시대에 맞는 스마트워크 도입절차를 제시하였다.

스마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른 보안위협과 대응방안 (Security Threat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Smart Work)

  • 이경복;박태형;임종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29-40
    • /
    • 2011
  • 본 연구는 국가 어젠다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휘크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관련 주요 이슈와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워크 1.0에서 스마트워크 2.0으로 진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안 문제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택근무, 모바일 오피스, 스마트워크센터 등 대표적 스마트워크 1.0 환경에서 발생하는 보안문제와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살펴보며, 또한 협력성의 확대 및 창의성의 증가 등 스마트워크 2.0에서 새로이 부각되는 주요 개념들로부터 파생되는 보안이슈와 대응방안을 고찰한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업무인지와 업무수행간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절효과 탐색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 Work environment between cognition and performance of work for SM employe)

  • 장덕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25-230
    • /
    • 2012
  •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스마트 사회가 진행되면서 개인의 일상생활 방식이 변하고 있으며, 업무수행 방식도 스마트 워크화 되어감에 따라 업무 담당자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원격지에서도 업무처리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전반에 걸친 스마트화에 따라, 업무관련 구성원과 시스템은 상호 연결되어 개인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면서 유연한 근무가 가능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업무인지와 업무수행간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탐색연구 결과 업무가 복잡할 때 스마트워크 환경 수용은 협업 업무수행을 증가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스마트워크센터 효과 및 장애요인 : 근무자와 운영자간 비교 (Gap between Users and Managers of Smart Work Center about Its Effects and Obstacles)

  • 임승혜;민대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2호
    • /
    • pp.211-230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how users and operators of smart work centers think about benefits from and obstacles to smart work centers. First, this paper reviewed the previous literature to summarize benefits and obstacles. Then,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and operator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issues in smart work centers. Finally, a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opinions of more users and managers and the co-orientat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diverse patterns. This study found that users and operators mostly agree with the benefits from the smart work centers. However, they expressed various forms of disagreement over obstacles and ways to overcome the obstacles.

Exploring Working Group's Psychological Subjectivity on Public Smart Work Services in a Cloud-based Social Networking

  • Kim, Ki Youn;Song, In Ku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2호
    • /
    • pp.4748-4762
    • /
    • 2020
  • Recently, the COVID 19 pandemic has affected on our daily lives and society in many ways. Specifically, it has brought rapid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from office working to smart telecommuting. In addition, cloud computing technology and services not only provided ubiquitous access, but also led to a sharing of information, internal-external communication channels, telework, and innovative smart work for the business process. As a result, smart work services based on social cloud networking have spread to the public sector. However, existing academic research examining smart work merely remains to focus on the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r to deal with merely several examples of private views. Best practices of smart work services based on cloud computing technology in the public field rarely exists. Moreover, many studies have been differently measured the values of smart work for private and public sectors depending on organizational singularitie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define new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to explore future business strategies and policy directions based on a technical working group's personal psychological subjectivity. The research applied Q methodology, and selected five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that they have adopted or currently plan to adopt some part of smart work services.

스마트워크 환경 하에서의 바람직한 기업문화 (A Desirable Corporate Culture under Smart Work Environment)

  • 이주형;김선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93-102
    • /
    • 2012
  •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환경 하에서의 바람직한 기업문화를 창출하는데 있다. 정부의 탄소배출 억제 정책과 기업의 효율적인 비용절감, 생산성 극대화 그리고 개인의 일과 가정의 양립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스마트워크의 현실적인 여건이 마련되었으나 법률검토 및 제도장치 마련 등 충분한 사전 준비 없이 진행되다보니 많은 혼란과 도입하는 기업이 저조하다. 정부, 기업, 종업원 등 이해관계자의 조정을 통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어야 하며, 개인과 조직이 동반성장할 수 있는 WIN-WIN 방안을 연구하고, 스마트워크 환경의 새로운 기업문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스마트워크는 단순한 '원격근무'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똑똑하게 일하는 방식의 스마트워크는 일을 하기위한 이동을 최소화하고 일과 사람이 함께 움직이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일 중심의 문화에서 사람중심의 문화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공적인 스마트워크 도입을 위하여 정부 및 기업의 역할을 정리하였으며,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정부차원의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위원회(가칭)'를 두어 행정안전부, 노동부, 여성가족부, 방송통신위원회 등과 조율하여 스마트워크의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민간협의체를 구성하여 민간 기업 부문의 스마트워크 기업문화 창출 및 확산을 지원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스마트워크 환경하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Work Performance)

  • 강용식;권순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1호
    • /
    • pp.61-77
    • /
    • 2016
  • This study derived research model ab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smart work. Research model is composed of four perspectives: technology perspective like system quality and usage leve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raction perspective like innovational climate, institutional perspective like personnel evaluation, and individual perspective like self-control. This study collected 155 survey data from K public company and M global software company.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all of four perspectives influenced smart work performance. Technology perspective had the strongest effect on smart work performance, the second was institution perspective, the third was interaction perspective, and the last was individual perspective. In conclusion, smart work is not an IT project. We have to reconsider the thinking that just only the introduction of cutting-edge IT increases business performance. Smart work project should be pursued in harmony with institution and climate in the organizational perspective and self-control in the personal perspective. Also, to maximize business performance in smart work environment, organizations should strengthen the positive factors and overcome the negative factors.

스마트워크 환경을 위한 구조와 서비스 응용 (Structure and service applications for smart work environment)

  • 강성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65-270
    • /
    • 2016
  • 스마트폰를 비롯한 모바일 장비, 무선 네트워킹과 인터넷 등의 ICT 기술 진전은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제반 업무 수행의 방식, 비지니스 프로세스, 서비스 조직 운영 양태에 획기적인 변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전에 부응하여 제반 일을 보다 수월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자는 노력의 일환으로, 많은 조직체들은 스마트워크 환경 구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능한 스마트워크 유형들을 살피고 그러한 스마트워크 환경 구현을 위한 네트워킹과 시스템 구성의 구조와 서비스 시나리오들을 다루었다. 또한,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핵심적인 응용으로서 컨퍼런싱 서비스의 호 설정 및 호 해지 절차와 아울러 그 서비스 시나리오와 사용 케이스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스마트워크 환경을 위한 구조와 서비스 응용에 대한 연구는 스마트워크의 환경 구현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워크 수준 결정 모형에 대한 연구 (Models for Determining the Levels of Smart Work)

  • 남수현;노규성;김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91-200
    • /
    • 2011
  • 스마트워크는 지식근로자들의 일하는 방법에 대한 혁신을 추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은 조직에서 스마트워크 수준을 결정하는 모형을 제안한다. 기존 스마트워크의 유형은 공간적 자유와 시간적 자율로 결정됨을 보인다. 또한, 이 모형을 확장하여, 세 번째 요인으로 집단지성의 활용을 추가함으로서 새로운 유형인 스마트워크 2.0을 제안한다. 스마트워크 2.0의 성공적 도입전략과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