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chip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2초

참나무류(類) 칩을 이용(利用)한 표고버섯 재배(栽培) (On the Mushroom Cultivation of Oak(Quercus spp.) Chip)

  • 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7-14
    • /
    • 1993
  •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mushrooms and the economic efficiency of mushroom cultivation, the pinchips(PC) and sawdusts(SD) of three Korean oak species were tested as cultivating media for Lentinus edodes with varing the composition of the med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rganic acids(tannic acid and citric acid), which were added in the PC medium to enrich the quality of mushrooms, did not increase the growths of the mycelia and the quality. 2. The mushrooms were able to be harvrested from six months after beginning the cultiv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qualities of the mushrooms produced by various treatments. 3. The production rate of mushroom was relatively high with, 28.4~29.3% (700~730gr./2,500gr pack). The net profit estimated was about 1,450 won per pack.

  • PDF

PCP로 방부 처리된 탄약목상자의 자원순환형 처리기술 (Resource Recycling Technology for the PCP-treated Ammunition Box)

  • 이종철;최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3-131
    • /
    • 2006
  • This paper reports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fe treatment of pentachlorophenol(PCP)-treated ammunition box by solvent extraction. Experimental variables were chosen as the composition of solvents, types of substance(chips and sawdust), temperatures and sonication to obtain maximum PCP removal from wood samples of the dismantled ammunition box. Up to 99% of PCP in the wood chip was extracted within 2 hours at room temperature when using methanol as the solvent. The extraction volume ratio of methanol per dried sample was about 10. Type of samples, extraction temperature and sonification showed little effects on PCP extraction. Based on this study, a resource recycling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mmunition boxes was recommended.

제지용(製紙用) 아스플룬드펄프 제조(製造)에 관한 연구(II) -일본 잎갈나무��의 알카리 전처리(前處理)와 아스플룬드 펄프의 과산화물(過酸化物) 표백(漂白)에서 셀룰로오스 안정제(安定劑)의 영향(影響)에 관하여- (Studies on the Asplund Pulping of Wood for Paper Pulp(II) -Effect of some cellulose stabilizers added to the alkaline chip-treatment and the peroxide bleaching on the quality of larchwood asplund pulps-)

  • 임기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7-15
    • /
    • 1981
  • 우리나라에 대량조림(大量造林)되어 있는 일본잎갈나무는 기계(機械)펄프의 수율(收率)과 백색도(白色度)가 낮아 펄프재(材)로 이용(利用)되지 못하고 있다. 일본잎갈나무의 펄프재(材) 자원화(資源化)와 해예동력(解穢動力) 절약(節約)을 위하여 제지용 Asplund 펄프제조(製造)에서 셀롤로오스 안정제(安定劑)로서 $MgSO_4$, $ZnSO_4$, $Al_2(SO_4)_3$, KI을 택하고 고농도(高濃度) 과산화수소표백(過酸化水素漂白)과 과초산표백(過酢酸漂白)에서 그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고, ��의 알카리전처리(前處理)와 셀룰로오스안정제(安定劑)를 첨가(添加)한 알카리 전처리가 Asplund 펄프의 기존과산화수소표백(旣存過酸化水素漂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0.5%의 셀룰로오스안정제(安定劑)는 염기(塩基)의 종류(種類)에 따라 PH가 다르고($MgSO_4$=PH 5.72, $ZnSO_4$=PH 4.95, $Al_2(SO_4)_3$=pH 2.85), PH에 따라 침전 PH 범위($MgSO_4$=PH6~13, $ZnSO_4$=PH5~12, $Al_2(SO_4)_3$=PH3~10)와 최대(最大)침전 PH($MgSO_4$=PH9~10, $ZnSO_4$=PH6~7, $Al_2(SO_4)_3$=PH3~4)가 달랐다. 2. 일본잎갈나무 Asplund펄프의 고온고농도(高溫高濃度)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및 과초산표백(過酢酸漂白)에서 유효(有效)한 셀룰로오스안정제(安定劑)로는 KI, $MgSO_4$, $ZnSO_4$였으나 그의 효과(效果)는 미미하였다. 3. ��의 알카리전처리는 무처리보다 기존과산화수소표백(過酸化水素漂白)에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펄프의 강도(强度)와 백색도(白色度)를 향상(向上)시켰으나 수율(收率)은 저하(低下)시켰다. 그러나 셀룰로오스안정제(安定劑) 첨가(添加)는 황산염(黃酸塩)으로 인한 PH저하(低下)를 초래하여 탄산(炭酸)소다 전처리수준(水準)이었으며 ��의 알카리전처리에 첨가(添加)한 셀룰로오스안정제중(安定劑中)에서 해섬후(解纖後)의 과산화수소표백(過酸化水素漂白)에 유효한(有效)한 ��은 $ZnSO_4$, $Al_2(SO_4)_3$와 KI였다. 4. 따라서 산화조건에 효과적(效果的)인 안정제(安定劑)는 KI, $MgSO_4$이나 환원조건에서는 착염(錯塩)인 Zn, Al 염(塩)과 KI가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ED 조명처리가 꽃송이버섯의 균사배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ycelial culture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using LED lighting operation)

  • 오득실;김현석;심봉섭;위안진;윤병선;김강웅;왕승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31
    • /
    • 2013
  • 선행연구로서 꽃송이버섯 배지내 LED 조명색에 의한 푸른곰팡이 생육억제 효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blue 처리구에서 푸른곰팡이균의 포자발생량이 매우 높아 꽃송이버섯 배양에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 28일 후 LED 파장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균사생장 특성과 LED 파장 색상별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red 파장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red 파장 범위에서 광량을 달리하여 균사생장 조건을 확인한 결과, 광량 세기가 낮은 1.41 ${\mu}mol/m^2S$ 처리구에서 우수한 균사생장을 나타내었다. 계대배양 실시 여부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에서는 실험 전 1회 계대배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지조성을 달리한 톱밥배지 내 LED 광량별 균사생장은 미송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미송 톱밥배지에서 LED red 2.11 ${\mu}mol/m^2S$의 광량을 처리하였을 경우 84일 배양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경우 red 파장 2.11 ${\mu}mol/m^2S$ 광량에서 84일 이상 미송 톱밥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꽃송이버섯 배양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질칩을 이용한 분뇨 발효 시 목질칩과 돈분뇨의 성분 변화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ood Chips and Pig Manure)

  • 김명길;최돈하;최인규
    • 임산에너지
    • /
    • 24권2호
    • /
    • pp.1-9
    • /
    • 2005
  • 친환경적으로 돈분뇨를 처리하기 위하여 목질칩을 이용한 정화조에서 장기 처리한 목질칩과 돈분뇨 성분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자체 제작한 정화조에 히터를 가동하면서 3일 후 발효 적정온도인 $55{\sim}60^{\circ}C$에 도달하였고, $180{\iota}$/일 돈분뇨 분해능을 보기는 정화조에서 사용하는 목질칩의 성분은 돈분뇨의 처리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회분의 양이 증가하여 돈분뇨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무기물 함량이 더해진 것으로 보였다. 알칼리와 유기용매추출물 및 Klason 리그닌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무처리칩에 비해 흘로셀룰로오스의 양은 약 10% 감소하여 발효 중 목질칩이 부탄소원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장기 처리된 돈분뇨의 성분 중 무기물 함량($Ca^{2+},\;Mg^{2+},\;K^+,\;Na^+$ 등)은 무처리칩에 비해 처리기간에 파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중금속(Cd, As, Cu 등)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돈분뇨 원액에 비해 전질소 함량은 감소하나 무처리칩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여 나중에 돈분뇨를 발효, 분해한 목질칩을 산지의 퇴비화에 사용해도 환경적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장기 처리에 따른 미생물 변이는 반응기 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생균수가 증가하였다.

  • PDF

생물여과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VOCs Using Biofiltration)

  • 윤인길;박찬엘;박창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0
    • /
    • 2000
  • 생물여과 (biofiltration)로 알려진 기술은 오염물을 gas stream이나 liquid stream을 사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주요 방법으로 생물세정 방법과 생물여과의 두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오염물질 제거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특징, 오염물질의 유입농도, 충진물의 종류와 형상, 오염물질이 충진물에 머무름 시간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생물 여과에 있어서 반응기의 충진물로 compost, peat, wood chips와 토양을 이용하거나 또는 활성이 없는 합성 매체를 이용하기도 한다(Leson and Winer, 1991). (중략)

  • PDF

미송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의 최적 배지 조성과 버섯의 β-glucan 함량 비교 (Optimal Medium Composi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Cultivation Using Douglas Fir Wood Chip and Comparison of The β-glucan Contents of The Fruiting Body)

  • 왕승진;김현석;위안진;윤병선;박화식;박형호;오득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28-438
    • /
    • 2014
  • 최근 다양한 언론매체 및 국내외 연구논문들을 통해 꽃송이버섯의 기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꽃송이버섯의 농가 대량재배 일반화를 위하여 최적톱밥 입자크기 및 ${\beta}$-glucan 함량이 높은 재배법 연구를 수행한 결과 T7 (1~2 mm 25%, 2~4 mm 50%, 4 mm 이상 25%) 배지와 같이 입자크기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배지에서 $11.5{\pm}1.0$ cm/44 days로 비교적 우수한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자실체생산 역시 대조구보다 높은 $142.9{\pm}17.7g$의 생중량으로 상품성이 있는 꽃부분이 85%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배지조성 조건에 따른 ${\beta}$-glucan 함량은 모든 자실체에서 꽃부분에 비해 기부가 1.4~2.4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이 중 이스트 300 ppm이 첨가된 PCF300 (미송 + 옥수수분말 + 소맥분 + 이스트 300 ppm) 배지의 꽃송이버섯 기부가 59.5%로 가장 높은 ${\beta}$-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꽃부분에서는 비교적 낮은 33.0%의 함량을 보여 꽃부분의 ${\beta}$-glucan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꽃송이버섯 재배시 T7조건인 1~2 mm 미송톱밥 25%, 2~4 mm 미송톱밥 50%, 4 mm 이상 미송톱밥 25%의 비율로 톱밥입자 크기를 조절한후 옥수수분말과 소맥분을 첨가하여 배지조제후 이스트 300 ppm첨가하면 ${\beta}$-glucan 함량이 높은 꽃송이버섯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새만금 방조제 개활지의 준설토 기반에 대한 배수층재 처리가 수목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terials of Drainage Layer at the Reclaimed Soil Base on Tree Growth at the Open Space of Saemangeum Sea Dike)

  • 이한나;임주훈;구남인;배상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23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drainage layers on tree growth at the exposed sites of Saemangeum sea dike. 4 types of drainage layers including control(dredged soil), specially prepared bark, gravel, and wood chip were set in 150~165cm depth of soil. Pinus thunbergii and Celtis sinensis were planted after 9 months of soil treatment.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soil in all treated plots were decreased under $4dS{\cdot}m^{-1}$, and NaCl(%) was decreased under 0.05% after 1 year from soil treatment. Soil moisture at the 120cm depth of the bark treated plo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180cm soil depth, below the drainage layer. It is considered that vertical mobility of water was inhibited. Organic matter(OM) at the 120cm soil depth increased at bark and wood chip treated plots. Survival rates after 4 years of P. thunbergii and C. sinensis were 100% in all treatments. The height of P. thunbergi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while the height of C. sinens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nd it was highest at the bark treated plot.

열해섬(熱解纖) 및 폭쇄처리에 의한 현사시 나무의 조사료화(粗飼料化)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Roughages from Hyun-aspen(Populus Alba × P. Glandulosa) by Steaming-Defibration and Steaming-Explosion)

  • 강진하;백기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57-69
    • /
    • 1989
  • Roughage feeds were produced from Hyun-aspen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by steaming-defibration and steaming-explosion. The objectives of this work were to find proper conditions for the treatment of Hyun-aspen by analyzing the compositional change and digesti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exploded woods. The results of this work were as follows; 1. The method of steaming-de fibration gave the best producing rate of feedstuffs when the chips were steamed (9kg/$cm^2$ under the pressure) for 10 minutes. The yield and the digestibility of feedstuffs were 84.2% and 38.1%, respectively. It is the merit of this method that feedstuffs manufactured by this method was uniformity in particle size, and facilities of fiberboard factory could be used directly, 2. For defibration of the chip by explosion, the proper condition was steamed under the pressure (20kg/$cm^2$) for 4 minutes. The yield and the digestibility of feedstuffs were 93.4% and 68.1%, respectively. The feedstuffs produced under these conditions had higher nutritional quality than rice straw and this method was considered as the best for making feedstuffs from Hyun-aspen chip. But it is defect that exploded feedstuffs was ununiformity in particle size and had unique od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eedstuffs were investigated by a light microscope and a TEM. The feedstuffs produced under the low pressure (20 kg/$cm^2$) still maintained the structure of fibers. However, the feedstuffs produced under the high pressure (28 kg/$cm^2$) resulted in higher de fib ration than these prepared under the low pressure. The highly defibrated feedstuffs recombined with solublized lignin. The crystallinity of feedstuffs was increased by 10% and micelle width increased double after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