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mushroom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7초

야생수집균주간 교잡으로 육성된 팽이버섯 갈색 신품종 '갈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brown commercial strain "Garlmoe" of Flammulina velutipes developed by crossing between wild collected strains)

  • 공원식;유영복;전창성;장후봉;최재선;김광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15-120
    • /
    • 2008
  • 야생에서 수집한 균주를 이용하여 우량 단핵계통을 선발하고, 선발한 단핵주를 이용하여 교잡을 통하여 새로운 품종 '갈뫼' 를 육성하였다. 갈뫼 품종은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circ}C$, 자실체발생 적온은 $14^{\circ}C$, 생육온도는 $7{\sim}180^{\circ}C$이었다. 갈뫼 자실체의 갓색깔은 갈색이며, 대기부는 진갈색으로 전형적인 야생팽이의 특성을 가셨고, 갓표면에 다소의 점성이 있었다. 갈뫼는 갈색 다수성 품종으로 발이가 고르고, 대가 곧고 강하며, 갓은 반반구형으로 생산력이 안정적이었다. 또한 갈뫼는 조리시 백색팽이 보다 씹는 저작감이 우수하므로 이를 홍보에 적극 이용할 필요가 있다.

  • PDF

양송이통조림 가공중의 에너지소비량 조사연구 (Energy Consumption in Mushroom Canning Factory)

  • 이동선;박노현;신휴년;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8-333
    • /
    • 1981
  • 통조림공장에서의 에너지 사용의 합리화를 위하여 양송이통조림 가공공장에서의 에너지 소비형태 및 공정별 에너지소비량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송이 통조림공장의 에너지원별로는 유류는 겨울철 재배사의 온도유지에, 전기는 재배관리에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양송이 1kg의 재배 및 가공에 사용되는 에너지 부하는 열에너지 4,634 kcal, 전기에너지 0.116kwh이었고 전체에너지의 80%가 재배에 사용되고 있었다. 2. 각 가공라인별 수증기의 라인별 큰 차이 없이 $92{\sim}94%$였다. 3. 양송이 통조림 가공공정에 소비되는 총에너지는 1일 양송이 8 ton 가공시 전기에너지 60.1 kwh, 열에너지 $301.5{\times}10^{4}kcal$였으며, 에너지 다소비공정은 데치기(35%)와 살균(38%)이었다.

  • PDF

팽이 기능성 육종소재 발굴을 위한 영양성분 및 유용 기능성 물질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ntents and useful functional materials for finding breeding resources in Flammulina velutipes)

  • 임지훈;오민지;오연이;김민식;이종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8-226
    • /
    • 2022
  • 팽이는 국내 생산량이 느타리, 큰느타리 다음으로 많고, 수출량도 버섯 전체 수출량의 60%이상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버섯이며 가격이 저렴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품목이다. 그러나 팽이는 소비자들에게는 단순한 부재료로 인식되어 수요를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팽이의 소비한계를 극복하고 품종의 차별성을 높이고자 기능성이 강화된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팽이의 기호성과 기능성이 높은 육종소재를 발굴하고자 유전자원 26점을 대상으로 아미노산, 무기물을 포함하는 일반 영양성분, 베타글루칸 및 폴리페놀, 지방산 5종 및 GABA 물질까지 분석하였다. 칼슘,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물과 아미노산 15종에서 4148 균주가 가장 함량이 높았다. 면역 활성을 높이는 베타글루칸과 항산화 효능이 있는 폴리페놀은 일부 균주를 제외하고는 유색자원이 흰색자원들에 비해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지방산은 5가지 중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렌산과 오메가3-지방산 중 하나인 알파-리놀렌산이 버섯에서 검출되었으며 특히, 알파-리놀렌산은 느타리 등 5가지 주요버섯에는 없고 팽이에만 유일하게 확인되었다. 신경안정에 도움이 되는 GABA는 유색자원에서는 '아람'(4232) 품종이 15.38 ㎍/ml으로 가장 높았으며, 흰색은 '백승'(4230) 품종이 20.56 ㎍/ml으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기능성이 강화된 팽이 신품종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탄산가스 농도 변화가 팽이 버섯 재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winter mushroom b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 윤형식;임훈태;공원식;조재한;성기호;박기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1-136
    • /
    • 2010
  • 팽이버섯 병재배에서 재배사 내의 탄산가스 농도를 조절하여 소비자 요구에 맞는 버섯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생육과 수확에 관련하여 적정기준 설정을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이다. 공시균주 특성 값을 종합해보면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면 초발이소요일수, 생육일수, 수확일수는 증가하는 경향이고, 백색계열보다 갈색계열이 탄산가스 농도에 상관없이 초발이소요일수, 생육일수, 수확일수가 전체적으로 짧으며, ASI 4103 균주와 같이 균주의 유전적 형질이 재배적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병당 수량성은 균주에 따라 처리농도에 따른 증감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면 수확량은 감소하였다. 개체중은 균주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탄산가스 농도가 증가하면서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다. 병당 개체수에서는 균주간의 차이가 커서 탄산가스 농도 증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확인 할 수 없었다. 자실체의 수분함량은 균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탄산가스 농도의 증가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되었다.

  • PDF

팽이 신품종 '백이' 육성 (Breeding of a new cultivar of Flammulina velutipes: 'Baeke')

  • 임지훈;장갑열;오연이;오민지;이슬기;;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9-303
    • /
    • 2018
  • 팽이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균주 ASI 4216(한솔)과 4217(백중)으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단핵균주를 얻고 이들의 교잡을 통해서 꺽쇠연결체가 확인된 교잡주총 129점을 선발하였다. 교잡주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재배시험 결과, 고온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수량성이 우수한 계통 'Fv14a51'을 최종선발되었으며, 생산력검정 시험을 통해 2017년 농작물 직무육성 품종 심의회에서 '백이'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은 균사생장이 $30^{\circ}C$의 고온에서도 균활력을 유지할 정도로 강한 온도적응성 품종이고 대조품종에 비해 갓이 두껍고 대가 얇는 형태를 띠는 것 외에는 갓색깔이 순백색이며, 갓모영은 반구형, 수량은 $257.4{\pm}13.5g$으로 대조품종과 비교해서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 RAPD primer을 통해 유전적 다형성을 검정한 결과, 대조구인 '오키노메구미', 2016년에 육성된 '백승'과 신품종이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백이'는 수량과 품질이 외국품종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버섯의 균일한 형태로 상업적 가치가 있었다. 신품종의 현장실증을 확대하여 국산품종이 국내에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of the incubator model for growing mushrooms

  • Zheyang, H.;Tengis, Ts.;Batminkh, 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9-25
    • /
    • 2020
  • This article describes the automated incubator designs for white mushrooms growing. Mongolia has a very long and cold winter, so the process of growing mushrooms is short. Therefore, we aim to design an automated incubator system that has created a favorable artificial environment for mushroom growing by examining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mushroom growing. This system was designed to be able to hold for some time the required levels of soil moisture, air humidity, soil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nd CO2 levels. This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a system-based experiment that allows you to grow mushrooms for 30 days without human interference.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Cho, Jung-Hee;Lee, Seung-Eun;Chang, Who-Bong;Cha, Jae-Soon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04-107
    • /
    • 2006
  • Flammulina velutipes was transformed efficiently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The transformation frequency was about 16% with the gill tissues of the fungal fruiting body. Southern hybridization and genetic analysis suggest that the introduced DNA was inserted onto different locations of the fungal genome, and inherited stably to the next generation via basidiospores. Transformation or gene tagging with Agrobacterium T-DNA based vector should be useful for wide ranges of genetic or molecular biological studies of the mushroom.

홍화, 황련, 세신 배지첨가제가 팽이버섯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Cathamus tinctorius, Coptis japonica and Asarum sieboldii to Sawdust substrat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최인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1-135
    • /
    • 1998
  • Cathamus tinctorius, Coptis japonica and Asarum sieboldii were tested as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Flammulina velutipes. Among the C. tinctoris , C. japonica and A. sieboldii , C. tinctoris was the best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fruitbody. The effects of addition of C. tinctoris to sawdust substrate resulted in the increased mycelial growth on inoculum culture, 3.1% in ratio of fully culture and shorted one day in culture period. C. tinctoris was decreased 6.1% in ratio of fully culture, 11.0% in ratio of fruitbody productive culm. The addition of C.tinctoris, C.japonica to sawdust substrate increased 134.6%, 114.1% on the yield of the mushroom fruitbody respectively . But A. sieboldii decreased the mycelial growth and pineheading ratio delayed the production of fruitbody.

  • PDF

방울솜을 이용한 양송이 퇴비배지 제조법 개발 (Development for manufacture of Agaricus bisporus compost by cotton wastes media)

  • 장현유;최형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8-32
    • /
    • 2004
  • 양송이의 관행적 재배방법인 볏짚배지를 방울솜으로 대체하여 고품질 다수확을 하는 몇가지 배지 배합비율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절기에 방울솜을 4,000, 4,500kg, 동절기에는 5,000, 5,500kg을 주재료로 처리하고 첨가재료는 주재료에 대한 비율로 왕겨 4.5%, 계분 50%, 석회 1.5%, 요소 2%, 담배가루 2.5%, 깻묵 5%, 석고 5%를 혼합한 결과, 하절기에는 64.33kg, 동절기에는 65.21kg으로 대조구에 비해 57.2%가 증수되었다. 2. 면실피 1.25%, 왕겨 4.5%, 계분 50%, 석회 1.5%, 요소 2%, 담배가루 2.5%, 깻묵 5%, 석고 5%를 혼합한 결과, 하절기에는 61.0kg, 동절기에는 62.3kg으로 대조구에 비해 49.6%가 증수되었다. 3. 면실피를 1.25% 혼합한 시험구와 왕겨 대신 볏짚(세단) 2.5%와 면실피 1.25% 혼합여 처리한 결과, 하절기에는 59.0kg, 동절기에는 61.3kg으로 대조구에 비해 49.6%가 증수되었다. 4. 하절기에 방울솜과 면실피를 각각 2000kg, 동절기에 방울솜과 면실피를 각각 2500kg으로 처리하고 첨가재료는 주재료에 대한 비율로 왕겨 2.5%, 계분 37.5%, 석회 1.5%, 요소 2%, 담배가루 1.25%, 깻묵 2.5%, 석고 3%를 혼합한 결과, 하절기에는 57.33kg, 동절기에는 58.34kg으로 대조구에 비해 40.4%가 증수되었다.

  • PDF

발효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급여 수준이 한우 거세우의 비육과 도체성적 및 경제성 분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문여황;조웅기;김현정;김지은;김보람;김혜수;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23-228
    • /
    • 2017
  • 본 연구는 팽이버섯 수확후배지를 이용한 발효 TMR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사양성적과 도체특성 및 경제성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팽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F-SMS) 제조를 위하여 자체 개발된 혼합배양액(Bacillus sp. UJ03+Saccharomyces sp. UJ14)을 사용하였다. 한우 거세우 14개월령 24두를 공시하여 성장단계(비육전기, 비육후기, 비육마무리기)에 따라 배합비를 조절하면서 사육한 후, 30개월령에 도축하였다. 처리구는 자체 TMR을 급여한 대조구(Control), F-SMS 10% 첨가구(T1) 및 30% 첨가구(T2)로 나누어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증체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과 TDN 섭취량은 비육 마무리기에 T1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고, 조단백질 섭취량은 전 시험 기간 동안 T2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많았다(p<0.05). 배 최장근 단면적과 등지방두께는 팽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 사료 급여 시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T1구에서 육량 A등급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 순수익은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각각 1.2% 및 13.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원료비와 발효사료 제조비용의 변동이 없고, 사료로서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팽이버섯 수확후배지는 한우 비육에 있어서 우수한 대체사료자원으로서 농가소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