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Forage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7초

논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 선발 (Selec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Annual Legumes on Paddy Field)

  • 김원호;이종경;박형수;황보순;임영철;지희정;이효원;윤봉기;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7-312
    • /
    • 2009
  • 본 연구는 논에서 생육특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해서 천안(국립축산과학원)과 나주(전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논에서 2004부터 2006년까지 수행되었다. 두과 사료작물은 자운영, 크림손 클로버, 사료용 완두 그리고 헤어리 베치 초종을 공시하였고 각 초종의 품종은 자운영에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품종(야생종)과 크림손 클로버(C.V. Linkarus), 사료용 완두(C.V. Austroan pea), 헤어리 베치(C.V. Oregon common)을 각각 공시하였다. 나주지역에서 수행되었던 두과 사료작물의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Forage pea 초종이 가장 늦었다. 크림손 클로버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28,870, 6,986 그리고 943 kg/ha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자운영에서는 9,885, 1,749 그리고 338 kg/ha으로 가장 적었다. 천안지역 논에서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가장 늦었다. 헤어리 베치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7,916, 1,141 그 리고 113 kg/ha으로 가장 많았고 자운영에서 270, 42 그리고 8 kg/ha으로 가장 적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3%로 높았고 자운영에서 19.3%로 가장 높았으나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9.9%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논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을 고려한 결과 나주지여에서는 크림손클로버 초종이 우수하고 천안지역에서는 헤어리 베치 초종이 우수하였다.

사료작물-벼 작부체계가 조생종 벼의 생육과 미질 특성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age-Rice Cropping Systems on the Growth and Grain Quality of Early Maturing Rice Cultivar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addy Fields in Southern Korea)

  • 오서영;오성환;서종호;최지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297-30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료작물-벼 2모작 작부체계에 적합한 벼 품종을 선발하고자, 사료작물 중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귀리를 연계한 2모작 작부체계에서 토양특성, 조생종 벼의 생육 특성과 미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벼 앞그루로 겨울철에 휴경하였을 때보다 사료작물을 재배하였을 때 논 토양 내 pH가 다소 낮아지고 T-N, K, Ca, Na 함량이 높았으며 유기물과 유효인산(Av. P2O5)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는 겨울철 사료작물 재배로 인해 논 토양의 화학적 특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출수기에 해담쌀을 제외한 3종의 조생종 벼에서는 간장, 수장, 수수, 엽색도가 대체로 벼 단작에 비해 사료작물-벼 재배답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해담쌀은 간장과 엽색도가 차이가 없고, 수장이 다소 짧아졌지만 수수는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수확기에 백미수량이 2모작 작부체계에서 다른 3종은 다소 감소하지만 해담쌀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완전미의 비율은 사료작물-벼 2모작 재배 시 다소 높았으며, 특히 조평과 해담쌀에서 높았다.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벼 단작에 비해 사료작물-벼 재배에서 높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벼 단작과 같거나 그보다 다소 낮았다. Toyo 식미치는 사료작물-벼 작부체계에서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호화온도는 모든 품종에서 작부체계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담쌀은 2모작 작부체계에서도 다른 품종에 비하여 호화온도가 낮으면서 Toyo 식미치값이 높아서, 식미도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그 생장은 작부체계에 따라 차이가 없으나 수수는 오히려 2모작 작부체계에서 증가하여 백미수량 감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해담쌀이 사료작물과 연계한 논 기반 작부체계에 최적의 품종으로 보인다.

간척지 재배에 적합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선발연구 (Study on Optimum Forage Cropping system in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김원호;윤세형;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2
    • /
    • 2007
  • 본 시험은 1984년에 방조제가 완공된 충남 당진군에 위치한 대호간척지($37^{\circ}\;N,\;126.4^{\circ}\;E$)의 한국농촌공사 시험연구포장에서 2004년 3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여름 작물에서 출현율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파종구에서 $23%{\sim}30%$로 매우 낮았다. 겨울작물에서는 총체 벼 재배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월동율은 총체 벼 재배 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재배후 총체보리 파종구가 가장 낮았다. 하작물과 동작물을 연계한 작부체계에서 ha당 생초 및 건물수량은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50,807kg, 15,065kg) 작부체계가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수수${\times}$수단그라스+총체보리(17,247kg, 5,209kg)으로 가장 낮았다. ha당 조단백질 생산량은 총체 벼+총체보리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TDN 생산량에서는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전작물의 잔주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vious Crop Residues on Growth and Yield of Corn for Silage)

  • 김원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9-306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1991 to 1993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NU, Suwe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vious crop residues on growth and yield of succeeding corn(2ea mays L.) and also to determine the best double cropping system necessary to maximize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winter forage crops plus corn for silage. In this experiment, treatments consisted of no crop as a control, late maturing Kodiak rye(Seca1e cereale L.), Bamapoli forage rape(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L.), G-sprinter oats(Avem sativa L.), Chief crimson clover(Trifolium incarnatum L.), Jackson Italian ryegrass(lo1ium rnultiJlorum L.), Vantage vetch(Vicia sativa L.) and early maturing Koolgrazer rye(Seca1e cereale L.). Corn leaf number and silking dat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revious crop residues, but the leaf number of corn following Italian ryegrass was reduced by 1.9 relative to no previous crop. The plant height and LA1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early development when corn followed Italian ryegrass and late maturing Kodiak rye (p<0.05). The dry matter and estimated TDN yields of corn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rn followed Italian ryegrass and late maturing Kodiak rye. The yield reductions for corn following Italian ryegrass, late maturing Kodiak rye and early maturing Koolgrazer rye, relative to com when no previous crops were planted, were 34, 17 and 8%,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duction in corn growth and yield in this experiment could be explained by an allelopathic effect resulting from the Italian ryegrass and rye residues. The highest total dry matter yield of 30,509kg/ha was obtained from an early maturing rye-corn double cropping sequence in combination among the eight cropping systems.

  • PDF

대맥 예취 회수가 청초 및 곡립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s on Forage and Grain Yield of Barley)

  • 김흥배;이병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8-221
    • /
    • 1976
  • 추파대맥 2품종을 재배하여 유식물을 청예사료로 이용할 목적으로 생육시기별로 예취할 때 청초의 생산량과 곡실의 수량이 어떠한가를 구명코저 본실험을 실시하였던바 그 시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초수량은 수원18호가 올보리(Barsoy)보다 증수되었고 2품종 모두 4월30일 1회 예취구의 수량이 가장 많았다. 2. 적중은 올보리 4월18일 1회예취구가 10a당 935.3k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원18호 928kg, 수원18호의 무예취구 833.3kg및 올보리의 무예취구 723.3kg의 순위였다. 3. 수수는 수원18호가 올보리보다 다수였고 기중 수원18호 4월 18일 1회예취구(10a당)의 8,493개가 가장 많았다. 4. 성숙한 식물체중도 수중, 수수에서와 마찬가지로 4월18일에 한번 예취한 것이 2품종 모두 무예취구보다 훨씬 우월하였다. 5. 대맥 품종을 잘 선택하고 시비를 적당히 하면 생육초기에 청예사료를 목적으로 한번쯤 예취를 해도 좋은 곡립의 수량과 청예사료를 얻을 수 있다고 고려 되어진다.

  • PDF

배수 약간 불량지 논에서 PVC 파이프 암거배수에 의한 사료작물 재배 (Growth and Tield Performance of Selected Forage Crops Cultivated on Imperfectly Drained Paddy Field under Subsurface Drainage by PVC Pipes)

  • 김정갑;박근제;김건엽;한민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9-224
    • /
    • 1996
  • Silage comkv, suwwn 19). sorghum $\times$ sudangrass(p. 988) and winter ryeNaton) were cultivated on imperfectly drained paddy field under two different draining methods, subsurface darinage by PVC pipes and open ditsched surface drainage. The crops were harvested at the stage of hard dough for corn and soft dough for wrghum and rye.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soil colors. soil structure and soil wetness were improved in the subsurface drainage. Gravitational water table occured depth in 110 cm(dry season)~75cm(rain season). In soil profile description, yellowish brown with yellowish red mottles and well developed granular structure were found in the surface A horizon. The portion of solid phase in subsoils(B horizon) was reduced from 48.6%(undrained) to 43.7 %. A blocky structure with dark gray to gray were described in the open ditsched surface drainage. Severe wet depression of the crops was observed due to it's higher moisture contents, where the gravitational water occured depth in 25~37cm during the rainy seas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s were less affected by drainage methods. The concentration of available phosphate.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K, Ca and Mg were decreased in the subsurface drained soils. The annual dry matter yields of com-rye cropping were 17.8 ton in the undrained, 21.6 ton in the open ditsch drainage and 35.9 ton/ha in the subsurface drainage.

  • PDF

Development of tetraploid rye (Secale cereale L.) cultivar in Korea

  • Ku, Ja Hwan;Han, Ouk Kyu;Ahn, Jong Woong;Kweon, Soon Jo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75-75
    • /
    • 2017
  • Rye is cultivated on about 30,000ha domestically for forage and green-manure production in Korea. 'Daegokgreen' has been developed as a good quality rye cultivar for forage and green-manure, which was doubled-chromosome by colchicine treatment of diploid rye cultivar 'Gogu' in 2010. By the colchicine treatment with 0.05% for 12 hours at $2^{nd}$ leaf stage of 'Gogu', 31 tetraploid plants were obtained and they produced 2,470 seeds with 135 spikes. There was 4.4 in the number of spikes per plant, 18.3 in grain number per spike, and 37.6 g in the1,000-grain weight. The heading date of 'Daegokgreen' was April 11, which was two days later on average compared with 'Gogu'. The biomass (fresh weight) of 'Daegokgreen' was 3,701kg, which was similar to 'Gogu'. The average crude protein content of 'Daegokgreen' was 8.9%, which was 1.0% point higher than 'Gogu'. 'Daegokgreen' was found to be strong resistant to winter-kill and can be adapted to before maize cultivation.

  • PDF

집약초지의 조성기술 (Agronomic Practces on Intensive Pasture Establishment)

  • 김동암;조무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5
    • /
    • 1981
  • In reviewing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agronomic practices on intensive pasture establishm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 (1) The seedbed preparation should be involved physical manipulation of the soil tilth and consolidation of the soil by harrows and heavy roller. (2) In terms of methods of sowing, drilling favours the first and broadcasting the second however, the apparent superiority of band sowing over the above conventional methods is to reduce the direct toxic chemical effects from fertilizers to germinating seeds. (3) The most satisfactory seeding depth for grasses and legumes is commonly agreed to be approximately 1.3cm and seeding depth greater than 2.5cm seems to be generally detrimental. (4) Autumn and spring are most common sowing periods for grasses and legumes, however, early autumn being the most generally favoured, particularly in areas not subject to severe winter kill. (5) Select nurse crop species or cultivars which make Bess demands on light, nutrients and water, and lower seed rates should be used. (6) Seeding mixtures should be simple rather than complex and aggressive species should be included to a minor extent.

  • PDF

총체사료용 맥류의 생육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 (Changes in Forage Quality of Plant Parts with Harvesting Time in Five Winter Cereal Crops)

  • 권영업;백성범;허화영;박형호;김정곤;이재은;이충근;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4-149
    • /
    • 2008
  • 총체사료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맥종들의 출수 후 수확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맥종의 최적 이용시기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사료 이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은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식물체 전체 조단백질의 함량이 낮았다. 식물체 부위 별로는 출수 후 40일 수확을 제외하고는 잎의 단백질 비율이 가장 높으며, 줄기 부분은 어느 시기에서나 10% 미만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2.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ADF함량이 낮아졌고 부위별로는 줄기의 ADF함량이 다른 부위보다 높고 잎의 ADF함량은 줄기와 이삭의 중간 정도의 비율을 나타냈다. 줄기의 건물중 비율이 높아지면 전체 ADF함량 비율이 직선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호밀을 제외한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NDF함량은 낮아졌는데 호밀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 건물중의 비율이 높아 전체 NDF함량이 높아졌다.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와 잎의 NDF함량 변화는 크게 변화가 없는 반면 이삭의 NDF함량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4. 호밀을 제외하고는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며, 부위별로는 이삭의 RFV가 가장 높았고 줄기가 가장 낮았다. 식물체 전체 RFV 변이는 출수 후 이삭의 등숙이 진행되면서 잎과 줄기의 낮은 RFV를 보상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새만금 내 동계 사료작물 재배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for Forage Crop Cultivation during Winter Season in Saemangeum)

  • 이성원;강방훈;서일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124
    • /
    • 2022
  • 새만금은 염분과 미사질 토양으로 인해 지표면이 건조하고 함수율이 낮아 다른 지역에 비해 식생피복이 낮다. 식생 피복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바람에 의한 침식으로 인해 먼지가 비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견딜 수 있는 작물을 재배하여 식생 피복도를 높이면 바닥의 유속을 줄여 비산먼지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만금 간척지에 겨울철 동계 밭작물을 재배하여 미세먼지 및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보리 0.5ha, 라이밀 0.5ha를 재배하는 동안 농작업 및 생육단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PM-10, PM-2.5 및 PM-1.0 농도의 변화는 풍하측, 풍상측, 경작지 내부를 중심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PM-1.0은 작물 재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M-10과 PM-2.5의 농도는 경운과 수확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확에 비해 경운 시 PM-10과 PM-2.5의 농도 증가가 더 높았다. 작물의 생육단계에 따라 비산먼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유묘기보다 출수기에서 비산먼지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토지피복효과 이외에 캐노피에 따른 비산먼지 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물재배에 따른 비산먼지 발생 및 억제 효과에 대해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