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Optimum Forage Cropping system in Reclaimed Tidal Land

간척지 재배에 적합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선발연구

  • 신재순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 김원호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 윤세형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 서성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optimum forage cropping system at the Dae-Ho reclaimed tideland, Korea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6. Emergency rate of summer crop such as sorghum ${\times}$ sudangrass was low ($23%{\sim}30%$). Winter crop such as Italian ryegrass after continually cultivating wholecrop rice were highest (91%). Wintering rate of Italian ryegrass after continually cultivating wholecrop rice was highest and lowest in wholecrop barley after continually cultivating sorghum${\times}$sudanuass. In cropping system,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annually wholecrop rice+Italian ryegrass (50,807kg, 15,065kg) were highest and lowest in annaually serghum${\times}$sudangrass+wholecrop barley (17,2471kg, 5,209kg), respectively.

본 시험은 1984년에 방조제가 완공된 충남 당진군에 위치한 대호간척지($37^{\circ}\;N,\;126.4^{\circ}\;E$)의 한국농촌공사 시험연구포장에서 2004년 3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여름 작물에서 출현율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파종구에서 $23%{\sim}30%$로 매우 낮았다. 겨울작물에서는 총체 벼 재배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월동율은 총체 벼 재배 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재배후 총체보리 파종구가 가장 낮았다. 하작물과 동작물을 연계한 작부체계에서 ha당 생초 및 건물수량은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50,807kg, 15,065kg) 작부체계가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수수${\times}$수단그라스+총체보리(17,247kg, 5,209kg)으로 가장 낮았다. ha당 조단백질 생산량은 총체 벼+총체보리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TDN 생산량에서는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호중, 이강수, 유숙종. 1989. 간척지 내염성 작물선발과 밭작물 재배시 염분상승 억제 방법시험. 호남작물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p523-530
  2. 김원호, 정의수, 김종근, 박근제, 윤세형, 신재순. 2004.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연구. 축산연구소 연구보고서
  3. 김홍재, 채재석, 박건호. 1979. 간척지 건답 직파시험. 전북농업진흥원 시험연구보고서. p372-376
  4. 김정갑, 한민수. 1990. 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에 있어서 모래를 이용한 토양 mulching의 효과. II. 간척지 재배목초의 생육 및 건물축적형태와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0(2): 77-83
  5. 농촌진흥청. 2003.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6. 류순호, 박무언. 2004. 새만금 간척지 농업적 토지활용 방안. 간척지 농업연구회지 (2):68-91
  7. 서 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2004.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 작목(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한초지. 24(3):207-216
  8. 신재순, 이승헌, 김원호, 윤세형, 정의수, 임영철. 2004. 간척지에서 주요 여름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24(4):335-340
  9. 신재순, 이승헌, 김원호, 윤세형, 김종근, 남진우. 2005. 간척지에서 주요 겨울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25(2):113-118 https://doi.org/10.5333/KGFS.2005.25.2.113
  10. 이무영. 1988. 중북부 지방에 있어서 작부체계가 사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11. 이승헌, 안 열. 2003. 우리나라 간척 현황과 향후과제. 간척지 농업연구회지(1):20-31
  12. 이승헌. 2006. 간척지에서 식물 분류학적 접근과 토양염류도 등급에 의한 작물의 내염성평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13-119
  13. 최원열, 박근용. 1991. 내염성전작물의 개발과 재배전망. In 우리나라 간척지농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농촌진흥청 심포지엄(17): 53-78
  14. 호남농업연구소. 2002. 한국의 간척지 농업. pp182-183
  15. A. O. A. C. 1990. Off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16.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ultural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Cited by

  1. Effect of co-inoculation of Brevibacterium iodinum RS16 and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on the early growth of crop plants in Saemangeum reclaimed soil vol.47, pp.1, 2014, https://doi.org/10.7745/KJSSF.2014.47.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