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t symptom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1초

Outbreak of Cucumber mosaic virus and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Bell Pepper Grown in Jeonnam Province in Korea

  • Mun, Hye-Yeon;Park, Mi-Ri;Lee, Hyang-Burm;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93-96
    • /
    • 2008
  • In August 2006, a severe disease incidence showing mosaic and/or necrotic symptoms on two bell pepper varieties including red-colored 'Special' and yellow-colored 'Fiesta' was observed in a greenhouse located in Gwangyang, Jeonnam province, Korea. To identify causal viruses, total RNAs were extracted from 11 fruit samples with and without symptoms. 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for Cucumber mosaic virus (CMV), Pepper mottle virus (PepMoV),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and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were designed based on the sequences available on GenBank. Database comparisons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each sequence produced 100% and 98% matches with nucleocapsid protein gene of TSWV (Acc. No. ABE11605) and coat protein gene of CMV (Acc. No. DQ018289),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ymptoms on bell pepper fruits might be caused by the infection of CMV and TSWV.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necrotic as well as mosaic virus disease on bell pepper fruits by the infection of CMV and TSWV in Jeonnam province, Korea.

Pythium myriotylum에 의한 만삼 뿌리썩음병 (Root Rot of Codonopsis pilosula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 김진원;장석원;김성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7-130
    • /
    • 2001
  • 2000년 경기도 연천지역의 만삼(Codonopsis pilosula) 재배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을 나타내는 만삼의 뿌리로부터 Pythium sp.를 분리하였고, 다양한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ythium myriotylum으로 동정되었다. 병원성검정을 위하여 pot에 식재된 만삼의 뿌리에 분리 균을 접종한 결과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고, 포장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증상과 유사한 뿌리썩음에 의한 시들음 증상을 나타냈다. 만삼에서 P. myriotylum에 의한 병은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 없어 P. myriotylum에 의한 만삼 뿌리썩음병을 최초로 보고한다.

  • PDF

Fusarium Wilt of Winter Daphne (Daphne odora Thunb.)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 Kim, Gyoung-Hee;Hur, Jae-Seoun;Choi, Woo-Bong;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02-105
    • /
    • 2005
  • Severe wilt disease epidemic was found on winter daphnes (Daphne odora Thunb.) cultivated in farmers, nurseries in Suncheon, Jeonnam in 2003. Typical symptoms appeared on the leaves of winter daphne as yellowish wilts and turned brown from the lower leaves on the same plant. Severely infected leaves were defoliated, resulting in blight of stems and eventual death of the entire plant. Black decayed vascular tissues were distinctly observed in a wilted plant. Fusarium sp. was isolated from the diseased plants repeatedly and its pathogenicity was confirm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n healthy plant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Fusarium oxysporum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n potato dextrose agar and carnation leaf aga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fungal growth was around $25{\circ}C$ and the fungal growth was inhibited by metconazole, triflumizole and trifloxystrobin on potato dextrose agar.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wilt disease of winter daphnes caused by F.oxysporum in Korea.

고추 시듦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Causal Agents of Red Pepper Wilting Symptoms)

  • 이경희;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8권3호
    • /
    • pp.143-151
    • /
    • 2022
  • 국내의 고추 포장에서 나타나는 시듦 증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 동안 충북 괴산의 고추 재배 포장에서 시듦 증상을 보이는 고추의 발병도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연도에 따라서 시듦 증상에 대한 발병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조사하는 시기가 6월과 7월을 지나 8월이 되면서 발병도가 높게 상승하였다. 이 시기 동안 시듦 증상을 보이는 고추에서 Ralstonia solanacearum이 Phytophthora capsici보다 4배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충북 괴산과 경북 안동의 포장에서 2013년과 2014년의 2년 동안 채집한 시든 고추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보아도, 조사한 전체 포장 중의 20.3%에서 R. solanacearum이 분리되었으며, 역병균인 P. capsici는 3.8%의 포장에서만 분리되었다. 시듦 증상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던 해에는 평균기온이 높았으며, 고추 풋마름병 예찰 모델로 추정된 풋마름병의 초발생일도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역병 발생 위험 일수와 실제 시듦 증상 발생 빈도의 결과가 부합하지 않는 것은 재배 현장에서 역병 저항성 품종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역병 저항성 고추 품종이 재배 현장에 도입된 이후, 포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시듦 증상의 원인은 P. capsici에 의한 역병보다는 R.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이었다.

Wilt of Perilla Caused by Fusarium spp.

  • Kim, Woo-Sik;Kim, Wan-Gyu;Cho, Weon-Dae;Yu, Seung-H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93-299
    • /
    • 2002
  • A survey of Fusarium wilt of perilla was conducted in 12 locations in Korea from 1999 to 2001. The disease occurred in 74 out of 187 fields in the 12 locations surveyed, and incidence of the disease reached up to 30% at its maximum in some perilla fields in Seosan and Dangjin. Incidence of the disease in the other locations ranged from 0.2 to 20%. A total of 327 isolates of Fusarium spp. were obtained from stems and roots of the diseased perilla plant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ut of the 327 isolates of Fusarium, 277 isolates from 12 locations were identified as F. oxysporum, 11 isolates from three locations as F. solani,17 isolates from two locations as F. equiseti, 4 isolates from one location as F. avenaceum and 6 isolates from one location as F. subglutinans. The other 12 isolates of Fusarium from four locations were unidentified. Twelve isolates of F. oxysporum and two isolates each of the other Fusarium spp. were tested for their pathogenicity to five cultivars of perilla. Seven isolates of F. oxysporum were strongly pathogenic to some perilla cultivars, but the other five isolates were weakly or not pathogenic. One isolate of F. solani was strongly pathogenic to all the perilla cultivars tested, but another isolate was not pathogenic. All the isolates of F. equiseti, F. avenaceum, and F. Subglutinans tested were not pathogenic to any of the perilla cultivars tested. Symptoms on the perilla plants induc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ith strongly pathogenic isolates of F. oxysporum and F. solani appeared as wilt, stem blight, and root yet,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The isolates which induced symptoms by artificial inoculation were re-isolated from the lesions of the perilla plants inoculated. All the isolates of F. oxysporum tested were not pathogenic to eight other crops inoculated.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F. oxysporum is the main pathogen of perilla wilt and that it is host specific to perilla. forma specialis of F. oxysporum causing wilt of perilla is proposed as perillae.

국내 딸기 시들음병 발생실태와 품종별 저항성 분석 (Resistance Analysis of Cultivars and Occurrence Survey of Fusarium Wilt on Strawberry)

  • 남영현;정석기;김남규;유성준;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35-38
    • /
    • 2005
  • 2001년에서 2003년까지 국내 딸기주산단지에서 딸기시들음병 발생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딸기시들음병 발생은 주로 육묘기인 6월부터 8월, 정식기인 9월부터 10월, 수확기인 1월부터 3월까지 발생되었다. 병징은 뿌리가 갈변되어 크라운의 도관을 따라 갈변되었고 짝잎을 형성하였다. 시들음병 발생은 214개 포장 중 37개 포장에서 최대 30%까지 발생되었다. 딸기 시들음병은 Dochiodome, 매향, Redpearl, Samaberry, Akihime 품종 등 조사된 모든 품종에서 발생하였으나, 특히 Samaberry, 매향, Dochiodome 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시들음병 발생토양은 무발병 토양보다 전기전도도, 질소, 인산농도가 높았고, pH는 낮게 나타났다. Dochiodome 와 Samaberry 품종에서 분리된 Fo47, Fo79 균주는 공시된 4품종에 대해 병원성이 강했으며 특히 Dochiodome, Redpearl, 매향 품종은 더 감수성이었다.

Differential Control Efficacies of Vitamin Treatments against Bacterial Wilt and Grey Mould Diseases in Tomato Plants

  • Hong, Jeum Kyu;Kim, Hyeon Ji;Jung, Heesoo;Yang, Hye Ji;Kim, Do Hoon;Sung, Chang Hyun;Park, Chang-Jin;Chang, Seog 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469-480
    • /
    • 2016
  • Bacterial wilt and grey mould in tomato plants are economically destructive bacterial and fungal diseases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and Botrytis cinerea, respectively.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s have been attempted to arrest the tomato diseases so far. In this study, in vitro growths of bacterial R. solanacearum and fungal B. cinerea were evaluated using four different vitamins including thiamine (vitamin B1), niacin (vitamin B3), pyridoxine (vitamin B6), and menadione (vitamin K3). In planta efficacies of the four vitamin treatments on tomato protection against both diseases were also demonstrated. All four vitamins showed different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R. solanacearum in dose-dependent manners. However, treatment with 2 mM thiamine was only effective in reducing bacterial wilt of detached tomato leaves without phytotoxicity under lower disease pressure ($10^6$ colony-forming unit [cfu]/ml). Treatment with the vitamins also differentially reduced in vitro conidial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B. cinerea . The four vitamins slightly reduced the conidial germination, and thiamine, pyridoxine and menadione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B. cinerea. Menadione began to drastically suppress the conidial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by 5 and 0.5 mM, respectively. Grey mould symptoms on the inoculated tomato leav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pyridoxine and menadione pretreatments one day prior to the fungal challenge inocu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ease-specific vitamin treatment will be integrated for eco-friendly management of tomato bacterial wilt and grey mould.

채소류의 토마토 반점 위조 바이러스 발생과 병징 (I)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Vegetables in Korea (I))

  • 조점덕;김정수;김진영;김재현;이신호;최국선;김현란;정봉남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13-216
    • /
    • 2005
  • 토마토 반점위조 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가 2004년 경기도 안양지역에서 토마토, 고추 등을 포함한 14개 채소 작물에서 발생하였다. TSWV검정은 지표식물 검정, IC/RT-PCR, VC/RT-PCR 및 Total RNA를 이용한 RT-PCR방법을 이용하였으며, TSWV가 발생한 작물의 종류는 토마토, 방울 토마토, 고추, 시금치, 치커리, 적치커리, 적겨자, 용설채, 트레비소, 감자, 들깨, 참깨, 호박, 쌈추 이었다. 포장에서의 발생율은 토마토, 고추 등 주요 작물에서 $30\%$에서 $100\%$ 발생하였으며,병징은 대부분 전형적인 원형반점이었으며, 괴저, 위조 및 심한 모자이크 병징으로 진전되었다. TSWV가 발생한 포장에서 채집한 꽃노랑 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를 IC/RT-PCR 검정한 결과 감염율이 $90\%$이었다.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활용한 토마토 풋마름병 증상 분석 (Analysis of Bacterial Wilt Symptoms using Micro Sap Flow Sensor in Tomatoes)

  • 안영은;홍규현;이관호;우영회;조명철;이준구;황인덕;안율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2-217
    • /
    • 2019
  • 본 연구는 토마토의 풋마름병 감염 여부를 더 빠르게 예측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풋마름 병원균을 접종한 토마토에서 풋마름병에 감염되어 증상을 보이기까지의 식물체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하였다.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했을 때 육안으로 보이는 풋마름 증상이 나타나기 약 2 내지 3일 전부터 풋마름병에 감염된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가 감염되지 않은 토마토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생물검정과 생육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풋마름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당귀에서 발생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의 감염 첫 보고 (First Report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Angelica acutiloba)

  • 곽해련;홍수빈;최현용;박고수;허온숙;변희성;최홍수;김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7권2호
    • /
    • pp.84-90
    • /
    • 2021
  • 2019년 6월 충남 논산의 당귀 재배 농가에서 원형반점, 괴사반점, 황화, 모자이크 등의 증상을 보이는 당귀잎을 채집하였고, 이들 시료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검경과 감염우려가 있는 바이러스 3종(cucumber mosaic virus, broad bean wilt virus 2,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에 대해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진단을 수행한 결과 TSWV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였다. 당귀 TSWV의 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순수분리하여 5과 28종의 지표식물과 일당귀에 즙액접종하여 기주범위와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TSWV의 3 segment (L, M, S)의 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기존에 보고된 TSWV 분리주와 계통분석을 한 결과, 당귀 TSWV 분리주(NS-AG-28)는 논산지역의 머위 분리주(TSWV-NS-BB20)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SWV는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고 특히 고추, 토마토 등 가지과 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당귀가 TSWV의 중간기주로서 작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당귀의 바이러스병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