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flower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8초

연인산 도립공원 조성계획 (Planning for the Yeonin Mountain Provincial Park)

  • 이준복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19
    • /
    • 2007
  • This plan was submitted as part of an invited competition for the provincial park planning of Yeonin Mountain, which was held by the Gyeonggi Innovation Corporation in November, 2006. The proposed site is located at Seungan-ri, Gapyung-eup, Gapyung-gun, Gyunggi-do and covers about $150,010m^2$. The main goal of this project is to "Suggest a New Park Paradigm" by shedding old ways of thinking about parks through an integrated development concept. Planning was approached as follows: First, providing an unique theme to the support facilities area of Yeonin Mountain Piovincial Park. To achieve this theme, the Seungan support facilities area was designated to be home to a Seven Colored Theme Garden, currently named the Native Wild-flower Garden, while the Baekdun facilities area is to be centered on a Self-loaming Forest Camp, which will give the chance of a hands-on wildlife experience. With these themes, which create recreational goals that will encourage not only tourism but education as well, the foundation was laid for a multi-purpose park paradigm. Second, Developing a Core Facility Zone. To accomplish the development of a core facility zone, park buildings will b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n integrated building lay-out for easy access and use, and the facilities specified by design for the Seven Colored Theme Garden are provided for the newly prepared site. This will allow focus on the user's viewpoint instead of the view of the planner or of ease of maintenance.

원추리(Hemerocallis coreana Nakai)의 데침, 건조 및 발효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in Hemerocallis coreana Nakai After Blanching, Drying, and Fermentation)

  • 정지숙;김용주;최보름;박노진;손병길;곽영세;김종철;조경환;김인호;김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38-1648
    • /
    • 2013
  • 본 연구는 나물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원추리의 기능성을 높이고자 발효를 시도하였으며, 건조조건 및 데침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원추리의 수분함량은 85.60%로 연백부분의 수분함량이 높았다. 데침, 건조조건 및 발효조건에 따른 에탄올추출물의 수율은 11.0~30.5%로 차이를 보였다. 유기산의 종류로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발효 후에는 acetic acid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Oxalic acid와 lact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총 유기산 함량은 발효온도 $50^{\circ}C$, 발효습도 65%에서 24시간 발효한 시료가 18,109.82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 시료는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총 유기산 함량이 30% 정도로 감소하였다. 원추리나물의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결건조 시료의 총 유리당 함량이 13,086.45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glucose가 6573.24 mg/100 g, fructose가 3,562.49 mg/100 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어 원추리나물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로 확인되었다. 발효 후에는 대부분의 유리당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발효습도 80%에서 발효한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모든 유리당이 32~75% 감소하였다. Glucose와 fructose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의 생성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ucrose와 maltose는 citric acid 생성에 양의 상관관계,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생성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추리나물에는 필수아미노산인 valine, methionine, leucine, threonine, phenylalanine, tryptophan, lysine의 8종과 비필수아미노산 11종이 검출되었다. 원추리나물은 주로 val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차지하였으며, 열풍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보다 약 2~2.9배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발효조건에 따른 시료에서는 총 아미노산 함량이 중발효(17시간 발효) 시료가 1,010.71 mg/100 g fresh wt.로 가장 높았으며, 강발효(24시간) 시료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원추리나물에는 상당량의 glutamine과 asparagine을 함유하고 있어 풋풋한 신맛과 다양한 아미노산에 의해 단맛을 주는 나물로 평가되어 기호도가 높은 산채류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발효 후에는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함으로써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는 나물로만 섭취하던 원추리를 발효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pomoea heptaphylla and Murdannia nudiflora: New records for the flora of Korea

  • Eun Su KANG;Chang Wook KIM;Dong Chan SON;Mean-Young YIM;Seong-Jin J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22-229
    • /
    • 2023
  • Ipomoea heptaphylla Sweet and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have been discovered on arable land on Jejudo Island, Korea. Ipomoea heptaphylla can easil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Ipomoea species by certain distinctive features, which include thin and coiled long pedicels, small corollas, and, most importantly, palmatisect leaves with five to seven lobes. Murdannia nudiflora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rhizome, the presence of caducous bracteoles, by its bearing of more than one flower, and by its fruits with two seeds per valve and foveolate-reticulate seeds, distinguishing it from M. keisak. In this study, we report the plants I. heptaphylla and M. nudiflora and provide their morphological descriptions, photographs, distribution, and keys.

쑥부쟁이를 활용한 나물김부각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mul-kim bugak Using Aster yomena)

  • 이경은;박수진;정연권;고근배;손병길;정지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0-57
    • /
    • 2016
  • 본 연구는 김부각(KB), 쑥부쟁이 나물부각(SB), 쑥부쟁이 나물김부각(NB)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NB는 쑥부쟁이 나물을 잘게 썰어 들깨 양념하여 김에 부착시켜 찹쌀풀을 발라 부각으로 제조 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KB보다 SB와 NB의 기름 흡유율이 높아 나물의 기름 흡수가 많았다. SB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KB 보다는 NB가 높게 측정되어 나물이 김보다 항산화능이 높았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최대하중, 항복응력 및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NB>KB>SB 순이었고, NB와 SB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5^{\circ}C$에서 40일 저장한 NB의 산가 및 과산화물가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산패의 기준에는 못 미쳤다. 따라서, $25^{\circ}C$ 이하에서 40일까지는 저장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쑥부쟁이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입증된 다양한 나물을 첨가한 부각을 제조한다면 다양한 소비자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부각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산수유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with Added Corni fructus Powder)

  • 정지숙;김용주;최보름;이정애;고근배;손병길;강석원;안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26-73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ies of muffins made with 0, 2, 4, 6, and 8% Corni fructus powder. The height of the muffi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sample groups; however, the weight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st samples containing Corni fructus powder. The volume and specific loaf volume of muffin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orni fructus powder. The baking loss of the samples containing Corni fructus powder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group was 19.88%, whereas that of the test samples ranged from 16.72~21.01%. The pH of batters and muffins of the test sampl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ontrol group measured 11.46%, whereas the test samples ranged from 22.63~53.33%. The L and b values of the crust and crumbs decreased, but the a val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Corni fructus powder. Examination of the textural properties revealed the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muffins containing Corni fructus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erm of overall preference,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groups containing 2% and 4% of Corni fructus pow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using Corni fructus powder at less than 4% would be appropriate for making muffins.

주요 식용꽃의 포장재 종류에 따른 품질 유지 효과 (Effect of Storage Film Type on Quality Maintenance in Edible Flower)

  • 이정아;유은하;김광진;권혜진;송정섭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212-218
    • /
    • 2011
  • 식용꽃은 일반적으로 개화된 상태에서 수확, 줄기가 없는 상태에서 유통되므로 저장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이 단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포장 필름 중 식용꽃의 상온유통을 위한 효과적인 포장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용꽃 재료로는 꾸준한 수요로 연중생산 되고 있는 금어초, 금잔화, 비올라, 패랭이, 팬지, 한련화 등 총 6종으로 실시하였다. 유통 시 적용할 포장 필름을 선발하기 위하여 0.03mm 두께의 polyethlene (PE) film와 polypropylene (PP) film을 대조구로 하였으며 필름 표면의 미세한 천공을 통해 산소투과도 (OTR-Oxygen Transmission Rate)를 조절할 수 있는 6가지 종류의 필름인 PE 0.03 mm (LF10, LF20, LF30), PP 0.0 3mm (LF10, LF20, LF30) 등을 이용하였다. 식용꽃의 상온 유통시 금잔화, 한련화는 필름별 차이가 없었으며, 비올라, 패랭이, 팬지는 PP (LF10)필름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올라, 패랭이, 팬지는 꽃잎이 바깥쪽부터 말리기 시작하면서 노화 증상이 나타났고, 한련화는 꽃잎 무름과 변색, 금어초는 갈색 점이 나타나면서 부패증상이 나타나는 등 식용꽃 종류별로 노화 유형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Newly developed MSAP analysis reveals the different polymorphism patterns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with the dsRNA MET1 gene

  • Oh, Yun Jung;Chung, Hee;Yu, Jae Gyeong;Park, Young Doo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2호
    • /
    • pp.139-145
    • /
    • 2009
  • DNA methylation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eukaryotes. In this study, we isolated NtMET1 from Nicotiana tabacum cv. Havana (SR1) and obtain transgenic plants that reduced MET1 expression level with the double-strand RNA (dsRNA) MET1 gene. Transgenic tobacco plants showed dwarf and abnormal flower development when compared with the wild type. Using methylation-sensitive amplified polymorphism (MSAP) analysis, the patterns of cytosine methylation in transformed plants and the wild type were compared. MseI/HpaII selection primers showed an interesting polymorphism, and 153 DNA bands of interest were detected. Among these, 30 selective fragments were sequenced and analyzed with a BLAST search by successful MSAP modifications. The homology search showed that the transposons and tandem repeated sequences were related to the phenotyp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creased degree of methylation by dsRNA strategy caused ab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in N. tabacum.

7종 야생초의 식용화를 위한 조리방법에 관한 연구-관능검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oking Method of 7 Kinds of Wild Grasses for the Utility as an Edible Vegetables)

  • 이혜정;이경희;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0-266
    • /
    • 1994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on of the appreciable cooking condition in seven wild grasses, an evening primerose(Oenothera lamarckiana Seringe, S$_1$), a spiderwort(Commelina Communis L. S$_2$), the flower of a convolvulus(Calystegia Ja-ponica form Vulgaris gaea, S$_3$), So Ru Jaeng Yi(Portulaca Oleracea, S$_4$), Shoe Bi Rum(Portulacae Oleracea L, S$_5$), O Yi Pul(Sanguisorb aOfficinalis, S$_6$), Jip Sin Na Mul(Agrimonia poisa var. Japonica Nakai, S$_7$), in order to find out the importance as an useful vegetables. In this work 7 wild grasses with different soaking solutions and boiling conditions were examined to investigation the preference factors by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 and 5% level There were high significant differents in samples boiled for different time about astringent taste, bitter taste, perfume, green color and grassy smell at 1% and 5% level. In cooking methods of 7 samples, Namul was liked best and Guk, Salad and Fritter were followed. The condiments which were used for seasoning Namul were Gochujang. Soy Paste, Salt. Gochujang was most preferred.

  • PDF

대전 계족산과 충남 오서산 및 전북 백암산 주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ejoksan, Oseosan and Beakamsan of Korea)

  • 민진홍;류진주;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7-51
    • /
    • 2013
  • 국내 자연환경의 효모 균총을 확인함으로써 유용한 효모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전 계족산, 충남 오서산 그리고 전북 백암산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이들로부터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전의 계족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에 속하는 12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충남의 오서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의 효모들 17균주를 분리하였다. 또한 전북 백암산의 야생화로부터 모두 24종에 속하는 38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계족산, 오서산, 그리고 백암산에서 모두 발견된 효모는 Cryptococcus 속, Pseudozygoma 속, Rhodotorula 속, Sporobolomyces 속에 속하는 9종의 효모들이었다. 특히 3개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화들로부터 Cryptococcus 속에 속하는 Cryptococcus aureus만이 모두 분리되었는데, 이 결과는 각 지역마다 독특한 효모 다양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국(韓國) 야생다(野生茶)의 유연성(類緣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ariation of Native Tea Plants in Korea)

  • 은종방;이정석;김동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54-63
    • /
    • 1984
  • 한국(韓國) 야생다(野生茶)의 유연성(類緣性)을 비교(比較)하기 위(爲)하여 도입품종(導入品種) 2종(種)과 야생다(野生茶) 49개소(個所)를 선정(選定)하여 엽(葉)의 형질(形質)과 화(花)의 형질(形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야생다(野生茶)는 78%가 죽림(竹林)이나 수림하(樹林下)에 있었고 95%가 남향(南向)의 경사지(傾斜地)에서 생육(生育)하고 있었다. 2) 야생다(野生茶)의 분포(分布)에 있어서 남단(南端)은 $34^{\circ}27^{\prime}$이며 북단(北端)은 $35^{\circ}43^{\prime}$이나 거의가 $35^{\circ}$ 부근(附近)에 생육(生育)하고 있었다. 3) 엽형(葉形)은 거의가 타원형(楕円形)과 장타원형(長楕円形)이나 만덕사(萬德寺)에는 광타원형(廣楕円形)도 있었다. 4) 잎의 크기에서 대엽(大葉)은 $14.74{\pm}0.57{\times}5.72{\pm}0.24cm$이고 다른 잎은 $12.16{\pm}1.57{\times}3.53{\pm}0.41cm$이었다. 5) 잎은 길고 뾰족하며 농록색(濃綠色)으로 빳빳하고 민들한 것과 둥글며 모나지 않고 녹색(綠色)으로 부드럽고 울퉁불퉁한 2종(種)이 있었다. 6) 화형(花形)은 용장리(龍藏里)의 것에서 여러 형질(形質)이 뚜렷이 다르고 다른 나머지 것들은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7) 야생다(野生茶) 가운데 용장리(龍藏里)은 중국종(中國種)(Thea Sinensis L. var. bohea)의 변이종(變異種)이거나 유종(維種)으로 보이고 와운형(臥雲型)은 중국대엽종(中國大葉種)의 변이종(變異種)이거나 유종(維種)으로 보이며 일반형(一般型)은 중국대엽종(中國大葉種)(Thea Sinensis L. var. macrophylla) 변이종(變異種)이거나 유종(維種)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