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coxon signed rank test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32초

항만의 효율성을 예측하기 위한 실증적 측정방법 - SBM과 윌콕슨부호순위검정접근 - (An Empirical Measurement Way of Efficiency Prediction for Korean Seaports : SBM and Wilcoxson Signed-Rank Test Approach)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3-327
    • /
    • 2008
  • 한국과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 나라이면서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를 거친 경험을 갖고 있는 논문에서는 Liu(2008)의 슬랙변수모형을 도입하여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1994년 및 1995년의 국내 20개 항만의 3개의 산출물(수출입물량, 선박입출항척수, 항만재정수입)과 2개의 투입물(접안능력, 하역능력)을 이용하여 국내항만들의 효율성을 측정한 후에, 양년도간에 모두 효율적인 항만으로 판명된 항만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항만들의 효율성 순위를 이용하여 월콕슨의 부호순위검정을 통해서 슬랙변수모형이 갖고 있는 항만효율성측면의 예측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보여 주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다년도(1995년-2003년)분석을 실시하여 항만효율성의 예측력은 어느 정도 되는지를 검정하였다. 다년도(1995-2003년)의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한다면 "가설검정의 모든 결과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측자료와 실제자료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예측자료가 실제자료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0-2001년, 2003-2004년의 유의수준은 60%에 가까운 수준으로 나타나서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995-1996년, 2002-2003년의 예측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인 함의는 국내항만들도 슬랙변수모형과 월콕슨부호순위검정방법을 이용하여 차년도의 효율성, 또는 경영성과를 예측하여 제시하는 것도 항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이 20대 성인의 허리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Back Muscle Stretching and Multi-Training on the Lumbar Flexibility of 20s Adults)

  • 홍기훈;안지혜;유선욱;윤현주;이춘엽;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7-65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이 20대 성인의 허리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13년 5월 29일부터 6월 14일까지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1명을 대상으로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을 3주간(17일) 총 9회 실시하였다. 유연성의 측정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Sit and Reach Test)로 실험 전, 후 측정하였고, 측정된 자료는 SPSS program WIN 12.0K를 통해 운동 방법의 효과 유무에 대한 검정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고, 각 그룹 별 운동 효과의 차이에 대한 검정을 위해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Wilcoxon signed rank test 분석 결과 복부근력강화운동 그룹, 배부근 스트레칭 그룹 및 복합운동 그룹 모두 운동 전과 후에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p<0.05).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통한 각 그룹 간 유연성 향상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배부근 스트레칭 그룹과 복부근력강화운동 그룹, 배부근 스트레칭 그룹과 복합운동 그룹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p<0.017). 결론 :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 모두 유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배부근 스트레칭에 비하여 복부근력강화운동과 복합운동이 유연성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운동형태에 따른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의 변화 (Effects of aerobic and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in the middle-aged women)

  • 김용철;김영수;양정옥;이범진;이중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241-1251
    • /
    • 2013
  •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운동형태에 따라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40 50대 중년여성으로 유산소운동집단 8명, 복합트레이닝집단 8명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주4회, 1회 70~90분, HRmax 60%~75%, 1RM 60%~80%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자료처리는 Windows 용 SPSS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고, 비모수통계분석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정과 윌콕슨 순위합검정을 통해 그룹별 사전-사후 평균차와 변화량에 대한 그룹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각 집단별 사전-사후 평균차에서는 복합운동 집단의 BMI, 체지방량, 그리고 중성지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변인별 사전-사후 변화량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 검정에서는 체지방량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지만 각 별인별 사전-사후 평균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복합운동이 유산소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stimation of slope , βusing the Sequential Slope in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 Choi, Yong;Kim, Dongjae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0권2호
    • /
    • pp.257-266
    • /
    • 2003
  • Distribution-free estimation methods are proposed for slope, $\beta$ in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point estimators using the sequential slope based on sign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lso confidence intervals are presented for each estimation methods.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i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these methods with least square method and Theil´s method. Some properties for the proposed methods are discussed.

역량강화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니코틴의존도, 흡연유혹 및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Temptation, Self-esteem, Depression in Adolescents Who Smoke)

  • 박남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tempta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s who smoke.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9 adolescents who smoked. Twenty-six adolesc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 weeks. Chi-square test, t-test, paired-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program, scores for self-esteem (t=5.560, p=.014),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scores for depression (t=-2.111, p=.040)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adolescents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 indicate that the empowerment group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decreasing depression and could be considered as a positive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for adolescents who smoke.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진단검사와 간호 교과목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Diagnostic Tests and Nursing-)

  • 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79-285
    • /
    • 2020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로 26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단검사와 간호 교과목에 총 4회기 8시간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 29일부터 12월 10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Kolmogorov-Smirnov, pari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 학습후 비판적 사고성향(t=-2.16, p=.04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z=-2.36, p=.018)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셀프리더십(t=-.16, p=.875)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목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이 간호사 핵심역량을 함양하도록 하여야 할 것을 제언한다.

국내항만투자의 효율성 및 적정 투자규모 예측을 위한 모형개발 및 실증적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and Empirical Application for Predicting the Efficiency and Optimum Size of Investment in Domestic Seaport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4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Liu(2009)의 슬랙변수모형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방법을 도입하고 새롭게 수퍼효율성모형을 도입한 Tone(2002)의 수퍼SBM모형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1997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 20개 항만의 5개의 산출물(항만서비스만족도, 수출입물량, 선박입출항척수, 항만재정수입, 컨테이너화물처리량)과 3개의 투입물(항만투자금액, 접안능력, 하역능력)을 이용하여 국내항만들의 효율성을 측정한 후에, 효율성 순위를 이용하여 윌콕슨의 부호순위검정을 통해서 수퍼SBM모형이 갖고 있는 항만효율성측면의 예측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보여 주었다. 또한 개별항만별, 연도별로 적정한 항만투자의 금액을 예측하여 보여 주었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통계량에 의거하여 효율성 예측에 대한 가설검정을 해 보면, 제1모형에서는 p값이 평균 97.68% 수준에서 성과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2모형에서는 약 76.1%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SBM모형에 의한 항만별 항만투자의 적정투자규모를 정확하게 제시하였다. 셋, 제2모형에 대한 수퍼SBM모형에 의한 항만별 항만투자의 적정투자규모예측 결과는 다음과 같다. (ㄱ) 항만투자규모가 적정했던 항만들은 인천, 완도, 여수, 서귀포, 부산, 울산, 속초로 나타났다. (ㄴ) 거의 모든 항만들에서 투자금액이 과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소한 항만들은 삼천포, 마산, 울산, 삼척, 동해항으로 나타났다. (ㄷ) 차기년도의 항만의 적정투자규모를 예측하여 제시할 수는 있었다. 본 연구의 정책적인 함의는 국내항만관리자들은 항만의 환경이 변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퍼SBM모형을 이용하여 항만들의 항만투자의 효율성 측정이나, 경영성과를 예측하는데 도입을 해야만 한다.

Comparative Statistic Module (CSM) for Significant Gene Selection

  • Kim, Young-Jin;Kim, Hyo-Mi;Kim, Sang-Bae;Park, Chan;Kimm, Kuchan;Koh, InS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권4호
    • /
    • pp.180-183
    • /
    • 2004
  • Comparative Statistic Module(CSM) provides more reliable list of significant genes to genomics researchers by offering the commonly selected genes and a method of choice by calculating the rank of each statistical test based on the average ranking of common genes across the five statistical methods, i.e. t-test, Kruskal-Wallis (Wilcoxon signed rank) test, SAM, two sample multiple test, and Empirical Bayesian test. This statistical analysis module is implemented in Perl, and R languages.

On a Distribution-Free Test for Parallelism of Regression Lines Against Ordered Alternatives

  • Song, Moon Sup;Huh, Moon Yul;Kang, Hee Jeong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0-54
    • /
    • 1987
  • A distribution-free rank test for parallelism of regression lines against ordered alternatives is considered. The proposed test statistic is based on the Kepner-Robinson's transformation. The null distribution of the proposed statistic is the same as that of the Wilcoxon signed rank statistic. But, the proposed procedure can be applied only to four or fewer regression lines. The results of a small-sample Monte Carlo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test is comparable with the parametric test in heavy tailed distributions.

  • PDF

일표본 위치검정에서의 표본크기 결정 (Sample Size Determination for One-Sample Location Tests)

  • 여인권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3호
    • /
    • pp.573-581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일표본 위치검정에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근사분포방법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본다. 모의실험 결과 이들 근사분포방법은 검정력의 명목수준에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검정통계량의 정확분포를 이용한 표본크기 결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한 표본크기의 검정력이 명목수준을 충족하는 것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