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facilities

검색결과 1,214건 처리시간 0.027초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의 관계 - 직무관련 삶의 질 매개효과 - (Effect of Long-term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of long term care facility -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

  • 이영선;송명섭;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36-3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관련 삶의 질, 서비스 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11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모형은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을 독립변수,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 공감피로)을 매개변수, 서비스 질을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모형의 적합성과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적합한 수준이었으며,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에서 서비스 질로 향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관련 삶의 질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내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 표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 질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질에 대한 임상적,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Comparison of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Blood Parameters of Slow and Fast Grown Female Broiler Chickens Raised in Organic or Conventional Production System

  • Comert, Muazzez;Sayan, Yilmaz;Kirkpinar, Figen;Hakan Bayraktar, O.;Mert, Seli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987-997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blood parameters of slow and fast grown female broiler chickens fed in organic or conventional production system. The two genotypes tested were medium slow-growing chickens (SG, Hubbard Red JA) and commercial fast-growing chickens (FG, Ross 308). Both genotypes (each represented by 400 chicken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fed either organic (O) or conventional (C) systems. Chickens of each genotype and system were raised in a semi environmentally controlled poultry house until 21 d of age and were assigned to 5 pens of 40 chickens each. Then, O system chickens were transferred into an open-side poultry house with an outdoor run. At 81 d of age, 10 female chickens from each genotype and from each production system (n = 40) were randomly chosen to provide material for analysis, and were weighed and brought to the slaughterhouse to asses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The blood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using 5 female chickens from each genotype and from each production system (n = 20). FG had the higher live weight, along with carcass, breast, and thigh-drumstick weights compared to SG (p<0.05). FG had the higher breast yield, whereas SG had the higher thigh-drumstick yield (p<0.05). The O system resulted in a higher amount of abdominal fat (p<0.05). In addition, the O system values were higher for dry matter, crude ash, crude protein, and $pH^{15}$ values in breast meat, and for crude ash, crude protein, and $pH^{15}$ values in drumstick meat (p<0.05). In addition, total saturated fatty acids,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total omega 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 system than in the C system. Thus, the O system showed a positive advantage compared to the C system regarding female chicken meat quality, primarily within the ash, protein, and total omega 3 fatty acid profile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main factor affecting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female chickens was genotype, whereas the organic system contributed to enhanced meat quality. These finding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ve roles of genotype and production systems in female broiler characteristics, and might aid producers in designing their facilities to optimize yield and quality while maintaining acceptable animal welfare standards.

요양보호사의 지원서비스가 노인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 Workers' Assistance Services on Behavioral Changes of the Elderly)

  • 정윤모;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675-1682
    • /
    • 2013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지원서비스가 노인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J지역 소재 노인전문요양보호시설에서 요양보호사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과 노인환자 보호가족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지원서비스가 노인의 신체활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간호처치서비스, 동작수발서비스가 노인의 신체활동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요양보호사의 지원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정서활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동작수발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정서활동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요양보호사의 지원서비스가 노인의 사회인지활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동작수발서비스가 노인의 사회인지활동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같은 결과는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발달이 퇴화되어가며, 활동이 둔화될 수밖에 없는 제한된 한계에서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간호처치와 동작수발 케어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행동변화에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촉진됨을 의미한다. 즉, 요양보호사의 지속적인 지원서비스를 통해 노인의 긍정적인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행동변화로 긍정적인 삶을 증진시킬 수 있는 촉진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 점에서 그 유용성을 갖는다.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Obesity of the Elderly)

  • 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4-2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적정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J시에 위치한 2개소의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1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4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지 조사와 신체계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CES-D, RULS, BP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2-test$, Fisher' exact test, Pearson's correlation, Logistic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23.59{\pm}3.48$이었으며, 31.9%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과 비만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는 연령(${\chi}^2=8.16$, p=.003), 성별(${\chi}^2=9.27$, p=.002), 흡연 유무(${\chi}^2=7.78$, p=.004), 우울(t=2.54, p=.012)과 사회적 고립감(t=2.98, p=.003)이었고, 우울 (OR,1.04; 95% CI,1.00-1.09)과 사회적 고립감(OR,1.06; 95%CI,1.02-1.11)은 비만의 위험을 높이는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인구에서의 비만관리를 위하여 우울과 사회적 관계를 적절히 파악하고 측정해야 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체중관리 프로그램 및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원주민 재정착 의식조사 -아산시 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Survey of Natives Resettlement Consciousnes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Centered on the Re-Maintenance Promotion District of Asan City-)

  • 구시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82-291
    • /
    • 2010
  • 본 연구는 아산시 재정비촉진지구를 대상으로 사업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원주민 재정착을 높일 수 있는가 하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현황조사, 원주민설문조사, 관련법제 검토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 첫째, 주민의 84%, 상인의 80%가 재정착을 희망하고 있다. 둘째, 주민 상인의 요구에 부응한 사업추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아파트뿐 아니라 단독주택, 상가주택 등 1억 이하로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한 주택공급정책과 단지설계기법이 요구된다. 또한 원도심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신규업종도 필요하지만 현재의 상인들이 지속적으로 영업활동을 할 수 있는 상업공간조성이 요구된다. 셋째 물리적 환경개선뿐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복지, 커뮤니티가 강조된 도시재생 개념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도시재생에 대한 정부역할의 강화와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국가는 지방도시 재생을 위해 재정지원을 포함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커뮤니티가 지속될 수 있는 시책을 발굴하고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내의 국공유지는 '원주민용 임대주택 건설' '선도핵심시설 유치' 등에 활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선진국의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다양한 계획수법을 검토하고, 실현하여야 한다.

임도(林道)의 생산력적(生産力的) 의의(意義)와 경제적(經濟的) 효용(效用) (Significance of Forest Road on the Productive Potency and It's Economic Utility)

  • 박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107-112
    • /
    • 1984
  • 임도(林道)의 효용(效用)에 대(對)한 이론적(理論的)인 고찰(考察)은 임업(林業)의 근대화(近代化) 활성화(活性化)를 지향(指向)하는 현시점(現時點)에서 의의(意義)있는 일이라 사료(思料)된다. 1) 임도(林道)는 목재(木材)의 생산기술적(生産技術的) 견지에서 보면 각종(各種) 임산물(林産物)의 경제적(經齊的) 반출(搬出)을 가능(可能)하게 하며 작업용(作業用) 기계(機械)와 필요자재(必要資材)의 임내(林內) 반입(搬入)을 용이(容易)하게 하고 조림(造林) 무육(撫育) 보호(保護) 보전(保全) 등 제작업(諸作業)의 능률화(能率化)에 기여도가 크다. 2) 또한 삼림(森林)의 관리(官理) 경영적(經營的) 견지에서 보면 임도(林道)의 발달(發達)에 의해서 목재(木材)의 시장성(市場性)이 확보(確保)되고 업무(業務)의 능률화(能率化)에 따르는 각종(各種) 간접(間接) 경비(經費)의 절감(節減)을 가능(可能)케 한다. 3) 산촌주민(山村住民)의 생활(生活)면에 있어서도 임업노동(林業勞動)의 세업개선(歲業改善), 산촌교통(山村交通)의 변익(便益) 문화(文化)의 도입(導入) 등 주민(住民)의 복지증진(福祉增進)에 직간접(直間接)으로 역할(役割)하게 되며 그 효용(效用)이 크게 기대(期待)되고 있다. 따라서 집약적(集約的) 임업경영(林業經營)을 실현(實現)하는 전제(前提)로서 임도(林道)는 중요(重要)하고도 기초적(基礎的)인 시설(施設)일 뿐만 아니라 생산기반(生産基盤)으로서 그 필요성(必要性)이 더해가고 있다.

  • PDF

체육계열 4학년 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Graduating Senio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53-460
    • /
    • 2017
  • 이 연구는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취업준비행동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을 되짚어 전략적인 취업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조사 기초분석보고서를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경기, 서울,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 체육계열학과 16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평균 t-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들은 교내 취업프로그램에 낮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진로 및 취업프로그램과 적성검사에만 50% 정도의 참여경험을 나타냈다. 대학교육과 진로관련 지원에는 만족하고 있었지만 취업시설과 복지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공과 관련한 국가전문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에는 실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계열학과 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취업준비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강제환기식 계사의 공기 중 분진 농도 측정 및 바닥재로부터의 분진 발생량 분석 (Measurement of Dust Concentration in a Mechanically Ventilated Broiler House and Analysis of Dust Generation from Ground Beds)

  • 권경석;조예슬;이인복;하태환;홍세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31-43
    • /
    • 2014
  • Confined and mechanically ventilated broiler house has been recently come into wide use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control rearing conditions. However, high dust concentration inside facility can threaten respiratory welfare of farmers and broilers. In Korea, there is no regulation in terms of air quality control inside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ufficient data is not available. To cope with these, periodic monitoring of inhalable and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 were conducted according to season, broiler's activity and specific events such as shipment work for broilers in mechanically ventilated broiler house. Chamber experiment was also designed to analyze mechanism of dust generation from ground beds according to water contents and surrounding wind environment.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increase of inhalable (p=0.002) and respirable (p=0.03) dust were observed when activity of broilers was high according to entrance of the workers. Even shipment work for matured broilers, high level of dust were observed; inhalable dust was exceeded the threshold limit over maximum 303 % and respirable dust was over maximum 1,550 %, implying that acute respiratory symptoms could be manifested for the workers. From the chamber experiment, critical water contents for interrupting of dust generation were measured; about 45 % for inhalable dust and about 50 % for respirable dust. These results can be a trigger for designing plan of dust control however it still needs considera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hygiene problems, etc.

피부미용사의 직무환경 및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 and Job Esteem on Job Satisfaction in Skin Beauticians)

  • 이정윤;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73-58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직무환경 및 직업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서울 및 경기지역 피부미용실에 재직중인 20~50대 성인 여성 470여명을 대상으로 피부미용사의 특성 및 직무환경, 직업존중감,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첫째, 피부미용사들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직업적 긍지 만족도, 소속감 및 기여도, 임금 및 복지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피부관리샵의 휴게시설이나 휴식공간을 적절히 보장하고, 안전 및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등 근무조건을 개선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별로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높아지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피부관리사의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 대우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근무조건, 조직환경, 직업안정성과 직업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에 각각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 하위요인들의 전반적인 개선과 더불어 직업존중감의 현재가치에 해당하는 사회적평가, 자기(내재적)평가, 자아성취지향은 물론 미래가치 역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통해 피부미용실 경영자들이 피부미용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인력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피부미용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구성요소분석 (A Study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 전재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139-169
    • /
    • 1993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and analyze various factors in numerous aspects of two different library system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namely braille library and a special sec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The analyses may provide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on which strategies to enh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s to be develope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eks (1) to examine a linkage between the degree of maintenance of staffs, collections, and equipmen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s of librarians and (2) to come up with more effective mechanisms of welfar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each library system. This research is qualitative-descriptive and uses interview method. Fourteen libraries throughout the nation (4 public libraries with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8 braille libraries) which had been in operation more than one year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of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seems to be general consensus that each of public and braille library has significant but, to a certain extent, different roles to play in order to enhanc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Recruitment of qualified librarians, increase of the volume of collection, and enlargement of reading room space are noted as immediate concerns for the former. For the latter, it was suggested that increase of the number of staff for publishing, securing more equipments for pulication in braille, and wider scope as well as more variety of publications are the pressing problems at hand. 2. Both public and braille library employ one libraria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who is required to have educational background in library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one must have competence in reading braille types. 3. Majority of reading rooms in those libraries is so small in physical aspect that size and number of seats are 66m2 and 15 seats respectively because circulation services are mainly in use due to the problem of inaccessibility which is commonly suffered by the visually handicapped. 4.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re heavily concentrated upon the large urban area. In fact,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located in Seoul whereas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are exclusively placed in the large cities such as Inchon, Taejon, and Taegu. 5. All of the public library is neither equipped with necessary facilities to publish in braille nor secured supporting instruments which may facilitate library us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On the contrary,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equipped with arrangements to publish in braille despite supporting devices are gererally lacking. 6. Consequently, provision of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is largely confined to reading and circulation of materials purchased from braille libraries while major task of braille libraries centers around publication and distribu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brail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