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Technology Classificatio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불균형 자세 예방용 IMU 내장 넥밴드를 이용한 앉은 자세 분류 (Classification of Sitting Position by IMU Built in Neckband for Preventing Imbalance Posture)

  • 마상용;심현민;이상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85-29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람의 앉은 자세를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IMU의 데이터를 주성분 분석법(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을 이용하여 특징 벡터를 3개로 축소시켰고, RBF(radial basis function) 커널을 적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이용하여 자세를 분류하였다. 데이터의 측정을 위하여 건강한 성인 3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데이터의 수집을 위하여 넥밴드 형태의 이어폰에 IMU를 내장한 장치를 개발하여 착용하였다. 피험자는 각각 neutral position, smartphoning, writing의 세 가지 앉은 자세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PCA-SVM 알고리즘은 특징 벡터의 차원을 25%로 축소시키면서도 95%의 신뢰를 보였다.

  • PDF

하나의 IMU를 이용한 앉은 자세 분류 연구 (Research on Classification of Sitting Posture with a IMU)

  • 김연욱;조우형;전유용;이상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61-270
    • /
    • 2017
  • 바르지 못한 앉은 자세는 다양한 질병과 신체 변형을 유발한다. 하지만 오랜 시간동안 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동안 자동으로 바른 앉은 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되어왔다. 이전에 제안되었던 앉은 자세 판별 및 바른 앉은 자세 유도 시스템은 영상 처리를 이용한 방법, 의자에 압력센서를 달아 측정하는 방법, IMU(Internal Measurement Unit)를 이용한 방법이 있었다. 이 중 IMU를 이용한 측정 방법은 하드웨어 구성이 간단하고, 공간, 광량 등의 환경적 제한이 적어 측정에 있어서 용이한 이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IMU를 이용하여 적은 데이터로 효율적으로 앉은 자세를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징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류에 기여도가 낮은 데이터를 제거하였으며,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앉은 자세 분류에 적합한 센서 위치를 찾고, 여러 개의 머신러닝 모델 중 가장 분류 정확도가 높은 머신러닝 모델을 선정하였다. 특징추출 기법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사용하였고, 머신러닝 모델은 SVM(Support Vector Machine), KNN(K Nearest Neighbor), K-means (K-means Algorithm) GMM (Gaussian Mixture Model), and HMM (Hidden Marcov Model)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터 분류율이 높게나온 뒷목이 적합한 센서 위치가 되었으며, 센서 데이터 중 Yaw데이터는 분류 기여도가 가장 낮은 데이터임을 PCA 특징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제거하여도 분류율에 영향이 매우 작음을 확인하였다. 적합 머신러닝 모델은 SVM, KNN 모델로 다른 모델에 비하여 분류율이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pplication of new breeding technology based on gene editing in pig industry - A review

  • Tu, Ching-Fu;Chuang, Chin-kai;Yang, Tien-Shuh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6호
    • /
    • pp.791-803
    • /
    • 2022
  • Genome/gene-editing (GE) techniques, characterized by a low technological barrier, high efficiency, and broad application among organisms, are now being employed not only in medical science but also in agriculture/veterinary science. Different engineered CRISPR/Cas9s have been identified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In pig production, GE is a precise new breeding technology (NBT), and promising outcomes in improving economic traits, such as growth, lean or healthy meat production, animal welfare, and disease resistance, have already been documented and reviewed. These promising achievements in porcine gene editing, including the Myostatin gene knockout (KO) in indigenous breeds to improve lean meat production, the uncoupling protein 1 (UCP1) gene knock-in to enhance piglet thermogenesis and survival under cold stress, the generation of GGTA1 and CMP-N-glycolylneuraminic acid hydroxylase (CMAH) gene double KO (dKO) pigs to produce healthy red meat, and the KO or deletion of exon 7 of the CD163 gene to confer resistance to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infection, are described in the present article. Other related approaches for such purposes are also discussed. The current trend of global regulations or legislation for GE organisms is that they are exempted from classification a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if no exogenes are integrated into the genome, according to product-based and not process-based methods. Moreover, an updated case study in the EU showed that current GMO legislation is not fit for purpose in term of NBTs, which contribute to the objectives of the EU's Green Deal and biodiversity strategies and even meet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or a more resilient and sustainable agri-food system. The GE pigs generated via NBT will be exempted from classification as GMOs, and their global valo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can be foreseen.

COMPOSITION OF A UNIFIED MODE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QUALIFICATION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MAJOR IN DAEGU UNIVERSITY

  • Kim, Young-Jun;Kim, Wha-Soo;Rhee, Ku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0-5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structing a unified mode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qualification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procedures in whic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were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qualification types into professional teacher type and coordinator type by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which are related convergence fields that affect the qualification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The two convergence fields, such as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welfare, lead to a separate application bas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welfare for the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and finally confusion and conflict in the nature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related services. A dichotomy structure system in which this phenomenon results in a divided type of qualification training for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with disabilities was composed of several samples. In this regard, the curriculum and related services that can build convergence field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reflected in the context of priority through the criteria that should be emphasiz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disabled in the overall category of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by forming four qualification criteria centering on this, the common convergence field was composed of special education, thereby enhancing the aspect of inclusion in the rehabilitation welfare field and specific convergence in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the two qualification types were unified.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유형분류 및 관리방안 (The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이우성;정성관;박경훈;유주한;김경태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6호
    • /
    • pp.335-34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ities on sustainability assessment score studied in advance using cluster analysis, to present efficient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 based on analysis of sustainability index in 45 cities of all over Gyeongsangnam and Gyeongsangbuk-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45 cities were classed into 4 clusters by "livable-welfare city", "environmental -ecological city", "scientific-technological city", and "industrial-economic city". The livable-welfare cities must keep superi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promote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on regional characteristic. The environmental-ecological cities have to change agriculture into future environmental industry such as ecotourism, bio-industry and landscape agriculture. The scientific-technological cities are going to need support of government scale such as income enlargement of citizen and stable job security. Finally, the industrial-economic cities must increase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t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securing green spaces, maintaining public peace and applying UIS because of low quality of environment and life.

대형 과수원 사과 분류 시스템 (Large orchard apple classification system)

  • 김월용;신승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393-399
    • /
    • 2018
  • 근례 무인화의 발전은 계속되고 있고, AI무인화의 발전은 산업, 복지, 인력등 인력으로 해결해 오던 작업들을 좀더 인력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고 신속하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무인화 기술은 다양한 곳에서 발전하고 있는데 이중 많은 산업체나 공장에서 무인화 시스템으로 대대적 전환하는 시점이다. 우리는 이 점을 착안하여 대형 과수원에서 한번에 레일이 쏟아져 들어오는 과일들을 인력이 아닌 인공지능(AI) 핵심 기술중 하나인 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하여 대형 과수원에서 사람이 직접 과일을 분류하지 않아도 자동화 기계가 과일을 종류별, 등급별로 나누어 원산지와 품종 등급별로 나누어 많은 인력을 소비하지 않고 관리자의 감독하에 가동가능한 무인화 과일 분류 기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무인 자동화 분류 시스템은 인력을 최소한으로 줄여 인건비를 줄이고, 사람이 할 수 있는 실수나 오류들을 최소한으로 줄여 일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보조기기 안전·품질관리 방안 연구 (Research on Safety and Quality Regulatory Policy for Assistive Products)

  • 김혜원;김동아;서원산;김장환;고명한;손병창;이진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805-813
    • /
    • 2018
  • 본 연구는 사용자군이 사회적 약자임과 동시에 광범위한 규모로 취급되고 있는 장애인보조기기의 바람직한 품질관리체계 모델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보조기기는 의료기기법과의 충돌 문제로 인해 독립적인 제품군으로 분류할 수 없고 법적 기반이 미비하여 독자적인 품질관리 체계를 가지지 못한다. 품목 별로 필요할 때마다 기존의 여타 품질관리 체계에 선별적으로 편입시켜 문제를 해결해왔다. 외국의 사례에서도 독자적인 품질관리 제도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보조기기를 기존의 품질관리 체계를 반영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해당 분류마다 적절한 품질관리 방법들을 공식화하여 이해가 용이하고 예측가능한 행정이 되도록 고려하였다. 치밀한 품질관리를 위한 행정 과정도 제안하여 보조기기임에도 안전품질관리 체제에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이 개선안 제안은 보조기기의 정체성 확립을 통해 보조기기 품질관리의 사각지대를 해결하여 장애인 등의 사용자에게 제품의 안전과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해당 산업을 활성화 시키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폐질환 조기 검출을 위한 결합 히스토그램 기반의 통계적 특징 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f Joint Histogram Based Statistical Features for Early Detection of Lung Disease)

  • 원철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59-26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폐질환 조기 검출을 위하여 Broncho vascular, Emphysema, Ground Glass Reticular, Ground Glass, Honeycomb, Normal의 6가지 폐조직에 대한 새로운 분류기법을 제안하였다. 단순 베이즈 분류기와 아다부스트 학습 기법을 도입하여 459개의 결합 히스토그램 특징인자로부터 유효한 특징인자를 선별함으로써 폐조직을 분류하였다. 다중 해상도 해석, 체적 LBP 및 CT 휘도를 기반으로 하는 결합 히스토그램 특징인자는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 결과에서 기존의 3D AMFM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제안한 특징인자와 3D AMFM 특징인자의 정확도는 각각 90.1%과 85.3%로서 제안한 특징인자의 우수한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게임 및 디자인 고려 사항 (A Design Consideration Element and Serious Game for Disabled person)

  • 서정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1-87
    • /
    • 2011
  • 최근게임 산업에서 순기능적 역할로 이슈가 되고 있는 기능성 게임에 대하여 기술한다. 기능성 게임은 게임기술과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즐거움 외에 교육 및 특정 분야의 문제 해결 등의 다른 목적을 가지는 게임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 게임은 게임적인 재미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효과때문에 과학기술 분야 및 산업기술 분야의 교육 및 훈련에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 게임에 대한 분류 및 동향에 대하여 기술하고,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 고려 요소를 제안하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그 결과를 입증하였다.

복부 근전도 분석을 통한 복부 비만 측정 시스템 (Measurement System of Abdominal Obesity based on Analysis of Abdominal Electromyogram)

  • 권장우;최흥호;이동훈;윤동업;홍준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45-52
    • /
    • 2007
  • 최근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비만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만 관리를 위한 측정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비만관리를 위해 복부의 근전도 신호를 분석해서 언제 어디서든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복부 근전도 선호 분석을 위해서 에너지 검출, 신호 특징 추출, 상태 분류 및 인식 등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측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복부의 비만도 및 복부의 근력을 평가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