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9초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개념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사회적 배제에서 포함으로- (A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Inclusion about the Disabled -From Social Exclusion to Inclusion-)

  • 신유리;김경미;유동철;김동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5-28
    • /
    • 2013
  • 최근 사회적 포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에 대한 연구들도 적극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장애인복지 영역에서 당사자들로 하여금 시민권자로서의 권리와 자원 등에 대한 동등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존 패러다임의 재고, 새로운 관점 및 개념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사회적 포함의 관점이나 개념적 접근은 장애인들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제반영역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과제제안에 유용한 접근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선, 사회적 배제와 포함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부터 각 개념과 구성요소, 특성, 유용성 및 제한성 등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기초로 장애인에 대해 사회적 포함이 어떻게 개념화 되는지 고찰하고, 그리고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 포함의 개념적 접근이 갖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장애인 창업의 마케팅전략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Revitalization through a Marketing Research Foundation of the Disabled)

  • 정은혜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05-112
    • /
    • 2015
  • Purpose - There is a recent social trend that is focused on the revitalization of business-founding. Business-founding now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progress of the national economy because of youth unemployment and an increase in baby-boom generation retirees. However, the support and infrastructure required for business-founding of the disabled are very insufficient. Since most supporting policies are on youth or middle-aged business-founding,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and the socially weak is losing competitiveness. Accordingly, this study diagnosed the issue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and suggested a fostering direction for the advance of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An idea for the founding of various business items is required for the competitiveness of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and the establishment of a growth-model based on marketing is required so that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would advance toward commercialization with growth potentia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Regarding the study method, the existing study literature on the status and issues in business-founding was mainly explored. In additi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tatus and issues in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was also studied. The support on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by policy enforced by the 'Welfare Service Agency for the Disabled'and the support of related agencies including financial support on the commercialization of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were also examined. Results - Existing studies on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are very insufficient. It is very difficult to study a viable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fostering policy without thorough learning on the difficulties of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resolution of various issues such as market, funds, item, operational matters, and service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in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until now. Particularly, this study suggested that building a commercialization model from the aspect of marketing strategy and the effort to change the growth aspect of the disabled into competitiveness are essential. Conclusions -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developing an item-development process for the growth and founding of disabled-owned businesses and the requirement of a government support system by multiple policies. Since the number of studies on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is very smal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come an important study in the field of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The revitalization of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substantially contributes to the progress of the state of the economy and continuous interest is required from the viewpoint of equal advance in the society. Success models in business-founding by the disabled should be created continuously and active publicizing of them to the disabled business-founders by analyzing the success cases would also be required.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a market entry strategy by way of a win-win strategy and cooperative relation with big companies should be also developed in the future.

장애인 자립생활운동에 나타난 임파워먼트 과정 연구 (A Study on Empowerment Process through Independent Living Movement for the Disabled)

  • 김봉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375-397
    • /
    • 2010
  •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들은 현재의 실천이 임파워먼트의 실제 이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매우 미시적이고 제한적으로만 이해되고 있음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 이러한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 기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의 결과로 실제적인 정책변화를 이루어낸 사례로서 장애인 자립생활운동과 그 발전과정에 나타난 임파워먼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임파워먼트의 과정은 총 5단계로 구성되며 그 중 개인의 임파워먼트와 관련해서는 의식화 과정이, 거시적 임파워먼트와 관련해서는 조직화가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복지태도의 이중성 - '눔프'현상과 집단별 차이 - (Inconsistent Welfare Attitude and NOOMP)

  • 김교성;김윤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27-51
    • /
    • 2016
  • 본 연구는 복지제도의 확대는 찬성하지만 재원 확보를 위한 증세는 거부하는 '눔프'현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지제도의 개혁과정에서 이해관계의 충돌에 따른 갈등 발생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계층, 젠더, 연령 집단을 중심으로, 주요 복지제도별 눔프현상의 규모와 요인을 분석하여, 복지제도에 내재한 불평등 구조와 눔프현상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인 복지인식 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급여 대상이 특정 취약계층으로 제한되는 제도에 비해 전체 사회구성원의 복지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건강정책, 연금, 고용정책, 주거정책 등에서 낮은 눔프현상이 관찰되었다. 눔프현상의 규모와 발생 가능성은 '소득 1분위', '여성', '20대 이하'에서 높게 나타나, 복지제도에 내재한 불평등 기제와 눔프현상의 높은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보편적 복지로의 전환과 복지제도에 내재된 불평등 요인의 개선이 눔프현상의 완화와 복지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대안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PDF

전국 시설이용 장애인의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THE STATUS OF ORAL HEALTH BEHAVIORS AND DENTAL SERVICES IN THE KOREAN DISABLED)

  • 김영남;최연희;전현선;임지준;정원균;장선옥;이긍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4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problem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handicapped types, 2) to collect the empirical data for developing and establishing the oral health policies for the handicapped, and 3) to find out the major obstacles against the dental services and oral health promotion. The handicapped subjects were collected by designed cluster sampling and interview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in order to measure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The subjects were attending the special schools and private or public welfare institutions for crippled disorder, encephalopathy disorder, mental retardation, visual disturbance, hearing defect, and developmental disorder. Oral examination was conducted by 13 trained dentists. 1,476 of handicapped people were finally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s of visiting dental office during the last one year in 18~64 year-old disabled people were 48.86% in crippled disorder, 52.50% in mental retardation, 58.24% in visual disturbance, 39.29% in hearing defect, respectively. To improve this challenging situation, we should find out the obstacles against the dental service and oral hygiene maintenance by the types of handicap, and develop the oral health policies which could support and advocate the Korean disabled.

  • PDF

목민심서를 통해 한국적 복지정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welfare policy examined through Mokminsimseo)

  • 김봉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669-674
    • /
    • 2023
  • 본 연구는 목민심서 애민육조와 진황육조의 분석으로 조선시대 사회복지정책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오늘날 사회복지정책의 연계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애민육조에서는 양로(養老)에서 노인복지법과 노인 복지서비스의 기초내용을 담고 있었고, 자유(慈幼)에서는 유아 및 아동과 관련한 복지정책 서비스, 관질(寬疾)을 통해 장애인 복지의 가치계계과 정책 방향을 확인하였으며 구재(救災)에서는 사회적 위기와 재난대응에 대한 사회통합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는 또한 이는 사회복지정책지표를 통해서도 가족안전, 소득보장, 건강정책, 사회통합 등의 사회복지정책의 주요영역이 강조되어왔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황육조의 분석을 통하여 비자(備資), 규모(規模), 보력(補力) 등에서 사회보장제도와 사회보험제도의 기초 이념과 가치뿐만 아니라 구체적 정책 시행 내용까지 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사회복지 시설을 구비하여 각 대상별 체계적 사회복지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오늘날 사회복지정책 및 사회서비스 정책 등은 진황육조를 통하여 그 근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재 정책 시스템인 사회복지정책지표를 통해서도 사회통합과 소득보장 부분의 강조가 진황육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의료급여 과다 이용 수급권자 중 장애인의 의료이용 (The Medical Use of the Disabled Among Overusers of Medical Aid in Korea)

  • 신선미;김의숙;박창기;이희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1호
    • /
    • pp.35-41
    • /
    • 2010
  • Objectives: In Korea, the top 10% of Medical Aid recipients represent nearly 60% of total payment, with the costs for those disabled for over 365 days representing approximately 30% of total pa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edical Aid use of the disabled with non-disabled recipients, and to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to the total payment in the top 2% of recipients identified as Medical Aid overusers. Methods: Subjects (n=2,211) selected were ${\geq}18$-years-of-age and received >1000 days of co-payment-free type I Medical Aid. Case managers (n=200) conducted interviews in December 2006, and collected data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mounts over the 9 months from January September 2006 were analyzed descriptively and using Chi-square, ANCOVA, and robu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Disabled individuals (mean age 61.3 years) composed 36.6% of subjects; 44.8% of the disabled were male. On a monthly basis per capita, the disabled group averaged 10.5 outpatient days, total payment of 523,000 Korean Won(₩), inpatient payment of ₩359,000, and outpatient payment of ₩183,000. All values exceeded the monthly average for non-disabled individuals. Contribut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male gender (₩82,000), elementary school or lower educational level (₩64,000), residence in a small city (₩82,000), lack of family support (₩61,000), kidney disability (₩673,000), intellectual disability (₩151,000), and multiple disabilities (₩119,000). Conclusions: The identification of contributing factors to Medical Aid use by those defined as disabled supports the adoption of comprehensive alternative policies such as strengthening of education and consultation services, provision of alternative facilities, and promotion of self-care.

교통약자 서비스를 위한 정보센터 통합방안 (Integration of Information Centers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Services)

  • 남두희;한호연;고정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5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늘어가는 노약자 및 장애인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유비쿼터스를 필두로 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사회복지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u-City 통합정보센터의 서비스의 대부분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노약자 및 장애인 즉, 교통약자들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별도의 정보센터 구축을 논할 수 있지만, 이는 시간 및 비용 면에서 불합리한 대안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u-City 정보센터에 교통약자 서비스를 통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통합방안으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SOA 기반의 ESB를 이용한 통합기법을 사용하여 일반인 및 교통약자를 위한 u-서비스 시스템의 통합 아키텍처를 제시하며 이에 대한 통신 기법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시스템 통합 아키텍처 및 통신 기법은 한국정보사회진흥원에서 제시한 "u-City IT 인프라 구축 가이드라인 V1.0"과 W3C 웹 서비스 표준 문서에 의거 도출되었으며 실제 u-City 통합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n Overview of the ICF's Use in Korea

  • Lee, Haejung;Song, Jum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5호
    • /
    • pp.356-36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view of the use of the ICF in Korea. Method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from its publication in 2001 to May, 2015 was conducted; studies published from 2001 to May, 2015 were searched using RISS, KISS, DBpia, KoreaMed, PubMed, and ISI databases. For inclusion in the review, a study had to be published as a scientific article, must have participation of Korean researchers and developed in Korea, and should provide use of ICF. Results: A total of 108 publications were identified, and 89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Most eligible studies were related to clinical fields (n=41) and areas with the disabled (n=32). Interestingly, several studies showed how to use and/or adapt ICF in clinical practice e.g. reviews and case studies, whereas in the area of the disabled, descriptive studies reported ICF concepts comparing with the current disability policies and laws in Korea. The usage of ICF was found to be at various levels: introducing the ICF concept and model, collecting data using the ICF checklist, coresets, as well as ICF codes itself and presenting results in the ICF framework, developing measurement tools based on ICF concepts. Conclusion: Since introduction of the ICF in 2001, the use of the ICF in Korea has increased in different professionals as well as in levels of its applications.

장애인 스마트폰 중독 실태 연구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Disabled)

  • 서보경;김인혜;남길우;권미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중독 특성을 알아보고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20~59세 총49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스마트폰중독위험군 비율은 12.55%였다. 장애인의 스마트폰, 모바일메신저, SNS 및 게임 사용시간은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위험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에 관한 인식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2/3 정도가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중독관련 상담기관을 알고는 있었으나, 실제 도움을 받을 의향이 있는 사람은 그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 홍보와 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