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s fresh weigh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41초

제초제 약효평가를 위한 잡초의 생체중 기준 고찰 (Study on Weeds Fresh Weight Standard for Herbicide Efficacy Evaluation)

  • 김민지;강광식;임은상;송재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1호
    • /
    • pp.46-53
    • /
    • 2018
  • 본 시험은 논, 밭, 과원(비농경지 포함)에서 주로 발생하는 잡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비교하여 무처리 최소 총 발생량의 생체중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자 10개 지역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논 포장의 일년생잡초인 피의 건물률 평균은 14.8%, 일년생잡초(피 포함) 건물률 평균은 12.5%, 다년생잡초 건물률 평균은 13.9%로 나타났다. 밭 포장의 일년생잡초의 건물률 평균은 20.1%로 나타났으며, 과원(비농경지 포함)포장 내 일년생 및 다년생잡초 총계의 평균은 18.4%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체중에 대한 무처리 최소 총발생량은 논 포장에서는 피 $210g\;m^{-2}$, 일년생잡초(피 포함) $400g\;m^{-2}$, 다년생잡초 $220g\;m^{-2}$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밭 포장에서는 일년생잡초 $250g\;m^{-2}$, 과원(비농경지 포함) 포장에서는 일년생 및 다년생잡초 총계 $550g\;m^{-2}$으로 제시할 수 있다.

Weed control treated with salt and seawater in organic agricultural upland

  • Lee, Sang-Beom;Lee, M.H.;Kang, C.K.;Kim, M.S.;Nam, H.S.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95-297
    • /
    • 2011
  • Weed control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organic farming systems that limit crop growth and their yiel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organic soybean (Glycine max Merrill) to evaluate the weed suppression effect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 Weed population and fresh weight were monitored after 6 week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s. The most important weeds were Digitaria sanguinalis, Portulaca oleracea, Tradescantia reflexa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but also 6 other species were observed in soybean arable field. Soybean crops under seawater or their solids application were well grown. The results treated with salts and seawater indicate decreases by 13.4~30.8% in weed density and by 18.0~43.2% in their fresh weight and soil hardness increases of up to 2.1-fold. Salt and seawater provided good additional weed control, but they were caused a serious problem in deterior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쌀겨 추출물에 의한 잡초 발아 및 초기생장 억제 효과 (Effect of Aqueous Extracts of Rice Bran on Inhibition of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Weeds)

  • 국용인;신지산;권오도;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8-111
    • /
    • 2001
  • 본 연구는 쌀겨 추출물을 이용하여 일년생 잡초 피와 한련초에 대한 발아 및 초기 생육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멸균 및 비멸균 쌀겨 추출물에 의한 피의 발아율은 5%(w/v) 처리에서만 무처리에 비하여 처리 후 7일째에 각각 27%와 63%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이 추출물에 대한 피의 초장과 생체중은 멸균 및 비멸균 추출물의 1% 이상 처리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5% 처리에서 피의 초장과 생체중은 멸균유무에 관계없이 각각 $66{\sim}68%$$75{\sim}78%$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멸균 및 비멸균 쌀겨추출물에 의한 한련초 발아율은 처리 후 7일에 0.5% 이상 처리부터 유의적인 발아억제를 보였다. 처리 후 7일째에 멸균한 쌀겨 추출물에 대한 한련초의 발아율은 4% 처리에서 비멸균 쌀겨 추출물에서는 5% 처리에서 완전히 억제되었다. 쌀겨 추출물에 대한 한련초의 초장과 생체중에 있어서도 발아율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쌀겨 추출물은 멸균한 추출물이 비멸균한 추출물보다 한련초의 발아 및 초기 생장억제에 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추출물에 대해 피보다는 한련초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따라서 쌀겨는 일부 잡초종자의 발아 및 초기 생육억제 효과에 대한 잠재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인공 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응 특이성 (Specificity of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in Barley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이병열;국용인;한성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38-746
    • /
    • 1995
  • 인공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장,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을을 검토코자 온실내에서 일련의 pot시험이 수행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보리의 초장, 엽령, 엽폭 및 지상부 생체중은 증가하였으나 출수가 지연되고 출수율과 수량 구성요소인 수당영화수, 천립중 및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안개조건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발생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요한 발생초종은 둑새풀, 새포아풀,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황새냉이 및 갈퀴덩쿨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는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수록 초장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000립중은 초기경합에서만 감소하였으며 그밖의 보리의 생장은 경합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개조건에서 제초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체중은 공시 제초제 공히 증가되었으나 1,000립중은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그 중 Butachlor 및 Thiobencarb의 약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처리 후 25일째 생체중에 의한 잡초방제가는 75∼90%로써 안개조건이 비안개조건보다 3∼15% 낮게 나타났으나 60일째는 96%이상으로 대등한 방제가를 보였다.

  • PDF

안개에 기인하는 무우(Raphanus sativus L.)의 잡초경합(雜草競合)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특이성(特異性) (Specifics in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Radish(Raphanus sativus L.)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김상철;국용인;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7-205
    • /
    • 1995
  • 본 연구는 무우(Raphanus sativa L.)를 공시작물로 하여 안개 및 비안개조건하에서의 생육 차이를 밝히고, 전형적인 잡초종(피를 비롯한 7종의 밭잡초)과의 경향양상과 한계수준을 구명하는 동시에 상이한 수종제초제에 대한 약해 및 약효반응차이를 밝혀 안개상습지에서 무우의 잡초방제 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안개제조장치가 설치된(Auto foggy system: SAE KI RTN Co.) 온실내 tray 시험으로 수행되었으며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개조건하에서 각 공시품종(Long skirt, Delicious altari, Green mascot)의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생육초기(파종 후 8-38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55일에 증가하였다. 지하부 생체중은 Green mascot 품종에서만 안개조건에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엽록소 함량은 전 공사품종의 안개조건에서 높았다. 2. 안개조건하에서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무경합구(0)와 20일 경합구에서 증가하고, 지하부 생체중은 0, 20, 35일 경합구에서 증가하였으나, 50일 이상의 경합구에서는 안개와 비안개조건간에 차이가 없었다. 3. 각 공시약제(Napropamide, Alachlor, Linuron) 처리 후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에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Alachlor는 파종 후 65일에 안개조건에서 지하부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4. 각 공시약제의 방제효과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차이가 없엇으나, 자귀풀의 방제효과는 안개조건에서 낮았다.

  • PDF

제초제(除草劑)를 이용(利用)한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 (Chemical Weed Control Systems in Orchard)

  • 변종영;이재창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56
    • /
    • 1982
  •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하여 Paraquat 100g/10a와 Gly-phosate 120g/10a를 철포(撤布)한 다음, Oxyfluorfen47~117g/10a, Simazine 100, 200g/10 a, Alachlor 130 g/10 a, Paraquat 100g/10a와 Glyphosate 120g/10a를 처리(處理)하여 제초효과(除草効果)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시험수행전(試驗遂行前) 5월(月)에 발생(發生)된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쑥, 메꽃, 다닥냉이와 망초이었고, 시험기간(試驗期間)인 6~8월(月)에는 바랭이가 우점화(優占化)되었다. 2. Glyphosate 120g/10a를 철포(撤布)하고 Oxyfluorfen 94g/10a 이상(以上)을 토양처리(土壤處理)하면 제초효과(除草効果)가 우수하여 잡초(雜草)의 발생본수(發生本數)와 생체중(生體重)이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3. Paraquat 100g/10a를 철포(撤布)한 후 Oxyfluerfen 117g/10a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하거나 혹은 Glyphosate 120g/10a를 2회(回) 철포(撤布)한 경우에도 제초효과(除草効果)는 양호(良好)하였다.

  • PDF

피복재료에 따른 도라지의 생육 및 잡초발생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Growth and Weed Occurrence)

  • 전승호;노일래;김영국;조영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73-78
    • /
    • 2017
  • 이 연구는 3년근 도라지 이식 재배기간 동안 피복재료에 따른 뿌리의 생육특성 및 잡초발생 양상을 알아봄으로써 유기재배 도라지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1. 뿌리의 직경은 피복구의 평균은 28.1 mm로 무피복구보다 5.1 mm 굵게 나타났으며 필름 피복구에서 30.9 mm 로 가장 굵게 나타났으며, 길이는 왕겨 피복구에서 가장 짧은 22.0 cm로 나타났다. 곁뿌리 수는 필름피복구에서 36.0개로 가장 많았고 무피복구에서 가장 적은 수가 조사되었다. 2. 뿌리 생체중에서는 피복구처리와 무피복구 간의 비교에서도 평균 100과 56 g/root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필름 피복구에서 130 g/root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다음으로 톱밥 및 왕겨 피복구 순으로 104, 67g/root 나타났다. 3. 피복구는 무피복구에 비하여 잡초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무피복구의 우점잡초는 강아지풀, 바랭이, 피복구의 우점잡초는 강아지풀로 나타났으며, 일년생 화본과 잡초가 평균 잡초발생의 72%를 보이며 각 피복구에서 높은 우점율이 나타났다. 4. 잡초 발생개체수에서는 무피복구에서 125 개/$m^2$ 가장 많았으며, 피복구에서는 생분해성필름 피복구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톱밥 피복구는 18 개/$m^2$로 무피복구에 대비 14.4% 발생율이 나타나, 피복처리시 잡초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Effect of Solidago altissima L. Extract on Forage Crop Germination

  • Ho-Jun Gam;Yosep Kang;Eun-Jung Park;Ki-Yong Kim;Sang-Mo Kang;In-Jung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4-114
    • /
    • 2022
  • There are 28 families and 166 species of exotic weeds on agricultural land and among these, 23 families and 80 species of exotic weeds occur on pastures. Among them, the Solidago altissima is a perennial weed belonging to the asteraceae family and it is an exotic weed that spreads to the surrounding area using methods such as high seed production, vegetative propagation using underground rhizomes and allelochemical. Accordingly, in 2009,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signated it as an ecosystem-disrupting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about the effects of S.altissima derived allelochemicals on forage crops. The root of S.altissima was separated, dried in the shade and then pulverized to prepare an root powder. Powder was repeatedly extracted with methanol for 3 days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root methanol extract. Dissolve the extract in distilled water, dispense it in a separate-funnel and proceed with liquid-liquid extraction by adding equal amounts of n-haxane (Hex), chloroform (CHCI3), ethyl acetate (EtoAC), and butanol (BuOH) in order of increasing polarity. A seed-bioassay was performed using fractions for each solvent, followed by separation and purification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s a result of the fraction germination test for each solvent, the IC50 values using the fresh weight of each fraction were 898.3 mg L-1, 676.3 mg L-1, 1160 mg L-1 and 1360 mg L-1. CA, CB, and CC fractions were obtained through primar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at used CHCI3 fraction. As a result of seed-bioassay using each fraction, the IC50 values for the fresh weight of each fraction was 537.3 mg L-1, 1280 mg L-1 and 1947 mg L-1. Based on this, 5 fract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secondar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the CA fraction. A seed-bioassay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lowest IC50 value was calculated as 226.7 mg L-1 in the CAE fraction. Based on this, the fraction was analyzed by GC-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on the effects of weeds on forage crops and allelochemicals secreted from S. altissima.

  • PDF

몇가지 잡초들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알팔파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Effect of Some Weed Species Extracts and Residues on Alfalfa)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5-294
    • /
    • 1994
  • 본 실험은 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velvetleaf등을 비롯하여 7종류의 잡초를 마른 상태와 생체상태로 각각 수확하여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물질을 추출 이들을 alfalfa 종자 발아와 생육정도 검정에 사용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억제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이 중 억제효과가 제일 큰 velvet-leaf의 추출물은 여러 농도로 silica sand와 혼합하여 alfalfa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토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추출물 처리는 alfalfa의 발아율, 발아세,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을 억제시켰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 보다 더 큰 타감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 정도를 보였다. 또 alfalfa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이었다. 2. 농도에 따르는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다. 3. 건조된 velvetleaf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에서 잔기의 비율이 증가 될수록 alfalfa의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그 정도는 잔기 비율 1%에서 가장 억제적이었다. 4. 잡초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alfalfa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 하여 타감작용이 인정되었다.

  • PDF

천궁밭 발생잡초 및 군락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s and Vegetation Types in Cnidium officinale Field)

  • 김덕환;박재만;강상모;이석민;서창우;이인용;이인중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79-287
    • /
    • 2015
  • 천궁밭에 발생하는 잡초와 군락의 유형을 분석하여 천궁밭 잡초방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잡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천궁밭에는 총 35과 99종이 출현하였고, 일년생잡초는 55종, 다년생잡초는 44종으로 분류되었다. 식물사회학적 군락분석에 의한 결과, 닭의장풀, 털별꽃아재비, 봄여뀌, 올방개, 명아주-깨풀이 우점하여 군락의 형태를 보였다. 또한 PCA plot 분석결과 식물사회학적 군락분석과 유사하게 올방개, 명아주-깨풀, 봄여뀌, 닭의장풀, 털별꽃아재비가 군락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잡초무방제구의 천궁 생산이 전혀 없을 정도로 잡초에 대한 천궁의 피해가 심각하였다. 천궁은 8월 이전 지상부 생육이 왕성해지기 전까지 집중적인 잡초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흑색멀칭을 하지 않는 헛골에 발생되는 잡초에 대한 초기방제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