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ed management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8초

잡초처리(雜草處理)를 위한 환경친화적(環境親和的) 재배기술(栽培技術) (Environment-Friendly Cultural and Mechanical Practices for Weed Management)

  • 변종영;구자옥;구연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4-134
    • /
    • 1997
  • As control of plant diseases, insects and weeds were heavily relied on pesticides, residues of pesticides in environment and food supply were recently focused by environmentalists and consumer groups. The reduction of pesticide use was implemented in Sweden, Denmark, Netherland, England, and United Stat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iscuss environmentally sound systems of weed management including cultural, mechanical, and integrated weed control. Mechanical methods using tillage, cultivation, mulching, burning, mowing, solarization, and UHF are used as one of most effective environmentally sound weed management systems. Cultural practices favoring the crops are excellent weed management measures. Correct seedbed preparation for the soil and cultural system, and use competitive cultivars contribute to weed management. Increasing crop density by higher seeding rate or by narrowing row width and careful attention to optimum fertility to produce vigorous crop plants increase competitiveness of crops against weeds. Crop rotation breaks life cycles of weeds by alternating the crop it must associate with. Herbicides are efficient and profitable to control weeds, but must be part of a total weed management program with use of minimum rate. The best weed management will be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two or more methods to manage weed problems.

  • PDF

유기농 재배에서 잡초방제기술의 동향 및 전망 (Trend and Perspective of Weed Control Techniques in Organic Farming)

  • 옥환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23
    • /
    • 2011
  • 유기농 재배에서 이용되고 있는 잡초방제 기술 및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 앞으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화학적 방제를 배제하고 기계적 방제, 경종적 방제, 생물적 방제를 포함한 종합방제 기술에 대한 문헌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유기농업에서의 새로운 잡초 관리방안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방법은 기계적 방법, 열, 광선, 전기충격, 압축공기, 로봇잡초방제기술, 그리고 경종적 방법은 멀칭, 경운, 윤작, 피복식물, 경합을 이용한 방법이 포함된다. 생물적 방제는 미생물제초제, 대량증식 생물제제, 광역 생물제제, 상호대립억제물질 등이 개발되거나 또는 이용되고 있다. 유기농재배에서 성공적인 잡초방제를 위하여 물리적 방법과 경종적 방법은 제초제 사용이 제한된 조건에서 가장 중요한 잡초방제 수단이므로 기계적, 경종적 방법을 근간으로 하고 생물적 방법이 조화롭게 보완되는 종합잡초관리방법이 요구된다. 그리고 유기농 재배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적합한 장기적 잡초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잡초관리 결정에 도움이 되는 모델의 개발도 필요하다.

Weed Population Dynamics under Climatic Change

  • Bir, Md. Shahidul Haque;Eom, Min Yong;Uddin, Md. Romij;Park, Tae Seon;Kang, Hang Won;Kim, Do Soon;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174-182
    • /
    • 2014
  • This paper provides some of the scientific background on how projected environmental conditions could affect weeds and weed management in crops. Elevated $CO_2$ levels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crop competitiveness with $C_4$ weeds, but these are generally outnumbered by $C_3$ species in weed populations. Moreover, higher temperatures and drought will favor $C_4$ over $C_3$ plants. The implement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echnologies, such as drought-tolerant germplasm and water-saving irrigation regimes, will have consequences for crop-weed competition. Rainfed production systems are thought to be most vulnerable to the direct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are likely to face increased competition from $C_4$ and parasitic weeds. Biotic stress-tolerant crop cultivars to be developed for these systems should encompass weed competitiveness and parasitic-weed resistance. In irrigated systems, indirect effects will be more important and weed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diversified to lessen dependency on herbicides and mechanical control, and be targeted to perennial rhizomatous ($C_3$) weeds. Water-saving production methods that replace a weed-suppressive floodwater layer by intermittent or continuous periods of aerobic conditions necessitate additional weed management strategies to address the inherent increases in weed competition. Thus, climatic conditions have a great effect on weed population dynamics all over the world.

친환경 잡초방제를 위한 생물제초제의 상용화 현황 (Status and Perspective of Bioherbicde Development for Organic Weed Management)

  • 변종영;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17
  • 생물제초제의 이용은 농업에서 지속성을 향한 중요한 단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유기농업 및 종합잡초관리는 보존농업에서 합성제초제와는 다르게 한 종류의 잡초관리기술에 의존하지 않아야 하며, 생물제초제는 다른 잡초관리기술과 동시에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세균 및 진균으로부터 유래한 상업용 생물제초제를 선발하여 유기농업 농가에서 영농부가가치가 높은 고소득 작물을 대상으로 생물제초제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유기영농 과수원에서 비선택적으로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옥수수 글루텐 가루 제제와 각종 식물정유 제제 등 제품에 대한 실용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전작 경종관리와 잡초방제 (Cultural Management System and Weed Control in Upland Fields)

  • 변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6-72
    • /
    • 1978
  • Cultural practices favoring the crops are one of the excellent weed control measures in upland crops. The primary cultural method for weed-management may include planting of weed-competitive cultivars, proper planting time and spacing, optimum rate and placement of fertilizer, crop rotation, mulching, and timely tillage. However, cultural method must be applied as a part of the program along with all other available means for controlling weeds since this method alone is not adequate. The efficient and economical weed control can only be achieved by combinating cultural, mechanical method that supplement each other into a weed management system. Intelligent selection of weed control, however, presuppose knowledge of the life history and growth requirements of the weed and its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 PDF

아시아·태평양 지역 잡초연구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Weed Science in Asian Pacific Region)

  • 이인용;이정란;김도순;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5
    • /
    • 2014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농업 시스템에서 잡초방제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방제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24차 아시아-태평양 잡초학회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16개국 19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11개 분야에서160편이 발표되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외래잡초의 발생생태, allelopathy, 논에서의 잡초관리, 일반작물에서의 잡초관리, 제초제 저항성잡초 등이었다. 쌀은 아시아 국가의 주된 식량작물로서 이와 관련된 잡초방제 및 제초제 저항성에 관한 연구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옥수수, 콩, 밀 재배지에서의 잡초방제 분야에서도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잡초의 증가 및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잡초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잡초방제 체계를 확립하고 저항성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녹화와 인간(IV) -잡초를 활용한 제방 비탈면의 식생관리- (Revegetation and human(IV) -The weed management of levee controlled the weed in the weed-)

  • 에자키 츠지오;이와모토 토루;염규진;문진희;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82-92
    • /
    • 2004
  • 제방 비탈면의 잡초관리는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풀베기 작업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잡초라고 불리고 있는 식물을 활용하여 "잡초로 잡초를 제어한다" 라는 개념 하에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제방 비탈면의 식생에는 (1) 침식 및 붕괴방지, (2) 풀베기 작업시의 작업성 등과 같은 식물자체에 요구되는 조건, (3) 숲을 기본으로 한 농촌풍경의 향상 유지 및 (4) 걷기 편함 등이다. 황폐지나 제방 비탈면의 우점종인 식물에 대하여 이 4가지 조건에 맞추어 검토를 실시한 결과, Imperata cylindrica Beauv., Shibataea kumasaca Nakai, Sasaella kogasensis Nakai var. gracillima S. Suzuki 및 Hedera canariensis Willd.가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일본잡초학회에서 본 일본의 잡초연구 동향 (Report on the 54th annual meeting of the weed science society of Japan)

  • 황재복;김경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35-339
    • /
    • 2015
  • 일본잡초학회를 참석하여 잡초방제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방제 연구의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잡초연구, 잡초관리, 제초제, 그리고 해외동향 등이었다. 일반강연 49편, 포스터 발표 45편이 었다. 학회 일정 중에 미니심포지엄이 소분과로 나누어 각각 개최되었고, 젊은 과학자의 모임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이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잡초의 증가 및 외래잡초의 관련연구의 비중이 높고, 친환경 방제를 위한 식물체 유래 제초활성 물질 탐색, 저항성 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벼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생태(生態)와 효과적(效果的)인 방제법(防除法) (Weed Ecology and Effective Weed Control Technology in Direct-Seeded Rice)

  • 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0-260
    • /
    • 1992
  • The paper was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on weed dynamics and effective control methods in direct-seeded rice crop. Direct seeding method resulted in drastic increment of weed growth compared to transplanting method and also changed in troublesome weed flora. Two to three fold more weeds were harvested at the direct seeded rice and weed flora of dominant species shifted toward $C_4$type grass weeds. Some of the important troublesome weeds in direct seeded rice were Echinochloa crus-galle, Oryza saliva ssp spontanea, Leptochloa chinensis. Setaria viridus. Digitaria adsendens, Sesbania exaltata, Aeschynomene indica, Algae, etc. Yield loss due to weed competiton was about 40-60% for water-seeded and about 70-100% for dry-seeded rice while these for transplanted rice were about 25-35% for mechanical transplanting and about 10-20% for manual transplanting, respectively. Integrated weed management concept was neede to approach weed control effectively. Several cultural technologies were very effective to suppress the weed growth. These were tillage operation, water management, seeding date and seeding rate. Crop residues of barley, rice, wheat, oat and italian ryegrass were also effectivly suppressed the paddy weeds particularly to Potamogeton distiuctus, a perennial broadleaf weed. A pathogen of Epicoccosorus nematosporus identified from Eleocharis kuroguwai was an excellent potential bioagent to control the most troublesome perennial sedge weed of E. Kuroguwai without arising any detrimental effect. The herbicidal efficacy of this pathogen was as high as bentazon herbicide. Plant growth regulator of paclobutrazol (pp-333) was another possible alternative to reduce the herbicide use. In current, herbicide exhibited the most conspicuous results to control weeds in direct-seeded rice even though the application technologies were not fully established. Recommendations for herbicide application were suggested for in both water-and dry-seeded rice in USA, Japan and Korea, respectively. To make better and comprehensive recommendations further studies on weed ecology and herbicide development were emphasized.

  • PDF

제초제 저항성작물에서 잡초관리기술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Weed Management in Herbicide-Resistant Crops)

  • 변종영;장규섭;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21-229
    • /
    • 2013
  • 우리나라에서 제초제 저항성작물의 개발과 저항성작물의 실용화 재배가 이루어질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 및 잡초방제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잡초방제 방향과 전망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작물에 대한 약해 없이 한 가지 제초제만을 사용해서 선택적으로 광범한 잡초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획기적인 잡초관리 기술의 하나이다. Glyphosate 저항성 형질전환 콩, 옥수수, 캐놀라, 면화에서 glyphosate 사용은 단순한 잡초방제법으로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잡초를 관리할 수 있다. 한 작물에 glyphosate와 glufosinate에 모두 저항성인 이중저항성작물은 옥수수, 콩, 면화에서 개발되어 glyphosate 저항성잡초를 방제할 수 있었으며, 기존 제초제 기술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glyphosate를 ALS 저해형 제초제, 합성옥신 제초제, HPPD 저해형 제초제 혹은 ACCase 저해형 제초제를 포함한 새로운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제초제 저항성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가까운 장래에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제초제 저항성작물만으로는 잡초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작용기작 제초제의 교호사용, 기계적, 경종적 방법을 통합한 종합적잡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