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cience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26초

복숭아 과원에서 잡초방제방법이 신초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Shoot Growth and Yield Related to Weed Control Methods at the Peach Orchard)

  • 이성희;이기열;이재웅;신현만;강보구;박용석;이정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4-140
    • /
    • 2015
  • 본 시험은 복숭아 과원 잡초방제 방법별 신초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1차 처리 후 10일 간격 3회 조사한 결과, 제초제(glufosinate ammonium) 2회 및 3회 처리구의 잡초방제 효과는 10일째 98.2~98.6%, 20일째 77.5~78.2%, 30일째 40.7~41.4%로 나타났고 부직포 처리구는 100%, 100%, 97.5%이었으며, 기계예초 처리구는 92.1%, 56.4%, 36.4%이었다. 수확 전과 후의 신초 생육량을 비교한 결과, 제초제 2회 및 3회 처리구, 부직포 피복구, 기계예초 처리구 모두 무처리보다 전반적으로 생육이 좋았다. 평균 정형과수는 제초제 2회 처리구와 기계예초 처리구가 무처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차이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제초제 2회 또는 3회 살포가 복숭아 과원에서 조사된 14종의 모든 초종에 탁월한 방제효과와 더불어 복숭아나무의 수체 생육과 정형과수 확보에 있어 지장이 없기 때문에 향후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한다.

수도초형(水稻草型)의 Isogenic Line과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경합특성(競合特性) 연구(硏究)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Paddy Rice Isogenic Lines in Plant Type with Some Perennial Weeds)

  • 김인권;구자옥;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49
    • /
    • 1983
  • 분벽경(分蘗莖)의 열개각도(裂開角度)가 상이(相異)한 수도초형(水稻草型)의 Near-isogenic line 3종(種)과 생육상(生育相)이 상이(相異)하연셔 문제(問題)가 되는 3종(種)의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너도방동산이, 가래, 올미)를 작물(作物)에 대한 3 수준의 혼생밀도하(混生密度下)(0.25, 50%)에 공시(供試)하여 작물(作物)과 잡초(雜草)의 경시적(經時的)인 생육진전양상(生育進展樣相)과 건물생산(乾物生産) 및 수량(收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조사(調査)함으로써 작물(作物)-잡초(雜草)간(間)의 경합양상(競合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조사목적(調査目的)은 수도초형(水稻草型)에 의(依)한 잡초경합력(雜草競合力)의 차이(差異)를 측정(測定)하고 경합특성(競合特性)을 구명(究明)함으로서 잡초종(雜草種)에 따른 재배적(栽培的), 생태적(生態的) 방제(防除)의 가능성(可能性)과 육종방향(育種方向) 설정(設定)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함에 있다. 얻어 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초형차이(水稻草型差異)가 잡초생육억제(雜草生育抑制)를 통(通)하여 간접적(間接的)으로 작물수량(作物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보다 잡초종별(雜草種別) 혼생밀도(混生密度)가 미치는 영향(影響)이 보다 높은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냈다. 2. Open type의 너도방동산이가 50% 혼생(混生)에서 Broom type은 모든 초형(草型)의 50%에서, 그리고 Spread type은 가래 외에 모든 초종(草種) 50%에서 감소(減少) 경향(傾向)이었다. 3. Broom 및 Spread type에서의 잡초경합해(雜草競合害)는 단위면적당수수(單位面積當穗數)와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가 모두 감소(減少)하고 반면 Open type에서는 단위면적당수수(單位面積當穗數)만 감소(減少)하는 경향이었다. 4. 잡초건물생산증가(雜草乾物生産增加)에 따른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수량감소(收量減少)는 Spread type에서 가장 현저(顯著)하였다. 5. 너도방동산이는 모든 초형(草型)의 수도(水稻)에서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수수(穗數) 감소(減少)를, 올방개는 Broom 및 Spread type의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수수(穗數)와 주당영화수(株當穎花數) 감소(減少) 및 Open type의 주당수수(株當穗數) 감소(減少)를 그리고 가래는 밀생조건하(密生條件下)에서 모든 초형(草型)의 수도(水稻)에 생육억제(生育抑制)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6. Broom 및 Spread type은 가래에, Open type은 가래와 올방개에 보다 경합력(競合力)이 있었다. 7. 너도방동산이는 모든 초형(草型)의 수도(水稻)에 경합해(競合害)를 크게 미치는 경향(傾向)이었다. 8. 작물(作物)-잡초경합유형(雜草競合類型)은 잡초(雜草)-작물(作物)의 생육진전(生育進展) 및 수량형성(收量形成) 전반(全般)에 걸쳐셔 잡초종(雜草種)이나 혼생밀도(混生密度)보다 작물(作物)의 초형(草型)에 의(依)하여 그리고 생육진전(生育進展)은 잡초발생밀도(雜草發生密度)에 의(依)하여 부차적(副次的)으로 결정(決定)되는 경향(傾向)이었다. 9. 잡초종(雜草種)에 따른 이상적(理想的)인 생태적(生態的) 재배법(栽培法) 방제(防除)를 위하여 작물초형(作物草型)의 연구(硏究)는 지속(持續)될 필요(必要)가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잡초(雜草)와 작물간(作物間)의 경합(競合) 및 방제(防除) (Competition between Crop and Weed and Weed Control in Dry Direct Seeded Rice)

  • 연규보;김길웅;신동현;이인중;정종우;김학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8-186
    • /
    • 1991
  • 벼 건답직파재배지(乾畓直播栽培地)에 발생(發生)하는 벼와 잡초(雜草)의 경합(競合)이 벼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 적합(適合)한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을 위해 수행(遂行)하여 얻어진 연구(硏究)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서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잡초(雜草)는 피(Echinochloa crusgalli), 방동사니(Cyperus amuricus), 속속이풀(Rorippa islandica) 등(等)이었으며 이 가운데 피는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동안 가장 우점(優占)하는 초종(草種)이었다.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우점도(優占度)를 Simpson's dominance index로 산출(算出)해 낸 결과(結果)를 보면 개체수(個體數)의 경우는 파종(播種) 후(後) 30 일에 0.26으로 가장 높았으나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減少(減少)한 반면, 건물중(乾物重)의 경우는 15일의 0.09에서 60일의 0.28로 증가(增加)함을 특정(特定) 잡초(雜草)(피)가 우점(優占)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잡초(雜草)와의 경합(競合)에 의한 벼의 초장(草長) 및 분벽수(粉蘗數)는 는 경합(競合) 시기(時期)에 큰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수량(收量)은 경합(競合) 시기(時期) 및 기간(期間)에 따라 다소(多少) 차이(差異)를 보였다. 수량(收量)의 감소(減少)는 잡초발생(雜草發生) 후(後) 20-40일 (6월 7일 - 6월 27일)부터 수확시(收穫時)까지 경합(競合)시킬 때 나타났다 3.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 유효(有效)한 제초제(除草劑)로는 토양(土壤) 처리(處理)로 Dimepiperate/Bensulfuron-methyl 나, Butachlor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하고 30일째 Mefenacet/Bensulfuron-methyl/Dymron을 체계처리(體系處理)하거나, 파종(播種) 후(後)40 일째에 Bentazone/Quinchlorac을 경엽처리(莖葉處理)하면 효과적(效果的) 방제(防除)가 기대(期待)된다.

  • PDF

벼 무경운(無耕耘) 담수표면산파재배시(湛水表面散播栽培時)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잡초(雜草) 발생양상(發生樣相) 및 우점도(優點度) 변이(變異) (Changes in Weed Occurrence and Dominance Influenced by Seeding Dates in Water Seeded Rice Paddy under No-tillage Condition)

  • 권오도;구자옥;신해용;박태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9-185
    • /
    • 1998
  • 벼 무경운 담수표면산파재배에서 4월 20일, 5월 10일, 5월 30일에 파종량을 40kg/ha 수준으로 파종하여 각 시기별로 잡초 발생양상 및 우점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운조건에서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발생된 초종은 피, 사마귀풀, 물달개비, 올방개, 여뀌 등이었으나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사마귀풀, 물달개비, 올방개, 둑새풀, 나도겨풀, 올미, 벗풀, 물질경이, 가래 등이었다. 2. 4월 20일 파종에서 발생된 잡초는 경운조건에서 피 등 5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81.7 : 18.3%이었다.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7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월년 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90.6 : 0.4 : 9.0%이었다. 3. 5월 10일 파종에서 발생된 잡초는 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4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비율은 90.4 : 9.3%였다.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8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47.1 : 52.9% 였다. 4. 5월 30일 파종에서 발생된 잡초는 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5초종이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75.5 : 24.5%였다.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8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22.6 : 77.4%였다. 5. 파종시기별 발생본수로 본 우점초종은 경운조건의 4월 20일 파종에서는 물달개비, 5월 10일, 20일 파종에서는 피였고, 무경운조건의 4월 20일과 5월 10일 파종에서는 사마귀풀이, 5월 30일 파종에서 올방개였다. 발생량으로 본 우점초종은 경운조건하에서는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피였으며 무경운조건하에서는 발생본수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6. 파종시기별 잡초 발생 우점도는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4월 20일 파종에서는 각각 0.248 및 0.736이였으며, 5월 10일 파종에서는 0.481 및 0.261, 5월 30일 파종에서는 0.359 및 0.281이었다.

  • PDF

조류(藻類) 및 잡초류(雜草類) 서식형태별(棲息形態別) 담수토양(湛水土壤)의 온도변화 양상(樣相) 연구(硏究) (Changes of Soil and Water Temperature Upon Growth Status of Algae and Weed in Submerged Paddy Soil During Rice Plant Growth)

  • 김리열;이상규;김승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56
    • /
    • 1986
  • 수온 및 지온변화에 단독(單獨) 또는 혼합(混合) 서식(棲息)하는 좀개구리밥, 붕어마름 및 조류등(藻類等)이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200a 대형무저토관(大型無底土管)에서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담수토양(湛水土壤)의 일중(日中) 최고수온 및 지온은 좀개구리밥 서식지(棲息地)가 무서식지(無棲息地)보다 $1{\sim}3^{\circ}C$정도(程度) 낮았으나 최저수온 및 지온은 같거나 $0.5^{\circ}C$정도(程度) 높았다. 2. 담수토양(湛水土壤)의 천기별(天氣別) 수온 및 지온은 좀개구리밥 서식지(棲息地)가 무서식지(無棲息地)보다 맑은 날은 $0.1{\sim}0.3^{\circ}C$ 낮았으나 구름 강우(降雨) 개임시(時)는 $0.1{\sim}0.4^{\circ}C$정도(程度) 높았다. 3. 조류서식(藻類棲息) 담수토양(湛水土壤)의 수온 및 지온은 무서식지(無棲息地)보다 $0.3{\sim}1.0^{\circ}C$ 높아 조류(藻類)에 의한 보온효과가 認定되었다. 4. 잡초서식(雜草棲息) 형태별(形態別) 수온 및 지온 보존(保存) 효과는 붕어마름 단독서식(單獨棲息)>혼합서식(混合棲息)>분개구리밥 단독서식(單獨棲息)>무서식(無棲息) 순(順)으로 높았다.

  • PDF

외래잡초 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확산과 생육지 특성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Exotic Weed Ammannia coccinea in Korea)

  • 황선민;길지현;김영하;김성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92-298
    • /
    • 2014
  • 본 연구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외래잡초이며 농경지에서벼와 경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좀부처꽃은 자연상태의 생육지에서 넓은 면적으로 우점 분포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라남도,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등 전국적으로 흩어져 분포하고 있다. 생육지 유형은 크게 논 주변부, 묵논, 하천습지, 저수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지점들 중 많은 지점이 농경지 주변의 습지 지역으로 벼농사를 위해 농수로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이었다. 다수의 조사지점에서 농수로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미국좀부처꽃이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미국좀부처꽃은 물길을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좀부처꽃의 생육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27과 51속 64종 5변종 등 모두 69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일년생식물(Th)이 36분류군, 52%로 가장 높게 출현하여 미국좀부처꽃의 생육지가 교란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벼 건답휴립직파재배(乾畓畦立直播栽培)에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사용법(使用法) (Effective Herbicide Application on Dry Seeded Paddy Rice)

  • 이석순;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0
    • /
    • 1991
  • 벼 간답직파에 효과적인 제초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앙재배를 하여온 논에 시판중인 수도용 제초제를 초기 (파종후 1 일), 중기 (파종 18 일), 후가 (파종 40 일)의 3개 시기에 처리하여 제초제의 약해, 제초효과,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재배를 하므로서 밭상태인 초기 30 일간은 피, 바랭이, 드렁새, 강아지풀, 적미(赤米), 냉이류 등과 같이 밭잡초가 발생하였으나 상시담수 이후에는 밭잡초의 생육은 억제되었고, 대신 자귀풀, 올방개, 너도방동산이, 여뀌바늘, 사마귀풀과 같은 논잡초의 발생이 증가되었다. 2. 공시한 제초제 어느것도 벼 입묘수(立苗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잡초방제 효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초기 밭상태 30 일간 제초효과가 좋고 벼의 약해가 거의 없었던 것은 thiobencarb, pyrazoate/butachlor 및 chlomethoxyfen/butachlor의 파종직후 처리와 propanil + butachlor의 파종 18일후 처리이었다. 그러나 벼 출수기의 제초효과 가 우수하였던 bentazone/quinchlorac의 파종후 40일 처리구만 손제초의 90% 이상 제초효과를 보였을 뿐 나머지는 제초효과가 매우 낮았다. 3. 출수기의 잡초발생은 간장, 수수, 천립중, 등 숙비율, 수량을 크게 감소시켰고, 생육초기부터 잡초와 경합이 심했던 무제초구에서 이들 형질의 감소정도는 각각 7, 82, 19, 55, 87%로서 수수와 수량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4. 파종후 30일의 잡초발생량은 벼 수량과 관계가 없었으나 벼 출수기의 잡초발생량과 벼 수량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벼 수량이 50% 감소되는 잡초 건물중은 $m^2$ 당 600-700g이었다. 5. 출수기의 잡초발생량이 많을수록 벼 상위 3 빛 4위 절간의 도복지수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수종(數種)의 결합제형(結合劑型)으로부터 Oxyfluorfen의 방출제어연구(放出制御硏究) V. 감수심(減水深)에 따른 선발제형(選拔劑型) Oxyfluorfen의 약해(藥害).약효평가(藥效評價) (Controlled Release of Oxyfluorfen from the Variously Complexed Formulations V. Effect of Water Leakage on Injury and Efficacy of Selected Formulations)

  • 구자옥;권오도;국용인;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7-173
    • /
    • 1991
  • 필자(筆者)들의 前報(7)에서와 同一한 Oxyfluorfen 6제형(劑型)을 동일(同一)한 초자실(硝子室)에서 3수준의 감수심 조건을 부여하여 서로 다른 묘령의 벼와 8종의 논잡초종에 대한 약해 반응과 약효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감수심이 커질수록 대부분 제형의 약해는 증대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Elvan, Coal-slag 및 oxyfluorfen은 강수심의 차이 뿐만 아니라 전체 조건하에서 약해가 경미하였다. 이 제형 경향은 달관 조사나 벼의 초장 및 생체중 변이를 통하여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제초효과에 있어서는 대부분 제형들이 감수심이 커질수록 일년생 잡초종의 방제효과는 저하하고 다년생초 종의 방제 효과는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년생초종의 방제력은 90%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다년생초종의 방제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올챙고랭이는 일년생초종 가운데 저항성이 가장 컸으며, 제형간에도 Elvan제형이 배수조건하에서 피에 대한 제초력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제형간에도 Elvan제형의 초기용출속도를 다소 증대되도록 제형적 보완이 뒤따른다면 Elvan을 위시한 Chitosan, Coal-slag 및 Bentonite-B형의 제형들은 감수심이 서로 다른 조건의 논에서도 벼에 대한 약해가 경미하면서 일년생잡초종의 방제력올 높게 기대할 수 있는 방출제어형 oxyfluorfen의 새로운 제형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에 의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분류(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Practical Classification of Herbicide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in Transplanted Lowland Rice Field)

  • 김순철;박래경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29-140
    • /
    • 1982
  • 식물(植物) 생태학(生態學)에서 식생분석(植生分析)에 이용(利用)되는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을 사용(使用)하여 잡초군락형살초(雜草群落型殺草) spectrum을 분류(分類)하여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선발(除草制選拔), 체계처리(體系處理) 및 약제가격절감(藥劑價格節減)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2개년(個年)(1980, 1981)에 걸쳐 포장시험(圃場試驗) 및 pot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6종(種)의 수도용(水稻用) 제초제(除草劑)를 pot 시험(試驗)으로 처리(處理)하여 제초제군(除草劑群)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마디꽃 (48%) - 올챙고랭이 (35%) - 알방동산이 (8%)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는 6개군(個群), 마디꽃 (45%) - 물달개비 (35%) - 바람하늘직이 (9%)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는 10 개군(個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포장(圃場)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있어 18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너도방동산이 (37%) - 올챙고랭이 (19%) - 물달개비 (14%) - 피 (7%) - 사마귀풀 (6%)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 처리(處理)하였던 결과(結果) 7개(個) 제초제군(除草劑郡)으로 분류(分類)되었고, 물달개비 (40%) - 여뀌바늘 (27%) - 너도 방동산이 (17%) - 올챙고랭이 (12%)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에서 19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였던 결과(結果)는 14개(個) 제초제군(除草劑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은 제초제살초(除草劑殺草) spectrum 분류(分類)뿐만 아니라 제초제처리방법(除草劑處理方法)에 따른 문제잡초(問題雜草)를 구명(究明)하는데도 이용(利用)이 가능(可能)하였다. 4.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를 미루어 보아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사용(除草劑使用)을 위(爲)해서는 단순(單純)히 제초제(除草劑) 상호간(相互間)의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Similarity coefficient)를 이용(利用)하는 것 보다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을 이용(利用)하므로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선발(除草劑選拔), 살초(殺草) spectrum 증대(增大)를 위(爲)한 혼합처리(混合處理) 또는 체계처리(體系處理) 및 약제가격(藥劑價格)을 절감(節減)하기 위(爲)한 혼합처리(混合處理) 등(等)에 관(關)한 정보(情報)를 비교적(比較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 PDF

논 작부체계(作付體系)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의 변화(變化) (Difference in Weed Population as Affected by a Cropping Pattern in Paddy Field)

  • 구연충;윤성호;박석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7-142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중부지방(中部地方)인 수원(水原)에서 작부양식(作付樣式)에 따른 논 잡초분포변화(雜草分布變化) 상태(狀態)를 알기 위하여 1976년(年)부터 1981년(年)까지 6년간(年間) 벼-보리, 감자-벼, 벼-폿베기호밀, 완두-벼, 벼 1 모작(毛作) 등(等) 5처리(處理)를 두어 동일(同一)한 포장(圃場)에서 동일(同一)한 작부양식(作付樣式)으로 재배(栽培)한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작부체계포장(作付體系圃場)에서 벼를 동일(同一) 이앙기(移秧期)로 하여 무비재배(無肥栽培)하면서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상태(狀態)를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잡초발생수(雜草發生數)는 0~20cm 토층(土層)에 고루 분포(分布)되었으며,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로는 벼 1모작(毛作) 및 벼-보리 작부양식(作付樣式)에서 발생량(發生量)이 많았다. 2. 독새풀 발생량(發生量)은 벼 1모작(毛作)>벼-보리>감자-벼>벼-풋베기호밀>완두-벼의 순(順)으로 많았다. 3. 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은 벼-풋베기호밀>벼 1모작(毛作)>벼-보리>감자-벼>완두-벼의 순(順)으로 많았고 벼-청예호밀을 제외(除外)하고는 벼 1모작연작(毛作連作)에 비(比)하여 2모작(毛作)에서 적었다. 4.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벼-보리 및 벼-풋베기호밀구(區)에서는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 감자-벼 및 완두-벼에서는 물달개비 및 가래가 우점((優占)하였다. 5.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는 52-91 범위(範圍)이었고 본(本) 계수(係數)가 가장 근사(近似)한 작부양식(作付樣式)은 완두-벼와 감자-벼의 양식(樣式)으로 91이었으며 가장 달랐던 작부양식((作付樣式)은 완두-벼와 벼 1모작(毛作)으로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 52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