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Herbicide Application on Dry Seeded Paddy Rice

벼 건답휴립직파재배(乾畓畦立直播栽培)에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사용법(使用法)

  • Published : 1991.03.30

Abstract

Several rice herbicide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herbicidal efficacy on dry seeded paddy rice. The time of herbicide application was within 1 day after seeding(DAS), 18 DAS, and 40 DAS. Under the upland conditions 30 DAS(before permanent flooding) dominant weed species were Echinochloa sp., Digitaria sp., Leptochla sp., weedy rice and other several annual broadleaved weeds belonging to Cruciferae, but after flooding Echinochloa sp., Aeschynomene sp., Eleocharis kuroguwai, Cyperus sorotinus, Ludwigia prostrata, Aneilema japonica were dominat. Early application (1 DAS) of thiobencarb, pyrazolate/butachlor, or chlomethoxyfen/butachlor resulted in very good herbicidal efficacy only during the first 30 days, but not thereafter. Application of propanil+butachlor on 18 DAS did not control the late occurring weeds effectively. Application of bentazone/quinchlorac on 40 DAS successfully suppressed weed growth throughout the remaining rice growing season and showed similar grain yield as hand weeded plot. Weed growth reduced the plant height, panicle number, 1000-grain weight, percent ripened grains, and grain yield of rice by 7, 82, 19, 55 and 87%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weed weight and lodging index of rice.

벼 간답직파에 효과적인 제초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앙재배를 하여온 논에 시판중인 수도용 제초제를 초기 (파종후 1 일), 중기 (파종 18 일), 후가 (파종 40 일)의 3개 시기에 처리하여 제초제의 약해, 제초효과,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재배를 하므로서 밭상태인 초기 30 일간은 피, 바랭이, 드렁새, 강아지풀, 적미(赤米), 냉이류 등과 같이 밭잡초가 발생하였으나 상시담수 이후에는 밭잡초의 생육은 억제되었고, 대신 자귀풀, 올방개, 너도방동산이, 여뀌바늘, 사마귀풀과 같은 논잡초의 발생이 증가되었다. 2. 공시한 제초제 어느것도 벼 입묘수(立苗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잡초방제 효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초기 밭상태 30 일간 제초효과가 좋고 벼의 약해가 거의 없었던 것은 thiobencarb, pyrazoate/butachlor 및 chlomethoxyfen/butachlor의 파종직후 처리와 propanil + butachlor의 파종 18일후 처리이었다. 그러나 벼 출수기의 제초효과 가 우수하였던 bentazone/quinchlorac의 파종후 40일 처리구만 손제초의 90% 이상 제초효과를 보였을 뿐 나머지는 제초효과가 매우 낮았다. 3. 출수기의 잡초발생은 간장, 수수, 천립중, 등 숙비율, 수량을 크게 감소시켰고, 생육초기부터 잡초와 경합이 심했던 무제초구에서 이들 형질의 감소정도는 각각 7, 82, 19, 55, 87%로서 수수와 수량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4. 파종후 30일의 잡초발생량은 벼 수량과 관계가 없었으나 벼 출수기의 잡초발생량과 벼 수량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벼 수량이 50% 감소되는 잡초 건물중은 $m^2$ 당 600-700g이었다. 5. 출수기의 잡초발생량이 많을수록 벼 상위 3 빛 4위 절간의 도복지수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