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Based Instruction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31초

웹에 기반한 중학교 영어학습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Web-Based English Learning System for Middle Schools)

  • 김흥환;우제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1-51
    • /
    • 2005
  • WBI 프로그램에 바탕을 둔 학습시스템이 국내대학이나 규모가 큰 사교육기관에서 사이버대학이라는 형태로 현재 일반화 되었지만, 아직도 학교 현장에선 적절한 학습자료나 시스템 구성의 미비로 인해 활용이 미진한 상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에 기반을 둔 중학교 영어교과 수업모형을 개발해, 실제 수업현장에서 활용하여 이를 통해 교수 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개별학습과 반복학습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원격교육용 학습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한 후, 이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개발된 시스템이 영어과의 학습목표 달성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원격학습 시스템을 통해 교과학습능력 증진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용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었다. 셋째, 개별화 교육이 이루어졌다.

  • PDF

중ㆍ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 내용 및 성취 목표 선정을 위한 교수분석과 출발점 행동 및 학습자 특성분석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Instructional Analysis and Analysis of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 강여화;양일선;김혜영;이해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64-471
    • /
    • 2004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Web-Bas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did instructional analysis, analysis of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to select instructional content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21, 2002 to October 26, 2002 to a total of 564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collected and used in our study was 479, which is 84.9% of the total questionnaires distributed. As a result of the curriculum analysi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s related with ‘food and nutrition’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study result, lessons including the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were ‘nutrition and meal of adolescent’ in 7th grade, ‘family meal management’ in 9th grade and ‘practice of home life’ in 10th grad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alysis, ‘nutrition’ and ‘food’ were chosen for the superior subj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four subordinate subjects per superior one were developed. Then,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life characteristics, internet usage, anthropometrics data and nutritional knowledg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using computer and preferred passive activity to dynamic ac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ternet usage, WBI for students should composed active parts such as game, moving image, immediate reply and follow-up bye-mail, bulletin board and com- munity activity. Students’ BMI were in normal range but they were lacked nutritional knowledge. We wrote performance objectives that were specific behavior skills to be learn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ust be performed and the criteria for successful performance. The next step for developing the WBI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ould b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웹기반 강의지원시스템에 대한 대학교수의 활용도분석 (Utility Analysis on Activating Web-Based Course Support System by Faculty in Universities)

  • 김경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21-232
    • /
    • 2009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서 교수자에 따른 웹기반 강의지원시스템의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수집 자료는 수도권 S대학, D대학, K대학의 2009년1학기 강의에서 담당교수 5,023명과 12,733강좌를 대상으로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의 활용도를 서버에 저장된 로그파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수자 및 계열별 강좌의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의 활용빈도 및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업지원시스템의 주요기능의 활용빈도 및 백분율이 분석되었고, 주요기능 중 공지사항, 수업자료, 공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이용횟수에 대하여 교수자 및 계열별 이용횟수에 대하여 카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교수자의 62.28%와 전체강좌의 50.3%가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주요 기능의 이용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자료공유의 목적이 43.8%로 가장 높았으며, 공지사항이나 토론 기능의 이용은 다소 낮은 편이다. 이는 대부분의 교수자나 강좌에서 웹기반수업지원 시스템을 오프라인수업의 보충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어 실제적인 운용과 설계가 요구된다.

개인차를 고려한 웹 기반 코스웨어 개발 (A Development of a Web-based Instruction Prototype System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 이재무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2호
    • /
    • pp.1591-1600
    • /
    • 2001
  • 웹 기반 코스웨어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대부분 웹 기반 코스웨어들은 학습자들에게 항상 같은 교수 방법을 제공하므로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데 부족한 면이 있다. 학습자들이 개별적으로 가장 적합한 교수 방법으로 학습한다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제공하고, 교수 시스템은 교수 방법 중에서도 학습자에게 효율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교수 방법을 학습자에게 추천하도록 하고, 학습자는 선호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학습하도록 하였다. 평가모듈은 개개인의 응답에 대하여 개별적인 피드백을 주었다. 그리고 이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대학1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본 시스템의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 PDF

교수법적 설계 모델링에 기반한 학습 컨텐츠의 XML 웹 서비스 구축 (XML Web Services for Learning ContentsBased on a Pedagogical Design Model)

  • 신행자;박경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131-11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이기종 교육 시스템들 간의 통합의 어려움, 상호 운영성 결여, 시스템 확장성 부족, 시스템 구축과 유지보수의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학습객체를 CBD방법으로 설계하고 이를 XML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축한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학습 객체를 교수법적 설계 개념을 근거로 재사용 단위를 추출한 후 LIO 학습 객체로 모델링하였다. 모델링을 통해 설정된 LIO 학습 객체는 개요, 사실, 해보기, 퀴즈, 탐구학습, 토론 및 평가의 요소로 구성되고 각 LIO요소별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이러한 모델링은 학습자에게 학습 활동과 관련한 연관성을 쉽게 얻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수업의 전과정을 설계하는 교수자 혹은 교수 설계자에게 학습 영역이 명확하게 드러나 다른 학습 컨텍스트에서 학습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적시적격의 학습 코스 변경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분산 환경을 위한 e-러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교육 기관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어떠한 컴퓨터라도 위치하여 호출 및 등록이 가능한 XML 웹 서비스로 구축되어 빠른 비즈니스 변화를 수용하고 협업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및 통합 기간이 단축되며 시스템 확장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 PDF

일기와 기후 단원의 웹 기반 수준별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of Level-Differentiated WBI Program on Weather and Climate Unit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s in Earth Science Class)

  • 김광휘;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666-67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기반 수준별 학습 자료를 설계 ${\cdot}$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10의 ‘일기와 기후’ 단원을 기본 학습자료와 심화 ${\cdot}$ 보충형 학습자료로 설계 ${\cdot}$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전통적 수업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수준별 학습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 중 자아개념, 학습열성, 미래지향성, 창의성, 자기 평가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학습자가 주어진 학습체제와의 다양한 교류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획득하는 웹 학습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웹 기반 수준별 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학습능력별로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학습능력 수준에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 기반 수준별 학습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학습능력 수준이 중위이상인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하위수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충학습의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구성하고 경로 면에서 학습자 편의성을 높이는 웹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웹 기반 수준별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결과를 보면 시각적 효과와 화면 구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학습 경험을 계획하고 필요한 자원을 자신만의 경로로 찾아서 학습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수준별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학습목표영역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전달 유형별 학습 효과성과 선호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and Preference of e-Learning Contents Delivery Types in Learning Domains)

  • 유병민;이병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4호
    • /
    • pp.1029-1060
    • /
    • 2014
  •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 목표 영역별 콘텐츠 전달 전략에 따른 학습효과와 선호도의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82명의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세가지 학습 목표영역과 두가지 이러닝 콘텐츠 전달 전략을 제작하여 이러닝 수업을 실시 후 학습효과와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서는 이러닝의 전달 전략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학습자 중심형 전달전략이 교수자 중심 전달전략보다 높은 학습효과를 보였으며 심동적 영역에서는 반대로 교수자 중심 전달이 더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선호도 부분에서도 인지적 영역의 경우 학습자 중심 콘텐츠 전달방식이 교수자 중심보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동적 영역의 경우는 교수자 중심의 콘텐츠 전달 방식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이러닝 설계 시 학습효과와 선호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학습목표 영역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Web을 이용한 임상미생물 화상 CAI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Clinical Microbiology Images CAI System Using Web)

  • 구봉오;신용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5-51
    • /
    • 2004
  • 현재의 교육 소프트웨어가 기존의 전통적인 하이퍼미디어 기법이나 계층적 기법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수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방식들의 장점을 살리면서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들의 하이브리드형인 구조화된 하이퍼미디어 링크기법이 최근 문헌들에서 제안되고 있다. 이 기법은 기존 기법들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성취도와 학습 능력에 따른 다양한 수준의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육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수행하는 그람 염색(Gram-stain) 검사와 같은 세균 성상에 관한 교육은 체계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병리사가 업무수행 과정 중 간헐적으로 신규 병리사에게 자신이 교육에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현미경시야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행해져 왔으며 이 때문에 신규 병리사의 교육에 상당한 기간이 필요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화면간의 의미론적 연관성에 따라 링크의 존재여부가 결정되는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기법을 사용하여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많은 병리사들이 그람 염색검사에 관해 학습하고 신규 병리사들을 교육할 수 있도록 Web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사용한 임상미생물 화상CAI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CAI 프로그램은 그람 염색 검사를 기반으로 하여 다른 여러 검사 방법에도 적용함으로써 임상 병리사들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 PDF

웹 기반 교정적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ypes of Web-based Corrective Feedback on the Learning Achievement)

  • 백장현;장세희;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59-67
    • /
    • 2002
  • 교수 학습 과정에서 형성평가와 함께 피드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교정적 피드백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가장 적절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세 가지 유형의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형성평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첫번째 유형은 틀린 문항에 대하여 설명이나 정답 관련 정보를 단계적이고 직접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적 정보 제공 피드백'이다. 두번째 유형은 틀린 문항 각각에 대하여 틀린 이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류를 교정할 수 있는 '오류 교정 피드백'이다. 세번째 유형은 총점과 틀린 문항을 제공해줌으로써 학생스스로 틀린 문항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결과를 제시해주는 '결과 제시 교정 피드백'이다. 구현된 세 가지 유형의 교정적 피드백을 학습자에게 적용시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 중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교정적 피드백의 유형을 검증하였다.

  • PDF

효율적 교육학습을 위한 웹기반 대화형 원격교육시스템 (Interactive Dista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Web for Effective Instruction & Learning)

  • 김원영;김치수;김진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27-133
    • /
    • 2002
  • 본 논문은 학교현장에서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멀티미디어 교육을 지원하는 웹 기반 실시간 교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교수 학습자간의 실시간 상호작용과 개별학습, 학습자의 학습일탈을 방지하기 위한 강제화면 분배를 지원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은 UML을 적용하여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교환과 관리를 위한 모듈을 두어 효율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학습자의 실험 실습을 위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고 실험이 방법과 결과분석 등에 대한 질의 응답을 지원한다. 학습자의 학습진행과 지식형성을 위해 시스템의 교육적 기반을 구성주의에 두었다.

  • PDF